시민의 이야기에 답이 있다 또는 미래형 자동차 분야별 세부시장 동향과 주요 기술개발 동향 및 사례분석
시니
2025-04-14 05:42
3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2회 연결
본문
시민의 이야기에 답이 있다

도서명 : 시민의 이야기에 답이 있다
저자/출판사 : 장용창 , 허광진 번역 · 존 개스틸 , 피터 레빈 , 시그니처
쪽수 : 320쪽
출판일 : 2018-05-15
ISBN : 9791189183004
정가 : 16000
한국어판 서문_ 함께 만나 서로 이야기하는 시민들의 힘
1장. 이야기하기 좋아하는 국민들: 미국 숙의 민주주의의 역사
민주주의를 향한 진보가 꼭 직선적이진 않다
20세기 후반 미국의 숙의 민주주의
20세기 중반 숙의 민주주의는 왜 쇠퇴했을까?
어디에 사용되느냐에 따라 선악이 결정된다
우리의 선택에 달려 있다
2장. 숙의 민주주의의 유형: 이론과 실천의 관계
숙의 민주주의를 위한 두 가지 실용주의적 질문
숙의 민주주의를 어떻게 행사할 것인가
숙의 민주주의의 가치는 무엇인가
자신을 민주 시민으로 바라보는 태도
3장. 국가이슈포럼: 시민들의 숙의 토론을 권장하는 네트워크
국가이슈포럼은 어떻게 시작됐나
‘숙의’를 구체적으로 정의하다
대중적 숙의에 참여한 사람들의 변화 가능성
좀 더 성장하고 발전하려면
4장. 선거에서 숙의 토론과 언론의 역할
‘시민들의 목소리’ 프로젝트
“내가 진짜 시민이라고 느낀 건 처음이었습니다”
5장. 공론조사: 시민의 필수품이 된 정치학자의 발명품
뉴헤이븐 시의 공론조사 사례
공론조사의 구조
공론조사의 장점과 단점
6장. 합의회의와 플래닝셀: 일반 시민들의 숙의 민주주의
합의회의와 플래닝셀, 두 개의 숙의 민주주의 모델
덴마크식 합의회와 독일식 플레닝셀
어떻게 발전되어 왔는가
실제 정책과 대중 여론에 미치는 영향
‘무엇을 성취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
7장. 여러 숙의 모델의 결합: 호주의 사례들
숙의 민주주의의 평가 기준
사례 1: 공병 보증금 관련 법률 개정
사례 2: 화물 네트워크 검토
사례 3: 퍼스 광역시의 도시 계획
결론: 여러 모델들의 사용
8장. 21세기 타운미팅: 가장 광범위한 시민들의 이야기 마당
‘나’에서 ‘우리’로 가는 과정
21세기 타운미팅의 구성요소
공적 의사결정에 미친 더 극적인 영향
9장. 브라질의 숙의 민주주의: 상파울루 보건협의회 사례
상파울루 보건협의회의 법적 토대
진정한 참여포럼이 실현되려면
10장. 필라델피아 해안의 숙의적 도시계획
대중 참여를 이끌어내려는 소망
펜스랜딩 포럼의 설계 및 조직
시민 대화 기획의 방향을 제시하다
11장. 스터디서클: 숙의 민주주의의 핵심-지역적 숙의
모두에게 의미 있는 참여의 기회
스터디서클의 설계와 진행
미국 전역의 스터디서클
국가의 민주주의에 활기를
12장. 결론: 숙의 민주주의의 미래 전망
숙의 토론에서 무엇을 기대하는가
대중 숙의 토론의 한계
숙의 토론의 규모 확대 및 확장
결정력 높은 숙의 과정의 질을 유지하려면
대중 숙의의 새로운 영역
옮긴이의 글_한국에는 숙의 민주주의가 필요합니다
미래형 자동차 분야별 세부시장 동향과 주요 기술개발 동향 및 사례분석

도서명 : 미래형 자동차 분야별 세부시장 동향과 주요 기술개발 동향 및 사례분석
저자/출판사 : 좋은정보사, 좋은정보사
쪽수 : 479쪽
출판일 : 2018-03-19
ISBN : 9788998586379
정가 : 340000
Ⅰ. 미래형 자동차 산업의 시장동향과 전망 43
1. 국내외 자동차 시장동향 43
1) 국내 자동차 시장동향 43
(1) 시장현황 43
(2) R&D 투자동향 44
2.1) R&D 지원 비중 현황 44
2.2) 미래형 자동차 민간 R&D 투자 현황 45
2.3) 국내 업체의 동력원별 R&D 투자 현황 46
2.3.1) 전기자동차 개발 및 상용화 현황 46
2.3.2) 하이브리드차 개발 및 상용화 현황 47
2.3.3) 수소연료전지차 개발 및 상용화 현황 48
2) 국외 자동차 시장동향 49
(1) 시장현황 49
(2) 주요국 원천ㆍ산업 기술력 발전 현황 52
(3) 해외 직접투자 현황 54
