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서 가장 발칙한 성공법칙 또는 마르크스 전기. 1
시니
2025-04-14 05:42
7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4회 연결
본문
세상에서 가장 발칙한 성공법칙

도서명 : 세상에서 가장 발칙한 성공법칙
저자/출판사 : 에릭 바커, 갤리온
쪽수 : 380쪽
출판일 : 2018-06-04
ISBN : 9788901225081
정가 : 16000
Prologue 무엇이 진짜 성공을 가져다주는가
chapter 1 모범생과 반항아 중 더 성공하는 건 누구일까
ㆍ 전교 1등이 사회 1등은 되기 어려운 이유
ㆍ 막돼먹은 성격 덕에 총리가 된 윈스턴 처칠
ㆍ 좋은 지도자와 위대한 지도자의 차이
ㆍ 미친 자들이 모여 만든 오스카 최우수 애니메이션
ㆍ 평균이라는 단어의 무시무시한 함정
ㆍ 기업이여, 극단적인 아웃라이어를 찾아라
ㆍ 당신은 성실한 모범생인가 또라이 혁신가인가
ㆍ 월스트리트 최고 애널리스트가 이직 후 평범해진 까닭
chapter 2 착한 사람은 꼴찌로 살 수밖에 없는가
ㆍ 아직도 세상이 공평하다고 믿는 당신에게
ㆍ 세상에서 가장 불행한 나라, 몰도바의 사람들
ㆍ 나쁜 짓을 할 때도 신뢰와 협력이 필요하다
ㆍ 카리브해를 호령하던 해적왕은 사실 아무도 죽이지 않았다
ㆍ 최정상에 오른 이들과 꼴찌라 불리는 이들의 공통점
ㆍ 무자비한 게임에서 모두가 살아남는 법
ㆍ 팃포탯의 성공이 알려주는 4가지 인생 교훈
ㆍ ‘사람 좋은 멍청이’가 되지 않기 위해 지켜야 할 규칙
chapter 3 끝까지 해내는 그릿이냐, 전략적 포기냐
3-1 포기하지 않으면 결국 승리할까?
ㆍ 몰래 국경을 넘은 소년이 세계 최고 뇌수술 전문의가 된 비결
ㆍ 실패와 역경을 이겨내는 원동력, 그릿
ㆍ 1%만 살아남는 네이비실의 훈련을 버텨낸 사람들
ㆍ 낙관적 태도만으로 결과는 분명 달라진다
ㆍ 아우슈비츠에서 살아남을 수 있었던 단 하나의 이유
ㆍ 사람을 살리기도 하고 죽이기도 하는 ‘스토리’의 힘
ㆍ 펩시 CEO라는 직함도 버리게 만든 스티브 잡스의 질문
ㆍ 해발 6,400미터 설산에서 조난당한 그를 일으켜 세운 것
ㆍ 모든 과정을 하나의 게임이라고 생각하라
* 그릿 활용법 - 좋은 게임의 4가지 요소
3-2 포기할 줄 알면 절반은 이긴 것이다?
