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서재 또는 초상화, 그려진 선비정신
시니
2025-04-14 05:42
1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0회 연결
본문
사서재

도서명 : 사서재
저자/출판사 : 고봉진, 푸른영토
쪽수 : 280쪽
출판일 : 2018-04-20
ISBN : 9791188292486
정가 : 14800
머리말
I. 독서
수불석권手不釋卷
쉬운 책부터 시작하세요
당신의 추천도서
책을 사야 하는 이유
서재를 가꾸세요
서점과 도서관
독서만권讀書萬卷
요즘은 책이 잘 안 잡히네요
끝까지 읽어야 한다는 부담은 버리세요
머리를 주먹질 해대는 독서를 할 수 있다면
자서전, 평전을 읽으세요
고전을 읽으세요
독서와 병심확秉心確
때를 읽으세요
나의 추천도서
II. 초서
중요 문장을 옮겨 쓰세요
“초서하기 위해 책을 읽는 것 같다”
초서 독서로 핵심을 찾아요
따라 쓰며 배우세요
‘자신만의 연장통’을 활용하세요
초서는 습관입니다
초서 블로그를 운영해 보세요
표현을 훔치고 싶을 때가 있죠
초서 문장이 글씨앗이 됩니다
레고와 초고
초서를 통해 본 인생살이
III. 저서
글쓰기를 실천해 보세요
글쓰기와 친숙해지세요
삶이 절박해야 글이 써집니다
포기해야 쓸 수 있어요
쓰려면 즐기세요
필일오必日五
정해진 시간과 분량
저술의 뮤즈
저자가 되어보세요
나누어서 꾸준하게 쓰세요
처음이 어렵다면 중간부터 시작하세요
편집자가 되세요
글쓰기 여행
초고는 초고일 뿐이에요
글쓰기가 주저됩니다
강아지를 키우세요
메모의 메모
“발로 써라”
쓰기를 갈망하세요
쓰는 작가가 됩시다
기다리는 시간
삶이 담긴 글쓰기
꾸준한 둔재가 글을 씁니다
글쓰기의 힘
IV. 무자서
‘인생이라는 큰 책’을 쓰세요
공부하는 인생
부족함을 느껴야 공부하게 됩니다
공부하는 즐거움
호기심이 새로운 길을 만들어요
오늘의 땀이 내일의 열매가 돼요
절차탁마 대기만성切磋琢磨 大器晩成
열정, 미친 듯이 쓰세요
재미와 의미
큰 사막이 큰 여행자를 키워요
모멘토 모리Momento Mori
자신의 날수를 세어보세요!
절망에 서서 희망을 보세요
프랑크푸르트 영어 과외 선생
만하임과 하노버
한 걸음 물러나 쓰세요
감사와 행운아 마인드
전화위복轉禍爲福의 힘
공부하는 습관을 가지세요
책상머리 공부, 세상 공부, 인생 공부
Self-reliance
초상화, 그려진 선비정신

도서명 : 초상화, 그려진 선비정신
저자/출판사 : 이성낙, 눌와
쪽수 : 224쪽
출판일 : 2018-03-16
ISBN : 9791189074005
정가 : 18000
서문
넋두리에서 시작하여 책으로
Ⅰ장 초상화에서 피부병을 발견하다
1. 초상화에 빠진 피부과 의사
2. 정직함의 발현, 초상화 속 피부병
◆윤두서 자화상과 뒤러 자화상, 어느 쪽이 더 세밀한가
Ⅱ장 개국 군주에서부터 망국의 지사까지
1. 태조 어진
개국 군주의 얼굴에 흠집을 남기다
2. 홍진 초상
주먹만큼 부풀어오른 코, 코주부 선비의 고뇌
3. 김새신 초상
민둥민둥한 얼굴, 내시의 초상
◆나무불상에 담긴 내시 아내의 애달픈 사연
4. 장만 초상
애꾸눈의 두 전쟁 영웅, 서로 다른 초상화
5. 이시방 초상
말굽에 채인 상처일까, 피부병의 흔적일까
◆클레의 작품에 스민 전신성경피증의 고통
6. 오명항 초상
어두워진 얼굴빛, 죽음의 그림자
7. 유복명 초상
얼굴 가득 털이 난 다모증의 선비
8. 송창명 초상
하얗게 물든 얼굴, 백반증의 증거
◆조선시대 탈에도 피부병이 묘사되어 있다
9. 서명응 초상
어른이 되어도 남은 ‘얼굴의 몽골반점’
10. 채제공 초상
당대 명재상의 사시를 그리다
◆채제공이 신윤복의 미인도를 봤다면?
11. 서매수 초상
청소년들의 영원한 고민, 울긋불긋 여드름
12. 서직수 초상
쌍둥이 모발에서 보는 조선시대 초상화의 자존심
◆서양에서 온 초상화의 도우미, 카메라 옵스쿠라
13. 강인 초상
아버지와 아들, 팔자 주름이 닮았네
◆부채 속 애꾸눈 청년은 무엇을 꿈꾸었을까
14. 이채 초상
할아버지의 초상인가, 손자의 초상인가
◆베껴 그린 그림인가? 두 개의 홍상한 초상
15. 신홍주 초상
수염 속에 숨은 작은 혹까지도
16. 김정희 초상
추사의 얼굴에 다녀간 ‘손님병’의 흔적
17. 홍직필 초상
얼굴에 피어난 발진, 병마에 시달린 흔적
18. 황현 초상
죽음을 각오한 선비, 그 사팔눈에 담긴 개결함
Ⅲ장 조선시대 초상화, 그 고유함에 대하여
1. 피부병을 찾기 힘든 서양의 초상화
◆베르메르가 그린 소녀는 머리카락이 없었을까
2. 과시와 조상숭배, 중국의 초상화
3. 도식화된 권위, 일본의 초상화
◆빨간 립스틱을 바른 조선 선비?
4. 선비정신을 담은 조선시대 초상화
후기
선비정신, 다시 살아나야 한다
참고 문헌
참고 도록
외국 문헌
색인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