3.1) 직접투자 동향 54
3.1.1) 외국인 직접투자 전망 54
3.1.2) 미국/일본의 자국내 투자 확대 현황 54
3.1.3) 다국적 기업의 해외 직접투자 형태 55
3.2) Greenfield Investment 동향 56
3.2.1) 완성차 업체 56
3.3) M&A 동향 56
3.3.1) 완성차 업체 56
3.3.2) 부품 업체 57
3) 자동차 산업의 생태계 변화 방향 59
(1) 환경 변화에 따른 생태계 변화 59
(2) 자동차 산업의 변화 방향 60
2.1) 자동차 문화의 변화 60
2.1.1) ADAS의 보편화 60
2.1.2) Car Sharing의 보편화 61
2.1.3) 전망 61
2. 미래형 자동차 주요 이슈 및 국가별 산업현황 64
1) 개요 64
(1) 정의 64
(2) 분류 65
2) 4차 산업혁명과 스마트카 67
(1) 개념 67
(2) 미래형 자동차의 Tipping Point 시점 68
(3) 변화 전망 68
3.1) IT 플랫폼으로의 진화와 상용화 시점 68
3.2) 플랫폼으로의 자동차 가치 69
(4) 주요 이슈 및 트렌드 71
4.1) ADAS(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71
4.1.1) ADAS와 자율주행차의 차이점 71
4.1.2) 주요 기술현황 72
a) 차선 이탈 경고(LDW) 73
b) 적응형 주행 제어(ACC) 73
c) 교통 신호 인식(TSR) 75
d) 야간 시각(NV) 75
e) 적응형 상향등 제어(AHBC) 76
f) 보행자 감지(PD) 76
g) 운전자 졸음 방지 기능 77
4.1.3) 미국 ADAS 기술 도입 현황 78
a) 주요 기능 도입현황 78
b) 전면 충돌 방지기능 도입률 전망 78
c) 시장규모 79
4.1.4) 시장전망 80
4.2) 카셰어링(Car-sharing)과 자율주행의 결합 80
4.2.1) 미국 카셰어링 산업현황 80
4.2.2) GM 관련 동향 81
4.2.3) 카셰어링 기업 Zip Car 관련 동향 82
4.3) 배기소음 관련 新시장 창출 82
4.3.1) 미래자동차 배기음 규제동향 82
4.3.2) 인공 배기음 시스템 시장규모 83
4.3.3) 글로벌 OEM 가상엔진사운드시스템 개발현황 83
4.4) 자율주행차 개발에 따른 조향장치 기술의 변화 84
4.4.1) 미국 조향장치 시장동향 84
4.4.2) 국외 조향장치 제조업체 현황 84
4.4.3) 국외 조향장치 기술동향 85
4.5) 자율주행차의 新 Cash Cow 86
4.5.1) 카 인포테인먼트(Car Infotainment) 86
4.5.2) 미국 인포테인먼트 시장전망 87
4.5.3) 국외 관련 기업동향 88
4.5.4) 전망 88
(5) 국내 미래형 자동차 산업기술인력 수요전망 89
5.1) 개요 89
5.2) 분야별 산업기술 인력 전망 90
5.3) 직무별 산업기술 인력 전망 91
3) 주요국 관련 정책동향 및 산업현황 92
(1) 미국 92
1.1) 대체연료 차량 개발 지원정책 92
1.1.1) 소득세 감면 92
1.1.2) 판매쿼터 및 생산보조 92
1.2) 환경규제 정책 93
1.2.1) 연비규제: CAFE Standards 93
1.2.2) CO2 배출규제 94
a) 배출 허용 기준 94
b) 배출량 목표 95
1.2.3) 기타 배출규제 96
1.3) 자율주행차 개발 지원정책 및 관련 규제 추진현황 96
1.3.1) M-City 96
1.3.2) 자율주행 관련 법규/규제 추진현황 97
1.4) IT기업 자동차 개발동향 97
1.4.1) Apple 97
1.4.2) Google 98
(2) 일본 99
2.1) 자동차산업전략 99
2.2) 수소ㆍ연료전지 전략 로드맵 99
2.3) 자동차 관련 환경 정책 100
2.4) 자동차 활용을 위한 IT 기술개발 동향 102
2.4.1) ZMP 102
2.4.2) 소프트뱅크 102
2.4.3) 히타치 103
2.4.4) 기타 104
(3) 중국 105
3.1) 생산추이 및 현황 105
3.2) 판매실적 및 전망 106
3.3) 생산능력 전망 107
(4) 영국 108
4.1) 친환경 혁신기술 수요현황 108
4.2) 자동차 산업의 미래 메가트렌드 108
4.2.1) 배기가스 감축 109
