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방 농업의 이해 또는 코끼리를 삼킨 사물들
시니
2025-04-14 05:42
4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2회 연결
본문
북방 농업의 이해

도서명 : 북방 농업의 이해
저자/출판사 : 서완수, 북랩
쪽수 : 288쪽
출판일 : 2018-05-30
ISBN : 9791162991428
정가 : 14000
머리말
제1장 중국의 농업
1. 농업 생산의 기초와 체제의 변천 16
가. 농업 기반 16
1) 농업지대의 구분 16 2) 수자원 18 3) 경지 19 4) 농촌 인구 20
나. 농업 체제의 변천 22
1) 인민공사 체제(人民公社體制) 23 2) 농가생산 도급책임제(農家生産都給責任制) 25
2. 농업 생산량의 변화 28
가. 1차 산업의 위상과 구성 28
나. 경종부문의 구조 변화 31
다. 원예작물 36
라. 축산물 생산과 소비량 39
3. 중국 농업 문제와 정책 방향 42
가. 삼농의 문제 42
나. 농민공의 문제 43
다. 도·농, 지역, 계층 간의 소득격차 47
라. 중국의 농촌 현대화와 향진기업 50
1) 농촌 현대화 정책 50 2) 향진기업(鄕鎭企業) 52
4.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55
가. 농업부문의 민감성과 타결 내용 55
나. 한·중 농산물 무역의 전망 59
5. 맺는 말 62
참고문헌 66
제2장 러시아의 농업
1. 러시아 연방의 개관 71
가. 러시아 연방의 성립 71
나. 러시아 연방의 행정구역 구성 71
다. 경제 74
2. 러시아의 농업 76
가. 러시아 연방 76
나. 극동 연방관구(Far Eastern Federal District) 85
3. 극동 연방관구 연해주의 농업 88
가. 연해주 농업의 자연환경 89
나. 농축산물 생산 90
4. 한국 농기업의 연해주 진출 96
가. 도전의 땅 연해주 96
나. 한국의 농기업 진출 97
다. 연해주 진출의 문제점 100
라. 한·러와 한·연해주 교역 현황 106
5. 맺는 말 110
참고문헌 115
제3장 몽골의 농업
1. 몽골의 농업환경과 경제기반 120
가. 자연조건 120
1) 기후 120
2) 토지의 이용 122
나. 몽골의 경제적 기초 123
다. 국제 경쟁력 125
2. 몽골의 농축산물 생산과 경영 및 유통 127
가. 농업 생산 127
1) 목축업 생산 128
2) 농작물 생산 132
나. 농축산물 경영 135
1) 목축업 135
2) 농산물 139
다. 농축산물의 유통 142
1) 축산물 142
2) 곡물과 채소 146
3) 축산물 가공 147
3. 한·몽 교역 동향 148
가. 일반 무역 148
나. 한·몽 농축산물 수출입 150
4. 몽골 농업 진출 가능성 152
가. 김치 제조업 152
나. 생태 관광상품의 개발 153
다. 물류창고업(농산물 저장) 154
라 사료사업(농후사료, 건초사업) 155
5. 맺는 말 156
참고문헌 160
제4장 북한의 농업
1. 농업 생산 자원 164
가. 자연환경 165
나. 토지 자원 167
다. 노동력 171
2. 식량 생산과 부족의 실상 175
가. 자연재해 175
나. 식량 생산 177
다. 축산물 생산 182
라. 공산체제의 붕괴 184
마. 주체농법 186
3. 식량 부족의 원인과 개선책 189
가. 제도적인 원인 189
나. 투입재의 부족 192
다. 재배 기술의 상대적 후진성 196
라. 농지기반 조성과 관개시설 복구 200
4. 맺는 말 203
참고문헌 206
제5장 한국의 해외농업 개발현황과 문제점
1. 해외 농업개발의 필요성 210
가. 우리나라 식량작물 생산과 수입 211
나. 세계 주요 곡물의 수확면적과 생산량 216
다. 곡물의 국제무역과 국내도입 219
라. 국제 곡물가격의 동향 222
2. 해외 농업 진출의 현황 225