ㆍ 하나를 선택하면 다른 하나는 하지 못한다
ㆍ 1만 시간의 법칙이 위대한 진짜 이유
ㆍ 프린스턴을 중퇴하고 무작정 소림사로 떠난 남자
ㆍ 빠른 실패가 가장 저렴한 실패다
ㆍ 완벽한 대본을 갖고 무대에 오르는 코미디언은 없다
ㆍ 5퍼센트의 시간을 미친 짓에 투자하라
ㆍ 내게 벌어질 수 있는 최악의 상황은 무엇인가
* ‘끈기의 힘’이냐 ‘포기의 힘’이냐
chapter 4 실력과 인맥 중 무엇이 더 결정적인가
ㆍ 20만 명의 인생을 바꾼 미치광이 수학자, 에르되시
ㆍ 최고의 리더가 되는 외향적인 사람들
ㆍ 스스로를 독방에 감금한 천재 과학자 뉴턴
ㆍ 최고의 전문가가 되는 내향적인 사람들
ㆍ 애덤 그랜트가 정의한 성공의 첫 번째 조건
ㆍ 실리콘밸리 최고 ‘인맥왕’의 비결
ㆍ 유치원생의 친구 사귀기에서 배우는 교훈
ㆍ 멘토가 필요하지 않은 사람은 없다
ㆍ 일생일대의 멘토를 만나는 법
chapter 5 자신감은 성공의 전제조건인가 때로 독이 되는가
ㆍ 세계 최고의 체스 챔피언을 흔든 슈퍼컴퓨터의 한 수
ㆍ 실력 있는 사람보다 자신감 있는 사람이 더 빨리 승진한다
ㆍ 나치와의 전쟁을 승리로 이끈 유령부대의 전략
ㆍ 말콤 글래드웰이 지적한 자신감의 딜레마
ㆍ 최고의 변호사들이 비관주의자인 이유
ㆍ 자신감에 대한 패러다임을 뒤바꿔라
ㆍ 오만과 겸손 사이 적절한 균형을 찾는 법
chapter 6 워커홀릭 vs 워라밸, 성공은 누구의 편일까
ㆍ 역사상 최고의 타자였던 완벽주의자 테드 윌리엄스
ㆍ “그 정도면 됐어”는 허용하지 않는 것
ㆍ 남들보다 훨씬 잘할 수 있는 일을 찾아라, 그것이 대표강점이다
ㆍ 아인슈타인의 삶은 누가 봐도 훌륭한 인생일까
ㆍ 1시간 일한다는 것은, 누군가와 보낼 1시간을 잃는 것이다
ㆍ 번아웃 증후군을 피하는 가장 좋은 방법
chapter 7 일과 삶의 균형을 지키는 유연한 사람이 되는 법
ㆍ 재미와 성공 두 마리 토끼를 잡는 법
ㆍ 휴식에도 80 : 20의 법칙은 적용된다
ㆍ 워라밸이 뜨거운 화두로 떠오른 이유
ㆍ 성공에 대해 ‘나만의’ 정의를 내려라
ㆍ 워라밸을 원한다면 한계를 설정하라
ㆍ 로마인보다 더 넓은 영토를 정복한 칭기즈칸의 비밀
ㆍ 스트레스를 줄이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ㆍ 인텔의 CEO는 왜 시간관리를 강조했을까
ㆍ ‘진짜 일’에 몰입할 수 있는 1시간을 확보하라
ㆍ 사소하지만 위대한 환경의 차이
ㆍ 무슨 일이든 마지막이 제일 중요하다
Epilogue 성공의 길은 다양하다, 그리고 당신도 성공할 수 있다
감사의 말
참고 문헌
마르크스 전기. 1

도서명 : 마르크스 전기. 1
저자/출판사 : 마르크스 레닌주의연구소, 노마드
쪽수 : 496쪽
출판일 : 2018-05-05
ISBN : 9791186288214
정가 : 25000
ㆍ옮긴이의 글
ㆍ우리나라의 학문적 수용에 큰 기여할 듯_ 〈마르크스 전기〉(1889) 초판에 대한 전(前) 고려대 최장집 교수의 〈한겨레신문〉 서평
ㆍ머리말
1장 유물론과 과학적 사회주의에 이르는 길
유년시절과 청년시절|본과 베를린에서 보낸 학창시절|청년헤겔학파와 헤겔 철학 연구|박사학위 논문|포이어바흐에 대한 입장|정치활동의 개시_ 프로이센 검열제도에 대한 평론|〈라인신문〉의 기고가이자 편집장|마르크스의 정치평론에 나타난 혁명적 민주주의 사상|‘자유인’들과의 갈등|〈라인신문〉의 폐간|크로이츠나흐에서, 〈헤겔 법철학 비판〉 초고_ 역사에 관한 노트|〈독불연보〉의 발행 준비, 파리로 가다|궁극적으로 채택한 유물론과 과학적 사회주의|위대한 우정의 서막|〈독불연보〉에 대한 동시대의 평가