4.2.2) 커넥티비티(Connectivity) 109
4.3) 커넥티드 자율주행차 지원현황 110
4.3.1) 자율주행차 관련 제도 및 법안 개정 110
4.3.2) 커넥티드 자율주행차에 대한 자금 지원 111
4.4) 한국 기업 진출방안 112
(5) 프랑스 113
5.1) 빅3 자동차 부품업체 113
5.1.1) 미래 자동차용 부품 연구개발 동향 113
5.2) 빅3 자동차 부품업체의 기술 전략 113
4) 해외 기업의 미래 자동차 대응 동향 116
(1) 주요 IT기업 미래 자동차 개발동향 116
(2) 주요 글로벌 자동차기업 동향 118
3. 미래형 자동차 차종별 산업동향 120
1) 하이브리드 자동차 120
(1) 주요 기술개발 동향 120
(2) 주요국 시장 동향 및 트렌드 122
2.1) 일본 122
2.1.1) 도요타 프리우스(Prius)의 역사 122
a) 1세대 프리우스(1997) 122
b) 2세대 프리우스(2003) 122
c) 3세대 프리우스(2009) 123
d) 4세대 프리우스(2015) 123
2.1.2) 도요타의 개발동향 124
2.1.3) 도요타의 글로벌 하이브리드카 판매현황 125
2.2) 터키 125
2.2.1) PC 및 LCV 시장동향 125
2.2.2) PC 판매 및 HV 판매동향 128
2.3) 요르단 130
2.3.1) 하이브리드카 중고 수입현황 130
2.3.2) HV 시장 점유율 현황 131
2.3.3) 관련 정책동향 132
2) 전기 자동차 133
(1) 시장동향 133
(2) 주요 기술개발 동향 134
2.1) xEV 기술 트렌드 및 연구개발 동향 134
2.2) 글로벌 자동차 기업 기술개발 동향 136
(3) 국내외 정책동향 138
3.1) 국내 138
3.2) 국외 138
3) 연료전지 자동차 141
(1) 시장동향 141
(2) 주요 기술개발 동향 141
(3) 국내외 산업동향 및 관련 지원 정책동향 143
3.1) 국내 143
3.1.1) 수소연료전지자동차 보급 및 시장 활성화 계획 143
3.2) 국외 144
3.2.1) 개요 144
3.2.2) 전략적 제휴 및 R&D 동향 145
3.2.3) 국가별 중장기 로드맵 수립동향 146
4) 커넥티드 자동차 149
(1) 개요 149
1.1) 개념 149
1.2) 적용분야 150
(2) 시장동향 151
2.1) 글로벌 시장전망 151
2.2) 글로벌 기능 탑재 비중 전망 152
(3) 국내 기술개발 동향 153
(4) 서비스 개발동향 155
4.1) 완성차 업체 155
4.1.1) 안전 및 보안서비스 강화 서비스 155
4.1.2) 타 기기와의 상호 연결성 확대 155
4.2) IT 플랫폼 업체 157
5) 자율주행 자동차 159
(1) 개요 159
1.1) 정의 159
1.2) 구성기술 구분 159
1.3) 핵심 기술 160
1.4) 기술수준 정의 161
1.5) 기술수준 단계별 주요 기능 162
1.6) 핵심 역량 164
(2) 주요 기술개발 동향 166
(3) 해외 업체별 자율주행차 전략 167
(4) 국내외 관련 정책동향 170
4.1) 국내 170
4.1.1) 범부처 공동 추진현황 170
4.1.2) 상용화 목표 및 실행계획 171
4.2) 국외 173
4.2.1) 미국 173
4.2.2) 유럽 173
4.2.3) 일본 175
(5) 시장전망 176
Ⅱ. 자율주행자동차 관련 주요 기술동향 179
1. 자율주행을 위한 통신 기술동향 179
1) 차량 통신 시스템 179
2) 무선통신 기반 차량통신 기술 및 무선 네트워크 기술현황 181
(1) 근거리 전용 통신(DSRC) 기술 181
1.1) IEEE 802.11p 181
1.2) DSRC 181
(2) LTE 기반 차량 통신기술 183
(3) 밀리미터파 무선통신 기반 V2X 184
(4) VANETs 기술현황 185
4.1) 개념 185
4.2) 연구 동향 185
3) V2X 기술동향 187
(1) 차세대 ITS 시스템과 V2X 통신기술 187
1.1) 차세대 ITS 시스템 187
1.2) V2X 기술의 유형 및 연구 188
(2) 자율주행 자동차를 위한 V2X 기술 190
2.1) 프레임워크 190
2.2) 설계 문제 및 솔루션 191
