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쌤이 알려 주는 4차 산업 혁명과 미래 직업 이야기 또는 옆으로 읽는 동아시아 삼국지. 2
시니
2025-04-14 05:42
4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2회 연결
본문
서쌤이 알려 주는 4차 산업 혁명과 미래 직업 이야기

도서명 : 서쌤이 알려 주는 4차 산업 혁명과 미래 직업 이야기
저자/출판사 : 서지원, 크레용하우스
쪽수 : 188쪽
출판일 : 2018-05-31
ISBN : 9788955475838
정가 : 13000
1. 4차 산업 혁명과 유망한 미래 직업
왜 4차 산업 혁명이라고 할까요? 12
어떤 직업들이 앞으로 사라질까요? 25
어떤 직업이 새로 만들어지고 유망할까요? 32
기술을 알면 미래 직업 경향이 보여요! 47
미래학자들이 예측하는 미래의 유망 직업 51
미래 인재가 되기 위해 필요한 능력은 무엇일까요? 66
2. 4차 산업 혁명을 이끄는 성공한 인물과 기업들
미래의 성공이 중요할까요? 행복이 중요할까요? 80
미래를 설계하는 일론 머스크 85
4차 산업 혁명의 핵심 기술로 재무장한 구글 그룹 90
로봇으로 움직이는 공장, 아디다스 스피드 팩토리 96
산업 인터넷 플랫폼으로 기업들을 연결하는 제너럴 일렉트릭 101
공유 시대를 활짝 연 우버와 에어비앤비 104
3. 4차 산업 혁명을 이끌 융합 과학 기술
융합 인재가 되려면 어떤 공부를 해야 할까요? 112
미래를 내다보고 모든 것을 예측하는 빅데이터 119
인간의 능력을 뛰어넘는 인공 지능 컴퓨터 123
또 하나의 현실 세계, 가상현실과 증강 현실 128
컴퓨터로 돈을 캔다, 가상 화폐 비트코인 132
혼자 날아다니는 작은 항공기, 드론 136
어떤 물건이든 출력하는 3D 프린터 141
필요한 정보를 전달해 주는 웨어러블 장치들 144
말하면 알아서 척척 해 주는 나만의 개인 비서 147
물건과 대화하고 명령하는 사물 인터넷 151
눈동자나 지문으로 나를 증명하는 생체 인식 기술 154
몸속에 넣는 전자 생체 삽입 장치 157
컴퓨터와 머릿속을 연결하는 뇌 컴퓨터 인터페이스 160
내가 원하는 아기를 만들 수 있는 유전자 연구 164
스스로 생각하고 움직이는 자율 주행 자동차 168
가스나 휘발유가 필요 없는 미래의 자동차들 172
내 마음대로 조종 가능한 스마트 홈과 스마트 시티 175
사람을 닮은 휴머노이드 178
미루지 말고 세상을 깜짝 놀라게 해요! 183
옆으로 읽는 동아시아 삼국지. 2

도서명 : 옆으로 읽는 동아시아 삼국지. 2
저자/출판사 : 이희진, 동아시아
쪽수 : 548쪽
출판일 : 2018-06-12
ISBN : 9788962622324
정가 : 18000
들어가면서
1장 율령체제의 붕괴와 수습
1. 중국: 5대10국시대의 혼란
당의 멸망과 5대10국시대의 시작 | 5대의 변화 | 10국의 부침 | 요의 건국과 세력 확장
2. 한국: 신라의 붕괴와 고려의 성립
신라의 붕괴와 후삼국 성립 | 왕건의 정변과 후삼국의 통일 | 왕건의 정책 | 광종의 개혁 | 호족 세력의 제도권 흡수와 전시과
3. 일본: 율령체제의 붕괴
체제 붕괴의 조짐 | 장원의 발달 | 인세이 | 무사 세력의 부각 | 호겐·헤이지의 난 | 당풍문화와 국풍문화
2장 새로운 체제의 성립
1. 중국: 송과 이민족 왕조
북송 건국 | 요의 체제 정비와 쇠락 | 서하의 대두와 파란 | 송의 개혁 시도와 좌절 | 금의 등장 | 요의 몰락 | 요의 사회와 문화 | 북송의 붕괴 | 금의 북송 정벌 | 남송의 성립 | 금의 전성기 | 금의 붕괴 | 남송의 안정과 쇠퇴 | 금의 멸망 | 금의 사회와 문화 | 남송의 멸망 | 송의 사회와 문화
2. 한국: 고려 문치체제의 확립
성종의 개혁과 중앙집권체제의 확립 | 통치제도와 이념의 정비 | 고려 초의 국제정세와 거란과의 분쟁 | 고려의 신분 구조와 과거 | 고려 정국의 혼란과 대외관계 | 묘청의 등장과 금과의 관계를 둘러싼 갈등
3. 일본: 막부체제의 성립
