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과 행복. 3 또는 일본인을 위한 한국어 입문
시니
2025-04-14 05:41
7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2회 연결
본문
일과 행복. 3

도서명 : 일과 행복. 3
저자/출판사 : 안주엽 , 이경희 , 오선정 , 강동우 , 김주영 ,, 한국노동연구원
쪽수 : 355쪽
출판일 : 2017-12-29
ISBN : 9791126001842
정가 : 16000
요약
제1장 행복경제학의 지난 40년을 돌아보며:앞으로 나아갈 방향은? (Andrew Clark)
제1절 서론
제2절 주관적 안녕의 상관 요인
1. 개인 차원의 요인
2. 종합적 요인
3. 사회적 비교
4. 적응
제2장 직업안정성과 직무만족도 : 민간부문 및 공공부문 근로자 비교 (오선정ㆍ손호성)
제1절 서론
제2절 이론적 배경
제3절 실증분석
1. 자료
2. 실증분석 전략
3. 분석 결과
제4절 소결
제3장 비자발적 이직과 삶의 만족도 (김주영ㆍ박진)
제1절 서론
제2절 이직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
제3절 추정 방법 및 데이터
제4절 추정 결과
제5절 소결
제4장 은퇴가 주관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Garry F. BarrettㆍKadir Atalay)
제1절 서론
제2절 선행연구 고찰
제3절 데이터 및 표본 구성
제4절 분석방법
1. 패널회귀모형 : 고정효과 추정량
2. 패널회귀모형 : 고정효과 도구변수 추정량
제5절 실증분석 결과
1. 은퇴와 주관적 안녕
2. 은퇴에 대한 쾌락 적응
제6절 소결
제5장 은퇴 고령층의 주거이동과 생활만족도
제1절 연구의 배경
제2절 선행연구
1. 주거이동과 생활만족도
2. 은퇴 적응
제3절 연구방법론
1. 분석 자료
2. 분석 모형 및 방법
3. 분석 표본의 특성
제4절 분석 결과
1. 전반적 생활만족도
2. 주거생활만족도
제5절 소결
제6장 상대소득과 상대적 의식 및 행복 (이선연ㆍFumio Ohtake)
제1절 서론
제2절 자료
1. 자료
2. 행복과 소득
3. 상대소득
4. 상대의식
제3절 분석 모형과 추정 결과
1. 분석 모형
2. 실질적/상대적 차원의 행복과 소득
3. 행복, 상대의식, 상대소득
4. 개인적 선택, 상대소득, 상대의식
제4절 소결
1. 상대의식과 준거집단의 선택
2. 행복과 효용
제7장 경쟁실험에서의 행복과 생산성 (정세은)
제1절 서론
1. 연구 필요성
2. 연구 목적
제2절 실험 설계 및 절차
제3절 결과
1. 기초통계량
2. 실증 계량 분석
제4절 소결
제8장 무엇이 행복한 지역을 구성하는가? 지역특성과 행복의 관계탐색 (강동우)
제1절 서론
제2절 지역특성과 행복의 관계에 관한 선행연구
제3절 지역별 행복도 분포
1. 분석 자료
2. 지역별 행복도 분포
제4절 지역특성과 행복의 상관관계 분석
1. 분석 모형과 자료
2. 추정 결과 : 기본모형
3. 추정 결과 : 개인 및 가구특성 통제 모형
4. 추정 결과 : 지역특성 통제 모형
제5절 소결
제9장 부탄의 국민총행복 (안주엽)
제1절 국민총행복의 개념
1. 개요
2. 국민총행복의 개념
3. 국민총행복의 4대 기둥 (Four Pillars of GNH)
4. 국민총행복의 9대 영역 (9 dimensions of GNH)
제2절 국민총행복지수
1. 개요
2. 국민총행복지수의 목적
3. 국민총행복지수 확정을 위한 노력
4. 9대 영역(domains)과 33개 지표(indicators)
5. 국민총행복지수의 산출 및 해석
제3절 국민총행복조사
1. 조사연혁
2. 2015년 국민총행복지수
3. 국민총행복의 변화(2010년~2015년)
제4절 국민총행복과 정부 정책
1. 연차보고서(The State of the Nation)
2. 제10차 및 제11차 5개년계획(Five Year Plan)
3. 제12차 5개년계획(2018~2023년)
4. 국민총행복위원회와 국민총행복정책심사도구
제5절 소결
1. 주요 결과 요약
2. 평가 및 도전
제10장 '일과 행복' 연구를 마무리하며 (안주엽)
제1절 일과 행복 : 협동연구과제의 기획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연구의 주제
제2절 일과 행복 : 3개년 연구
1. 제1차년도 연구보고서(2015년)
2. 제2차년도 연구보고서(2016년)
3. 제3차년도 연구보고서(2017년)
4. 한국노동패널조사 제18차 조사(2015년) 삶의 인식 부가조사
5. 일과 행복 국제콘퍼런스(International Conference on Work and Happiness)
제3절 에필로그
참고문헌
일본인을 위한 한국어 입문

도서명 : 일본인을 위한 한국어 입문
저자/출판사 : 경희대학교평생교육원, 민중서림
쪽수 : 152쪽
출판일 : 2018-01-10
ISBN : 9788938700056
정가 : 13000
null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