2.2.1) 데이터 우선 순위 191
2.2.2) 설치 계획 192
2.2.3) 빔 제어 192
2.2.4) 핸드오버 전략 193
2.3) 통신 표준 기술현황 193
2.3.1) WAVE 193
2.3.2) LTE V2X 194
2.3.3) WAVE와 LTE V2X의 비교 194
(3) V2X 통신기술 관련 표준 단체 동향 196
3.1) 3GPP 표준현황 196
3.1.1) LTE 기반 V2X 196
3.1.2) 5G 기반 V2X 198
3.2) WAVE 표준현황 198
3.3) 기타 표준현황 199
(4) 차세대 V2X 기술전망 200
4.1) 기존 V2X 문제점 200
4.1.1) WAVE 기술의 한계 200
4.1.2) LTE V2X 기술의 한계 200
4.2) 차세대 V2X 기술전망 201
4.2.1) 5G V2X 핵심기술 201
4.2.2) 연구개발 동향 202
a) SK텔레콤 202
b) Qualcomm 203
4.2.3) 표준화 동향 204
(5) 국내외 연구개발 동향 206
5.1) 국내 206
5.2) 국외 208
5.2.1) 미국 208
5.2.2) 유럽 209
5.2.3) 일본 210
5.2.4) 중국 210
2.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 기술 트렌드 및 동향 212
1) 개요 212
(1) 정의 212
(2) 범위 213
2.1) 주요 기술 분류 213
2.2) 세부 기술 215
2) 산업동향 216
(1) 산업구조 216
(2) 시장동향 217
2.1) 국내 시장 217
2.2) 국외 시장 217
2.2.1) 시장규모 및 전망 217
2.2.2) 지역별 시장규모 및 전망 218
(3) 주요 기술동향 219
3.1) ACC(Adaptive Cruise Control) 219
3.2) LKAS(Lane Keeping Assist System) 220
3.3) AEB(Autonomous Emergency Braking) 221
(4) 기술개발 동향 223
4.1) 기술개발 트렌드 223
4.1.1) 장애물 인지 고도화 223
4.1.2) 시스템 제어 고도화 223
4.1.3) 기능안전(Functional Sefrty) 적용 안전 확보 224
4.2) 경쟁현황 225
4.3) 국내외 업체별 기술개발 동향 226
4.3.1) 국내 226
4.3.2) 국외 226
3. 자율주행자동차를 위한 센서시장 분석 및 기술동향 229
1) ADAS 센서시장 전망 및 value chain 229
(1) ADAS 시장전망 229
1.1) 개요 229
1.2) 시장전망 229
(2) ADAS용 센서 밸류체인 및 시장전망 231
2) 라이다(LiDAR) 기술동향 및 전망 233
(1) 개요 233
1.1) 정의 233
1.2) 원리 234
1.3) 기술 종류 234
1.4) 기술 구성 235
(2) 응용현황 237
(3) 주요 기술분석 239
3.1) 분류 239
3.1.1) Direct Pulsed 방식 239
3.1.2) Continuous Wave(CW) 방식 240
3.2) 주요 기술동향 241
3.2.1) 2D & 3D 레이저 스캐너 기반 라이다 기술 241
3.2.2) 3D Flash 라이다 기술 242
a) 개요 242
b) FPA(Focal Plane Array) 243
c) FPA 기반 상용 제품현황 243
(4) 산업동향 245
4.1) 시장동향 및 전망 245
4.1.1) 국내 시장 245
4.1.2) 국외 시장 245
a) 지역별 시장전망 245
b) 적용 분야별 시장전망 246
b-1) 시장 점유율 246
b-2) 시장규모 247
c) 모바일 라이다 시장전망 248
d) 차량용 라이다 시장전망 249
4.2) LiDAR 모듈의 value chain 250
4.3) 국내외 주요 업체동향 251
4.3.1) 국내 251
4.3.2) 해외 251
4.4) 주요 제품 기술개발 동향 252
4.4.1) 주요 상용 제품 스펙 비교 252
4.4.2) 주요 업체 제품개발 동향 253
a) Quanergy 253
b) Velodyne 255
3) 카메라 기술동향 및 전망 256
(1) 기술 개요 256
1.1) ADAS와 카메라 센서 기술 256
1.2) 기술 트렌드 257
