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 듣고 말하는 호락호락 한국사. 6: 조선 시대(2) 또는 Praxis 법학 입문: 법률 공부 내비게이션
시니
2025-04-14 05:42
2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0회 연결
본문
보고 듣고 말하는 호락호락 한국사. 6: 조선 시대(2)

도서명 : 보고 듣고 말하는 호락호락 한국사. 6: 조선 시대(2)
저자/출판사 : 문원림, 뭉치
쪽수 : 236쪽
출판일 : 2018-05-30
ISBN : 9791188704439
정가 : 12000
작가의 글
1장_ 조선은 또다시 전쟁터가 되었어
김영철이 들려주는 병자호란 이야기
전쟁을 몸소 겪은 광해군
명나라의 파병 요구
남의 나라 전쟁
신하가 세운 임금, 인조
굴욕적인 항복을 한 병자호란
돌아온 소현 세자
효종의 북벌 정책
호락호락 토론방
청나라를 배워야 할까, 배척해야 할까?
한눈에 쏘옥!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의 일지란다.
그때 세계는?
16세기부터 유럽에는 절대주의 국가들이 등장했어.
2장_ 나라는 활기를 되찾았지
정약용이 들려주는 영ㆍ정조 시대 이야기
붕당 정치
대동법을 확대한 숙종
우리 섬을 지킨 용감한 백성 안용복
백성을 사랑한 영조
개혁의 상징 정조
완성되지 못한 개혁
조선의 실학자들
호락호락 토론방
실학은 백성들에게 도움이 되었나요?
한눈에 쏘옥!
실학자들은 백성들도 잘살길 바랐어.
그때 세계는?
과학 혁명과 계몽사상이 인간의 삶을 크게 변화시켰어.
3장_ 백성들도 문화를 즐겼어
김홍도가 들려주는 백성들 이야기
변화의 바람
김홍도의 풍속화
신윤복의 풍속화
백성들이 즐긴 문화
호락호락 토론방
여자는 정말 과거를 볼 수 없었을까?
한눈에 쏘옥!
탈놀이의 모습은 지역별로 조금씩 다르단다.
그때 세계는?
세계적인 교역과 함께 대규모 인구 이동이 일어났지.
4장_ 조선이 뿌리째 흔들리고 있었지
전봉준이 들려주는 19세기 이야기
세도 정치
홍경래의 난
진주 민란
서학과 동학사상
대원군이 펼친 정책
이양선 출몰
강화도 불평등 조약
임오군란
갑신정변
갑오농민혁명
마무리 이야기꾼 뚜벅이가 본 세상
을미사변
단발령
아관파천
대한제국
호락호락 토론방
나라의 문을 열어야 할까, 닫아야 할까?
덤이야!
조선에 들어온 근대 문물
한눈에 쏘옥!
19세기 조선은 폭풍우를 만난 돛단배 같았어.
그때 세계는?
시민 혁명과 산업 혁명이 새로운 시대를 열었어.
연표
찾아보기
Praxis 법학 입문: 법률 공부 내비게이션

도서명 : Praxis 법학 입문: 법률 공부 내비게이션
저자/출판사 : 조상희, 한국학술정보
쪽수 : 194쪽
출판일 : 2018-05-31
ISBN : 9788926884362
정가 : 16000
서문 _ 4
1. 법과 법학 일반 _ 9
1.1. 법의 개념과 존재이유 _ 9
1.2. 법의 계통 _ 10
1.3. 자연법과 실정법 _ 15
1.4. 법의 연원 _ 24
1.5. 법의 해석과 적용 _ 38
1.5.1. 법 해석의 필요성 _ 38
1.5.2. 법 해석의 방법 : 문리해석과 논리해석 _ 44
1.5.3. 사법적극주의 _ 57
2. 법의 제정과 효력 _ 59
2.1. 법의 제정 _ 59
2.2. 입법절차의 하자를 다투는 방법 _ 63
2.3. 법의 효력의 범위 및 효력 확보 방법 _ 70
2.3.1. 법의 효력의 범위 _ 70
2.3.2. 법의 효력 확보 방법 -- 제재 _ 76
3. 법의 지배와 적법절차 _ 87
3.1. 법의 지배(법치주의) _ 87
3.2. 적법절차 _ 92
4. 권리와 의무 _ 109
4.1. 권리의 종류 _ 109
4.1.1. 물권, 채권, 가족권, 인격권 _ 111
4.1.2. 지배권, 청구권, 형성권, 항변권 _ 115
4.2. 권리의 취득과 소멸 _ 117
4.2.1. 물권의 취득 _ 117
4.2.2. 채권의 취득 _ 118
4.2.3. 물권의 소멸 _ 120
4.2.4. 채권의 소멸 _ 121
4.3. 권리남용의 금지의 원칙 _ 122
4.4. 의무의 종류 _ 124
4.4.1. 급부의무와 부수의무 _ 124
4.4.2. 수인의무 _ 125
4.4.3. 주의의무 _ 127
4.4.4. 고지의무 _ 130
5. 행위와 의사 _ 135
5.1. 법률행위와 의사표시 _ 135
5.2. 범죄행위와 고의?목적 _ 136
5.3. 선의, 악의, 해의, 진의 _ 143
6. 권리의 실현과 절차 _ 150
6.1. 자력구제의 금지 _ 150
6.2. 소멸시효와 제척기간 _ 154
6.3. 민사재판 _ 156
6.4. 민사집행 _ 157
6.5. 헌법소송과 행정소송 _ 160
6.5.1. 헌법소송 _ 160
6.5.2. 행정소송 _ 161
7. 범죄의 처벌과 절차 _ 162
7.1. 범죄의 성립요건 _ 162
7.2. 수사와 기소 _ 163
7.3. 형사재판과 집행 _ 166
8. 법의 분야 및 주제 _ 170
8.1. 민사법 _ 170
8.2. 형사법 _ 173
8.3. 공법 _ 174
8.4. 특수 분야의 법 _ 176
9. 법학 공부 방법 _ 180
9.1. 원칙과 예외, 예외의 배제 _ 181
9.2. Forest before trees ?판례들 속에서 길을 잃지 마라 _ 186
9.3. 낭독과 발표와 협동 _ 186
9.4. IRAC _ 188
9.5. 법률가를 직업으로 하기 좋은 성격 _ 193
참고문헌 _ 194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