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사회를 잡아라. 2: 사회 정의와 미래를 위한 숙제 또는 봄 속으로 풍덩
시니
2025-04-14 05:42
1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0회 연결
본문
통합 사회를 잡아라. 2: 사회 정의와 미래를 위한 숙제

도서명 : 통합 사회를 잡아라. 2: 사회 정의와 미래를 위한 숙제
저자/출판사 : 강봉균 , 강은경 , 강혜원 , 김승우 , 송훈섭 ,, 사계절
쪽수 : 248쪽
출판일 : 2018-03-24
ISBN : 9791160943429
정가 : 16000
VI. 정의로운 사회를 위해 우리가 알아야 할 것들 014
-사회 정의와 불평등
1. 정의란 무엇일까? 016
2. 고대 사상가들은 정의를 어떻게 보았을까? 018
3. 정의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일까? 021
4. 어떤 사회가 정의로운 사회일까? 023
5. 정의로운 분배의 실질적 기준은 무엇일까? 026
6. 자유주의적 정의관과 공동체주의적 정의관은 어떻게 구분할 수 있을까? 031
7. 자유주의적 정의관과 이를 대표하는 사상가는 누구일까? 033
8. 공동체주의적 정의관이란 무엇일까? 037
9. 개인의 권리와 공동체에 대한 의무, 어느 것이 중요할까? 039
10. 사익과 공익은 어떻게 조화를 이룰 수 있을까? 042
11. 사회 불평등 현상이란 무엇일까? 045
12. 공간 불평등 현상은 어떻게 나타나고 있을까? 048
13. 정의로운 사회를 만들기 위한 제도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051
14. 사회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할 수 있을까? 054
VII. 알록달록 무지갯빛! 문화 속의 삶, 삶 속의 문화 056
-문화와 다양성
15. 지역마다 다른 문화가 나타나는 이유는?-문화권의 형성 058
16. 문화권은 어떻게 구분할까? 061
17. 자연환경과 인문환경은 문화권 형성에 어떤 영향을 주었을까? 064
18. 두 문화권 이야기①-아시아 문화권과 유럽 문화권 067
19. 두 문화권 이야기②-건조 문화권과 아프리카 문화권 070
20. 두 문화권 이야기③-아메리카 문화권과 오세아니아 문화권 073
21. 문화 변동이란 무엇일까? 077
22. 문화 동화는 무엇일까? 079
23. 문화 융합은 무엇일까? 081
24. 문화 병존은 무엇일까? 083
25. 우리에게 전통문화란 무엇일까? 085
26. 전통 문화를 어떻게 계승해야 할까? 088
27. 자문화 중심주의는 왜 바람직하지 않을까? 091
28. 문화 사대주의는 왜 바람직하지 않을까? 094
29. 문화 상대주의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일까? 096
30. 문화 상대주의는 어떤 한계가 있을까? 098
31. 보편 윤리를 통한 성찰이 왜 필요할까? 100
32. 다문화 사회란 무엇일까? 104
33. 다문화 사회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106
34. 다문화 정책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109
35. 우리나라의 다문화 정책은 어떻게 진행되고 있을까? 113
36. 올바른 다문화 사회로 가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116
VIII. 더 가까워진 지구에서 함께 살아가는 법 121
-세계화의 양상과 문제
37. 세계화란 무엇일까? 122
38. 가깝고도 먼 세계화와 지역화, 이 둘은 어떤 관계일까? 125
39. 세계화 시대에 세계 도시의 모습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을까? 128
40. 세계화는 다국적 기업에 어떤 영향을 끼치고 있을까? 131
41. 세계화가 낳은 문제점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135
42 세계화의 문제점을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138
43. 오늘날 국제 사회는 어떤 모습일까? 141
44. 국제 사회를 바라보는 현실주의 이론과 이상주의 이론은 무엇일까? 142
45. 국제 갈등의 모습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144
46. 국제 협력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148
47. 국제 사회의 행위 주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150
48. 행위 주체로서 국제기구는 어떤 역할을 할까? 151
49. 행위 주체로서 비정부 기구는 어떤 역할을 할까? 154
50. 평화의 의미는 무엇일까? 157
51. 우리나라는 어떻게 분단됐을까? 160
52. 통일을 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163
53. 통일에 반대하는 논리와 이를 반박하는 논리는 무엇인가? 165
54. 통일로 얻는 편익은 무엇이며, 우리의 삶은 어떻게 변화할까? 167
55. 통일과 관련된 비용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170
56. 동아시아 역사 갈등과 그 해결 방안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174
57. 국제 사회에서 우리나라의 위상은? 178
58. 우리나라는 국제 사회의 평화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을까? 180
IX. 미래 사회를 위한 숙제들 182
-미래와 지속 가능한 삶
59. 세계에는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살고 있을까? 184
60. 사람들은 주로 어디에 살고 있을까? 187
61. 세계의 인구 구조는 어떤 모습일까? 190
62. 우리나라의 인구 구조는 어떤 모습일까? 194
63. 인구 이동은 어떤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을까? 197
64. 개발도상국의 인구 문제와 그 해결방안은 무엇인가? 200
65. 선진국의 인구 문제와 그 해결방안은 무엇인가? 203
66. 우리나라가 안고 있는 인구 문제와 그 해결방안은 무엇일까? 207
67. 자원이란 무엇인가? 211
68. 자원의 특징은 무엇일까? 214
69. 석탄은 어떻게 만들어지고 분포하며 소비되고 있을까? 216
70. 석유와 천연가스는 어떻게 만들어지고 분포하며 소비되고 있을까? 219
71. 주요 에너지 자원의 분포와 소비에 따른 문제는 어떤 것이 있을까? 222
72. 신·재생 에너지는 무엇이며 신·재생 에너지 개발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일까? 225
73.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우리는 어떤 노력을 해야 할까? 228
74. 미래 사회①- 국가 간 정치·경제 문제의 갈등과 협력은 우리의 미래를 어떻게 바꿀까? 232
75. 미래 사회②-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공간과 삶의 모습은 어떻게 변화될까? 236
76. 미래 사회③- 미래의 생태 환경은 어떤 모습일까? 241
77. 미래의 삶을 위해 우리는 어떤 준비를 해야 할까? 243
봄 속으로 풍덩

도서명 : 봄 속으로 풍덩
저자/출판사 : 주미경, 키즈엠
쪽수 : 32쪽
출판일 : 2018-04-12
ISBN : 9788967499143
정가 : 12000
이 책은 목차가 없습니다.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