(2) 시장동향 및 전망 259
2.1) 차량용 카메라 수요전망 259
2.2) 차량용 카메라 모듈 시장전망 259
(3) 차량용 카메라 모듈 value chain 260
3.1) 개요 260
3.2) 체인별 시장현황 260
3.2.1) 칩 메이커 260
3.2.2) 모듈 메이커 261
3.2.3) 시스템 메이커 261
4) 레이다(RADAR) 기술동향 및 전망 262
(1) 기술 개요 262
1.1) 레이다(RADAR) 262
1.2) ADAS와 레이다 기술 262
1.3) 기술 트렌드 263
(2) 시장동향 및 전망 265
2.1) 차량용 레이다 수요전망 265
2.2) 차량용 레이다 모듈 시장전망 265
(3) 차량용 레이다 모듈 value chain 267
3.1) 개요 267
3.2) 체인별 시장현황 267
3.2.1) 레이다 칩 267
3.2.2) 시스템 268
4. 자율주행을 위한 인공지능/Deep Learning 기술동향 270
1) 자율주행자동차와 인공지능(AI) 270
2) 인공지능 기술의 자율주행 적용현황 271
(1) 딥러닝 기반 시각 인식 지능 적용 271
1.1) 배경 271
1.2) 이미지 인식 기술 발전동향 271
1.3) 기술발전 사례 272
1.3.1) 기술발전 현황 272
1.3.2) AutoX 273
(2) 학습지능 적용 274
2.1) 기존 방식(Rule-based approach) 274
2.2) 기존 방식의 한계 274
2.3) 딥러닝 기반 자율주행 구현방식 275
2.3.1) drive.ai 275
2.4) 기존 방식과 딥러닝 기반 방식의 비교 276
(3) Reinforcement Learning 적용 277
3.1) 개요 277
3.1.1) 강화학습(Reinforcement Learning) 277
3.1.2) 규칙 기반 및 딥러닝/강화학습 기반 방식의 비교 277
3.2) 자율주행 기술 구현 적용현황 278
(4) 인간처럼 사고하는 지능의 적용 280
4.1) 구현 가능성 280
4.1.1) 관계형 추론방법 기반 자율주행 지능구현 280
4.1.2) 예측추론 기반 자율주행 지능 281
4.2) 지능 이식(Transferring Intelligence) 282
3) 분류별 딥러닝 기반 자율주행 기술동향 및 연구사례 283
(1) 센싱 283
1.1) 깊이 추정 분야 283
1.2) 자세 정보 추정 기술 283
(2) 인지 284
2.1) 딥러닝 기반 객체 검출 기술 284
2.1.1) 전통적인 객체 검출 기법 284
2.1.2) 딥러닝 기반 객체 검출 기법 284
2.2) 연구개발 동향 286
(3) 측위 288
3.1) Google 288
3.2) Daimler 288
3.3) Semantic SLAM 289
(4) 차량 제어 290
4.1) Nvidia 290
4.1.1) Drive PX2 290
4.1.2) DAVE-2 290
4.2) Mobileye 291
4.3) 뉴욕 대학교 291
4.4) 프린스턴 대학 292
4) 주요 기관 및 기업 연구개발 동향 294
(1) 학계 연구 294
1.1) MIT(DeepTesla/DeepTraffic) 294
1.2) UC Berkeley(DeepDrive)/Udacity 294
(2) IT/자동차 기업 296
2.1) Nvidia 296
2.1.1) 기업 개요 296
2.1.2) 딥러닝 기반 플랫폼 전략(DrivePX) 296
2.2) Tesla 297
2.2.1) 반자율주행 기능 Autopilot 297
2.2.2) 딥러닝 기반 인공지능 역량 확보 동향 299
2.3) Mobileye 299
2.4) Benz 300
2.5) Uber 300
(3) 스타트업 301
3.1) 시각 인식 지능(Perception) 301
3.1.1) DeepScale 301
3.1.2) SAIPS 301
3.2) 주행 학습(Driving) 302
3.2.1) comma.ai 302
3.2.2) Cruise 303
5. 차량용/지능형 반도체 기술동향 305
1) 개요 305
(1) 차량용/지능형 반도체 개념 및 분류 305
1.1) 차량용 반도체 개념 305
1.2) 지능형 반도체 개념 306
(2) 차량용 반도체 분류 및 특성 307