가. 북방아시아 229
나. 동남아시아 232
다. 중앙아시아 237
라. 기타지역 238
3. 진출지역 농업개발의 문제점 240
가. 투자국과 기지국과의 토지 임차관계 240
나. 해외생산의 농산물 도입 243
4. 맺는 말 245
참고문헌 249
부록: 세계의 역사적 기아에 관한 기록과 조선왕조의 대기근
1. 기근(飢饉)의 원인과 측정 254
가. 기근과 기아(饑餓)의 정의 254
1) 자연적인 재해 254
2) 물리·인위적 원인 256
나. 기근의 측정: 세계기아지수(Global Hunger Index: GHI) 256
2. 세계의 역사적 기근에 관한 기록들 260
가. 세계의 역사적인 기근 260
1) 아일랜드(Ireland) 대기근 260
2) 우크라이나(Ukraine)의 홀로도모르(Holodomor) 264
3) 중국 허난성(河南省) 대기근 266
4) 마오쩌둥(毛澤東)의 대약진 운동(1958~1962) 269
5) 상트페테르부르크(레닌그라드) 공방전 271
6) 일본의 에도(江戶) 4대 기근 273
나. 세계의 주요 기근 발생 연표 274
3. 조선왕조의 기록적인 기근 278
가. 경신 대기근 278
나. 을병 대기근 279
4. 맺는 말 283
참고문헌 288
코끼리를 삼킨 사물들

도서명 : 코끼리를 삼킨 사물들
저자/출판사 : 함돈균, 세종서적
쪽수 : 284쪽
출판일 : 2018-03-23
ISBN : 9788984076921
정가 : 16000
저자의 말_ 존재의 깊이에 닿는 대화를 꿈꾸며
가위_ 누가 사용하는가
계단_ 과정과 권태
고궁_ 역사는 현재와의 대화다
고글_ 불가능한 싸움
교과서_ 교본이 되는 인문 정신
구루프_ 뻔뻔함의 현상학
귀도리_ 과잉 귀여움
나무 펜스_ 보호하는가, 배제하는가
노란 리본_ 사건 이후
다이어리_ 반짝이는 건 출발의 순간
단추_ 머뭇거림의 존재 양식
드론_ 전지적 시점의 미디어
등산 스틱_ 감각을 바꾸는 미디어
라디오_ 라디오 스타
마우스_ 클릭이 시작이다
만년필_ 찌르는 방패
목욕탕의 탕_ 카타르시스형 사물
무대 조명_ 생명을 품고 있는 어둠
묵주_ 기도에 깃든 장미향
바둑알_ 시민전쟁
박스_ 공동체(共同體)가 아닌 공동체(空同體)
방제복_ 외계 점령군
밴드_ 상처 난 자리가 중심이다
베개_ 매일매일 다른 것과 만나는 통로
벤치_ 쓰레기통이 놓였던 자리에
비누_ 처녀 엄마
비자_ ‘인간’의 권리는 없다
빨대_ 생명의 도약
사다리_ 면적 없는 반중력
센서_ 퇴행하는 몸
손톱깎이_ 용모 단정 이상
숟가락_ 책임이 들어 있는 계량
스쿨버스_ 도로 위의 메시아
스툴_ 미(美)는 스스로 몸을 곧추 세우고
스피커_ 잘 듣는 귀는 심장을 닮았다
실타래_ 문제는 ‘푸는’ 것이다
쓰레기통_ 이 안에 든 것은 정말 ‘쓰레기’일까
아파트_ 건축무한육면각체
액자_ 프레임 전쟁과 노예 도덕
에어컨_ 인공적 듀얼 시즌
에코백_ 우리는 패션으로 에코한다
열쇠고리_ 곁에 있는 작은 토템
인형뽑기 기계_ 도박이 아닌 허무주의
정수기_ ‘순수한’ 불신 시대
조리_ 최소한의 고리
좌변기_ 휴머니즘의 발명
주유기_ 길 위의 세속 교회
지갑_ 유리지갑과 13월의 폭탄
참빗_ 차분하고 촘촘한
책_ 이상한 나라의 아날로그
철조망_ 갇힌 건 우리
칫솔_ ‘치아’가 아니라 ‘이빨’이다
코인_ 화폐 아닌 화폐
콘센트_ 도시인의 산소호흡기
타일_ 부분과 전체
텀블러_ 기호가 된 생필품
트렁크_ ‘생활’을 굴리는
티백_ 벗과 다도(茶道) 없는 차 가방
파티션_ 존재를 가르기
포스기_ 나는 네게 애인이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핫바디_ 몸이라는 머스트 해브 아이템
핫팬츠_ 청춘의 패션은 무엇으로 만들어지는가
향_ 두 세계를 잇는 나무
헤어드라이어_ 도시인의 순풍
형광등_ 무드 없는 빛
화분_ 도시 농부
확성기_ 귀 없이 혀만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