2장 프롤레타리아적 전망의 원리에 대한 최초의 정식화
루게와 결별|1844년 파리에서의 마르크스|과학적 탐구|〈1844년 경제학·철학 초고〉|〈전진〉에서의 활동|역사적인 만남|청년헤겔학파에 대한 연대 공격의 준비|〈신성가족〉|파리에서 추방당하다
3장 사적 유물론
브뤼셀에서|엥겔스의 도착, 새로운 철학서의 준비|[포이어바흐에 관한 테제]|외국 사회주의 총서의 출판계획과 언론 기고|초기 추종자들|영국 여행|정치경제학과 사회주의 문학에 대한 비판적 연구|〈독일 이데올로기〉 집필에 몰두하다|사회 발전관의 혁명을 완수하다|자기 정화
4장 프롤레타리아 당을 위한 투쟁의 출발_ 국제노동계급 운동을 위한 강령
‘브뤼셀공산주의자통신위원회’|바이틀링과 결별|‘진정한 사회주의’에 대한 투쟁|프루동과의 논쟁|〈철학의 빈곤〉|‘공산주의자동맹’의 발족|브뤼셀의 ‘독일노동자협회’|[임금노동과 자본]|정기간행물의 출판 시도|국제 경제학자 회의|카를 하인첸과의 논쟁|혁명 역량을 결집시키기 위한 노력|‘공산주의자동맹’ 제2차 회의|대회 이후|[공산당선언]을 위한 작업|최초의 마르크스주의적 강령
5장 1848~49년 혁명기
유럽 도처에서 혁명이 폭발하다_ 마르크스, 브뤼셀에서 추방|파리 생활과 ‘혁명 수출’ 발상에 대한 투쟁|[독일에서의 공산당의 요구]|혁명적 독일에서의 활동 개시|고트샬크와 보른의 견해에 대한 반박|민주주의 운동의 프롤레타리아파|〈신라인신문〉의 편집장|부르주아 민주주의 혁명의 완수를 위한 투쟁|피압박 인민 투쟁에 대한 지원_ 외교정책에 대한 〈신라인신문〉의 입장|파리의 6월 봉기|프롤레타리아트의 혁명기관지|반혁명적 공세에 대한 정면대결_ ‘쾰른노동자동맹’과 ‘민주주의협회’에서의 활동|베를린과 빈 여행|독일에서의 9월 위기|빈의 10월 봉기|프로이센 반혁명 쿠데타와의 투쟁|독일과 유럽 혁명들의 첫 결과와 전망|각 민주세력의 통일 작업|두 개의 재판|1849년 2~3월의 마르크스|대중적 프롤레타리아 당 창건을 위한 실천적 조치들|〈신라인신문〉과 헝가리·이탈리아의 민족해방투쟁|라인 봉기의 좌절과 〈신라인신문〉의 폐간|남서부 독일에서|파리로 귀환, 6월 13일|역사적 첫 시험대에 오른 마르크스주의
6장 혁명의 교훈 요약
런던에서 보낸 첫 몇 개월|〈신라인신문·정치경제평론〉의 창간|〈프랑스의 계급투쟁〉|‘공산주의자동맹’ 재건 활동_ 3월의 중앙위원회 공문|‘공산주의혁명가총연합회’|〈신라인신문·정치경제평론〉에 실린 평론들|국제정세 개관, 혁명의 전망에 대한 평가|빌리히와 샤퍼, 종파주의적·모험주의적 파벌과 투쟁|맨체스터로 떠난 엥겔스_ 두 친구의 서신 교환|프루동에 대한 새로운 공격 계획|〈루이 보나파르트의 브뤼메르 18일〉|프티부르주아 민주주의에 대한 비판_ 팸플릿 [위대한 망명객들]|쾰른 공산주의자 재판|‘공산주의자동맹’의 해체와 당 건설을 위한 새로운 투쟁 형태
7장 반동기
반동과 궁핍에 의한 곤경|가정에서의 마르크스|시련 속에서 돈독해진 우정|경제학 연구|다른 분야의 과학적 연구|프롤레타리아 혁명가 양성_ 독일 노동자들의 혁명적 전통 보호|마르크스와 1850년대 인민헌장운동|미국 노동계급 운동과의 연계|진보적인 부르주아 대중매체에 기고|정치평론가 마르크스|영국 정치체제 관련 평론들|대륙 반동체제에 대한 투쟁|자본주의 국가의 식민지 정책 폭로|지배계급의 대외정책에 대한 비판|동방문제에 관한 혁명적 전술_ 크림전쟁에 대한 입장|[18세기 외교사의 폭로]|[혁명적 스페인]|새로운 투쟁에 직면하여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