2.1) 개요 307
2.1.1) 도메인 구성 307
2.1.2) 도메인별 네트워크 307
2.2) 분류 및 특성 309
2) 차량용 반도체 산업동향 311
(1) 산업 생태계 현황 311
(2) 국내 기술 312
2.1) 기업 역량 312
2.2) 협력 관계 312
2.3) R&D 역량 313
2.4) 인력 및 생태계 314
(3) 분류별 특성 및 기술동향 315
3.1) ECU(Electronic Control Unit) 315
3.1.1) 구성 315
3.1.2) 자율주행을 위한 고성능 ECU 개발 동향 315
3.2) MCU(Micro Controller Unit) 316
3.2.1) 제품동향 316
3.2.2) 자율주행 차량용 MCU 현황 317
3.3) 액추에이터 구동 IC 317
3.3.1) 분류 317
3.3.2) 기술현황 318
3.4)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318
3.4.1) 적용 IP 318
3.4.2) 고려사항 319
3.4.3) 기술현황 319
3.5) In-Vehicle Network 320
3.5.1) 기술현황 320
3.5.2) 채용 증가율 전망 321
(4) 시장동향 322
3) 차량용/지능형 반도체 관련 기업 기술개발 동향 323
(1) 차량용 반도체 국내외 기업 R&D 동향 323
1.1) 국내 기업 R&D 투자동향 323
1.2) 국외 선도 기업 현황 324
1.3) 반도체 파운드리 업체 현황 325
(2) 지능형 반도체 글로벌 기업 R&D 동향 327
2.1) Nvidia 327
2.1.1) 기업 개요 327
2.1.2) GPU 기반 지능형반도체 R&D 동향 328
2.2) Intel 328
2.2.1) M&A 동향 328
2.2.2) CPU 기반 지능형반도체 R&D 동향 329
2.3) Google 330
2.4) IBM 330
2.5) 기타 331
(3) 지능형 반도체 국내외 정책동향 332
3.1) 국내 332
3.2) 국외 332
Ⅲ. 자율주행차 상용화를 위한 C-ITS 및 인프라 구축 동향 337
1. ITS와 C-ITS 구축 동향 337
1) ITS의 패러다임 변화 337
(1) 기존 ITS 동향 337
1.1) 개념 337
1.2) 시장전망 338
(2) C-ITS 동향 338
2.1) 개념 338
2.2) 기존 ITS와의 차이점 339
2) C-ITS 기술 및 서비스 동향 341
(1) C-ITS 기술 동향 341
(2) C-ITS 서비스 동향 342
2.1) 개요 342
2.2) Verizon 스마트교통 서비스 사례 342
2.2.1) 스마트 차량관제 서비스 343
a) 서비스 개요 343
b) M&A 동향 343
2.2.2) 스마트 도로관제 서비스 344
2.2.3) 스마트 키오스크 서비스 345
2.2.4) Intelligent traffic management solution 345
(3) Cellular 기반 C-ITC 기술동향 347
3.1) LTE-V2X 기술동향 347
3.1.1) 개요 347
3.1.2) LTE-V2X와 IEEE 802.11p의 비교 348
a) 도시 지역 349
b) 고속도로 350
3.2) 5G 기술동향 350
3.2.1) 표준화 동향 350
3.2.2) 5G 산업간 융합동향 352
a) 5GAA 352
b) 일본 총무성 주관 실증 사업 352
c) 협력 사례 353
3) 국내외 C-ITS 연구개발 동향 354
(1) 국내 354
1.1) DSRC 기반 교통정보시스템 구축 사업 354
1.2) u-Transportation 기반 기술개발 사업 355
1.3) 스마트 하이웨이 355
1.4) 도시지역 광역 교통정보 기반 확충사업 356
1.5) C-ITS 시범사업 357
1.5.1) 추진 경과 357
1.5.2) 주요 구성요소 358
1.5.3) 시범 서비스 359
1.5.4) 시범사업 대상지 361
(2) 국외 362
2.1) 미국 362
2.1.1) IntelliDrive 363
2.1.2) CICAS 363
2.1.3) VSC / VSC-A 364
2.1.4) Safety Pilot Model Deployment 365
2.1.5) Connected Vehicle Pilot Deployment 366