겐페이 전쟁과 겐지의 부각 | 가마쿠라막부의 성립 | 호조씨의 대두와 조큐의 난 | 호조씨의 통치 | 가마쿠라시대의 산업과 문화 | 가마쿠라시대의 사상
3장 몽골제국의 등장과 동아시아
1. 중국: 칭키즈칸의 등장과 몽골제국
칭기즈칸과 몽골제국의 부각 | 칭기즈칸의 유산과 몽골제국 | 쿠빌라이의 등장과 원의 성립 | 쿠빌라이 사후의 혼란과 원의 쇠퇴 | 순제의 즉위와 원의 몰락 | 홍건적의 반란과 원의 멸망 | 원의 사회와 문화
2. 한국: 무인 정권에서 몽골의 영향까지
무인 정권의 등장과 권력투쟁 | 최씨 정권의 성립 | 농민과 천민의 봉기 | 몽골의 침략과 항쟁 | 무인 정권의 종말 | 원의 일본 원정과 고려의 희생 | 원의 간섭과 고려의 변화 | 지배기구의 개편과 개혁 | 고려 후기의 불교계 개혁
3. 일본: 몽골의 침공과 그 이후의 변화
몽골의 일본 침공 | 몽골의 침공 이후 발생한 후유증 | 가마쿠라막부의 붕괴 | 겐무신정 | 난보쿠초시대 | 무로마치막부의 성립
4장 원의 몰락과 새로운 체제 모색
1. 중국: 명의 건국
주원장의 부각 | 홍무제의 정책 | 영락제의 등장과 명의 팽창 | 명의 안정 | 명 내부의 혼란 | 잠깐의 중흥, 그리고 쇠퇴
2. 한국: 고려에서 조선으로
원의 몰락과 공민왕 | 신흥사대부와 이성계 | 원과 명의 교체, 그리고 조선의 성립 | 사대부 중심의 개혁 | 조선의 새로운 신분제 | 태종의 등장과 개혁 | 조선의 전성기를 이끈 세종 | 세종이 죽고 세조가 등장하다 | 훈신을 키운 세조 | 문치주의의 확립 | 사림의 성장과 파란
3. 일본: 센고쿠시대를 거쳐 통일까지
슈고다이묘의 부각 | 무로마치막부의 경제적 기반과 국제무역 | 무로마치막부의 혼란 | 왜구와 동아시아 | 농민의 저항, 잇키의 시대 | 오닌의 난 | 무로마치막부의 몰락 | 무로마치시대의 문화와 사회 변화
5장 동아시아, 전란에 휩싸이다
1. 중국: 명의 붕괴와 동아시아의 혼란
가정제의 즉위와 북로남왜의 위협 | 융경제와 만력제의 개혁 시도 | 명 정치의 파행과 전란 발생 | 누르하치의 등장과 명의 몰락 | 명의 멸망 | 명 후기의 사회와 문화
2. 한국: 조선 체제의 약화와 전란
사림이 세력을 얻으며 시작된 당파 싸움 | 16세기 후반 동아시아의 격변과 조선 군사력의 약화 | 임진왜란의 발발 | 심해지는 당쟁 와중에 이룬 광해군의 업적 | 인조의 즉위 뒤에 닥친 위기 | 병자호란 이후의 갈등과 북벌을 둘러싼 파란 | 예송 문제와 현종의 즉위
3. 일본: 동아시아 대전쟁의 뿌리
센고쿠다이묘의 부각 | 유럽 세력의 아시아 진출과 일본에 대한 영향 | 오다 노부나가의 등장 | 정리되는 센고쿠시대 |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센고쿠시대의 종말 |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개혁 | 조선 침공
6장 전란 복구에서 근대의 입구까지
1. 중국: 중원의 새로운 정복왕조, 청
청 제국의 성립 | 청의 전성기를 이끈 강희제 | 파란을 딛고 이어진 청의 전성기 | 이어진 전성기, 그리고 이율배반적 쇠퇴 | 청의 몰락 | 서양 세력의 침략과 태평천국의 반란 | 청의 사회와 문화
2. 한국: 전란 수습에 이은 변화
환국 | 영조 초기의 탕평 | 사림정치의 붕괴와 사도세자의 죽음 | 정조의 탕평과 개혁 | 북학파의 등장과 상업의 변화 | 조선 후기의 사회 변화와 균역법 | 외척 세도정치와 천주교 | 안동 김씨와 풍양 조씨, 그리고 대원군 | 조선 후기 사회체제의 붕괴 | 삼정의 문란과 민란 | 풍양 조씨의 권력 장악과 흥선대원군
3. 일본: 에도시대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집권과 도요토미 가문의 몰락 | 새로운 막부의 정책과 막번체제의 성립 | 에도막부의 사회구조 | 에도막부의 대외 관계 | 쇄국 | 에도막부의 정책 변화 | 에도막부의 혼란 | 에도막부의 동요 | 서양 세력의 접근과 에도막부의 붕괴 | 에도시대의 학문과 문화
마치면서
찾아보기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