2.2) 유럽 366
2.2.1) CVIS 367
2.2.2) SafeSPOT 368
2.2.3) Drive C2X 369
2.2.4) SCOOP@F 370
2.2.5) C-ITS Corridor 370
2.3) 일본 371
2.3.1) ITS Safety 2010 371
2.3.2) ITS Spot/ETC2.0 373
2. 자율주행을 위한 고정밀 지도 기술동향 374
1) 개요 374
(1) 정의 374
(2) 특성 375
2.1) 수치지형도와 정밀도로 지도의 차이점 375
2.2) 기술효과 376
2) 주요 기술동향 377
(1) 정밀지도 377
1.1) MMS(Mobile Mapping System) 377
1.1.1) 정의 377
1.1.2) 구성 378
1.1.3) 정밀지도 구축과정 379
1.1.4) 기술개발 현황 380
1.2) V2X(C-ITS)와 정밀지도 기술발전 방향 381
(2) 자율주행 맵 플랫폼 기술동향 383
2.1) 개요 383
2.1.1) 개념 383
2.1.2) 기술 효과 384
2.2) 동적맵 생성 및 V2X 통신 활용기술 384
2.3) 정적맵 구축 기술 385
2.3.1) 고정밀 Calibration 385
2.3.2) 동일영역 386
a) 개요 386
b) 동일영역 맵 데이터 정합 과정 386
c) 동일영역 정합을 통한 정밀도 향상 결과 387
d) GPS-주행거리 데이터 융합 결과 387
2.3.3) 시맨틱 환경정보 추출 388
2.3.4) 깊이 정보 고속추정 기술 389
2.3.5) 차로 중심선 생성 기술 390
2.3.6) 신호등 및 교통표지판 인식 390
a) 신호등 인식 390
b) 교통표지판 390
2.4) 자율주행 맵 기반 상황판단 및 제어기술 391
3) 국내외 정밀지도 구축 동향 392
(1) 국내 392
1.1) 구축 계획 392
1.2) 주요 업체동향 393
1.2.1) 네이버랩스 393
a) 에피폴라(Epipolar) 인수 393
b) 3D 정밀지도 제작 로봇 M1 394
c) 자율주행차용 플랫폼 IVI 396
1.2.2) 현대엠엔소프트 396
a) 기업 개요 396
b) 초정밀 지도 시스템 구축동향 397
1.2.3) 맵퍼스 399
(2) 국외 400
2.1) 정밀지도 확보를 위한 M&A 동향 400
2.2) here 401
2.2.1) 서비스 현황 401
2.2.2) Here-Mobileye 협력 현황 402
2.2.3) 독일3사 M&A 동향 403
2.3) DMP(Daynamic Map Planning Co., LTD) 403
3. 위성항법시스템(GNSS) 기술동향 406
1) 개요 406
(1) 정의 406
(2) 구성요소 407
(3) 종류 408
3.1) 시스템별 세부 종류 408
3.2) 보강시스템 종류 409
2) 관련 기술동향 410
(1) 위성항법 기반 위치결정 기술 410
(2) 소요 기술동향 412
2.1) LDM 기술 412
2.1.1) 기능 및 특징 412
2.1.2) Layer 구성 413
2.2) 음영지역 정밀 측위 기술 414
2.3) 차량궤적 빅데이터 기술 414
3) 국내외 기술개발 동향 416
(1) 국내 416
1.1) DGPS(Differential GPS) 416
1.1.1) 배경 416
1.1.2) 기술현황 416
1.2) SBAS(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 418
1.2.1) 정의 및 구성 418
1.2.2) 국내 서비스 현황 418
a) KASS(Korea Augmentation Satellite System) 418
b) 항공/육상교통 적용현황 419
1.2.3) 주요국 운용ㆍ개발현황 420
(2) 국외 422
2.1) 미국 422
2.1.1)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422
2.1.2) WAAS(Wide Area Augmentation System) 422
2.2) 유럽 423
2.2.1) Galileo 423
2.3) 러시아 424
2.3.1) GLONASS / SDCM 424
2.4) 일본 424
2.4.1) QZSS(Quasi-Zenith Satellite System) 424
2.4.2) MSAS(Multi-functional Satellite Augmentation System) 425
2.5) 중국 426
2.5.1) BeiDou 426
2.6) 인도 426
2.6.1) GAGAN 426
Ⅳ. 기타 차종별 기술동향 및 미래형 자동차-ICT 융합 기술개발 동향 431
1. 기타 주요 차종별 기술개발 동향 431
1)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시장 및 차세대 이차전지 기술동향 431
(1) 시장현황 및 전망 431
1.1) 차종별 배터리 용량 및 출력 431
1.2) 수요 추정 및 전망 432
1.3) 가격 동향 433
(2) EV 구동용 리튬이차전지 기술동향 436
2.1) 개요 436
2.1.1) 구동 원리 436
2.1.2) 이차전지 종류 및 특징 436
2.1.3) 에너지 효율 437
2.2) 소재 선호도 동향 438
2.2.1) 이차전지 타입별 구분 438
2.2.2) 중국의 배터리 동향 439
a) 전기버스용 439
b) 전기승용차용 440
c) 중장기적 전망 441
2.3) 차세대 EV 구동용 이차전지 기술동향 442
2.3.1) 차세대 전지 적용방향 442
2.3.2) 리튬-공기(Li-Air)전지 442
2.3.3) 리튬-유황(Li-S)전지 443
2) 수소전기자동차 기술개발 동향 445
(1) 출시현황 및 전망 445
(2) 가격저감 및 부품기술 개발동향 446
2.1) 가격저감을 위한 양산기술 446
2.1.1) 개요 446
2.1.2) 수소전기차 446
2.1.3) 수소전기버스 447
2.1.4) 핵심부품의 양산기술 확보현황 447
2.2) 가격저감을 위한 부품기술 448
2.2.1) 시스템 변화 448
2.2.2) 개별부품 기술개발 448
3) 천연가스자동차 기술개발 동향 450
(1) 국내외 차종별 개발동향 450
1.1) 개요 450
1.2) 승용자동차 450
1.3) 상용자동차 451
1.4) 국내 동향 451
(2) 핵심부품 기술개발 동향 453
2.1) 핵심 기술 453
2.2) 기술개발 동향 453
2.2.1) CNG인젝터 453
2.2.2) CNG 레귤레이터 455
2.2.3) 고압연료저장시스템 455
a) 고압용기 종류 및 특징 455
b) 국내 기술개발 동향 456
2.2.4) 엔진제어기 457
2. 미래형 자동차-ICT 융합 기술동향 459
1) 차량용 증강현실(AR) 기술개발 동향 459
(1) 차량용 증강현실 개념 제시 사례 459
1.1) BMW 459
1.2) Autoglass 459
1.3) Toyota 460
(2) 차량용 증강현실을 위한 요소기술 461
2.1) 주행환경 인식기술 461
2.2) 주행환경 판단기술 461
2.3) 운전자 시야 중심 정보 정합 기술 463
(3) 차량용 HUD 기반 증강현실 기술개발 사례 464
3.1) 업체별 동향 464
3.1.1) GM 464
3.1.2) Jaguar Land Rover(JLR) 465
3.1.3) Continental 465
3.2) 투명 디스플레이의 차량 HUD 적용동향 466
3.2.1) 투명 디스플레이 종류 및 특성 466
a) 종류 및 차이점 466
b) 특성 466
3.2.2) 차량 HUD 적용시 기술적 이슈 467
a) 투과도 467
b) 혼탁도 468
(4) 단말기 기반 증강현실 기술개발 사례 469
4.1) 개요 469
4.2) imaGinyze 469
4.3) Pioneer 470
4.4) 아이나비 470
2) 차량용 3D 프린팅 기술개발 동향 471
(1) 기술 개요 471
1.1) 제작 공정 471
1.2) 기술 분류 471
(2) 기술개발 동향 472
2.1) 업체별 동향 472
2.1.1) Mercedes-Benz 472
2.1.2) Local Motors 472
2.1.3) Honda 473
2.1.4) Drivergent Microfactories 473
2.1.5) Delta Motorsport 474
2.1.6) 현대모비스 474
2.2) 기술 전망 475
(3) 시장전망 477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