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화로 보는 일리아스 또는 한국 근대 예술과 육체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명화로 보는 일리아스 또는 한국 근대 예술과 육체

시니
2025-04-14 05:41 7 0

본문




명화로 보는 일리아스
9788965781318.jpg


도서명 : 명화로 보는 일리아스
저자/출판사 : 김성진 , 강경수 엮음 · 호메로스, 미래타임즈
쪽수 : 504쪽
출판일 : 2018-02-10
ISBN : 9788965781318
정가 : 18500

▣머리말

제1부 / 전쟁의 원인
ㆍ 에리스의 황금 사과
ㆍ 파리스의 심판
ㆍ 지상 최고의 미인 헬레네
ㆍ 파리스와 헬레네
ㆍ 아킬레우스의 출생
ㆍ 미친 척하는 오디세우스

제2부 / 트로이아 출정
ㆍ 이피게네이아의 희생
ㆍ 필록테테스의 낙오
ㆍ 프로테실라오스의 장렬한 죽음
ㆍ 트로이아 성의 유래
ㆍ 프로테실라오스와 라오다메이아
ㆍ 전리품 크리세이스
ㆍ 아가멤논과 아킬레우스의 분규
ㆍ 테티스의 간청
ㆍ 아가멤논의 꿈
ㆍ 그리스 진영의 설전
▣트로이아 상식
고대 그리스의 투구

제3부 / 전쟁의 결전
ㆍ 결전의 서막
ㆍ 파리스와 메넬라오스의 대결
ㆍ 주사위 뽑기
ㆍ 아테나 여신의 지원
ㆍ 디오메데스의 무용
ㆍ 신에게 도전하다
ㆍ 군신 아레스의 패배
▣트로이아 상식
아레스의 또 다른 패배

제4부 / 헥토르의 출전
ㆍ 영웅 벨레로폰테스
ㆍ 헥토르의 귀성
ㆍ 헥토르와 아이아스의 결투
▣트로이아 상식
두 명의 동명이인 아이아스
제5부 / 신들의 대립
ㆍ 밀고 밀리는 전황
ㆍ 아가멤논의 사절단
▣트로이아 상식
아킬레우스의 용맹한 전사 미르미돈족

제6부 / 적진에 잠입하다
ㆍ 디오메데스와 오디세우스의 잠행
ㆍ 아가멤논의 부상
▣트로이아 상식
고대 그리스 세계의 동성애

제7부 / 신들의 분노
ㆍ 그리스 군의 보루가 무너지다
ㆍ 그리스 함대의 위기
▣트로이아 상식
아카이아인

제8부 / 헤라의 유혹
ㆍ 헤라의 유혹에 넘어간 제우스
▣트로이아 상식
유혹의 상징 ‘케스토스 히마스

제9부 / 전멸의 위기
ㆍ 아카이아 군의 위기
▣트로이아 상식
올림포스 12신

제10부 / 죽음과 죽음
ㆍ 파트로클로스의 죽음
ㆍ 파트로클로스의 시신을 놓고 다투다
▣트로이아 상식
고대 그리스인들의 저승 ‘명부(冥府)’

제11부 / 분노의 증오
ㆍ 아킬레우스, 새 갑주를 얻다
ㆍ 아킬레우스, 아가멤논과 화해하다
▣트로이아 상식
아킬레우스의 무구

제12부 / 영웅의 참전
ㆍ 아킬레우스, 드디어 참전하다
ㆍ 아킬레우스, 강의 신과 싸우다
▣트로이아 상식
신들의 트로이아 전쟁

제13부 / 영웅의 죽음
ㆍ 헥토르, 전사하다
ㆍ 추모 경기를 열다
▣트로이아 상식
추모 경기와 고대 올림픽

제14부 / 죽음의 귀환
ㆍ 헥토르의 시신을 돌려주다
▣트로이아 상식
진정한 영웅 헥토르

제15부 / 승자와 패자
ㆍ 에오스와 멤논
ㆍ 아마존의 여왕 펜테실레이아
ㆍ 아킬레우스의 죽음
ㆍ 필록테테스의 참전과 파리스의 죽음
ㆍ 트로이 목마와 라오콘
ㆍ 헬레네와 메넬라오스의 재회
ㆍ 아가멤논의 죽음
ㆍ 불타는 트로이아와 아이네이아스
▣작품 해설
인류 최초의 대서사시




한국 근대 예술과 육체
9788993241587.jpg


도서명 : 한국 근대 예술과 육체
저자/출판사 : 신정숙, 예옥
쪽수 : 398쪽
출판일 : 2017-12-18
ISBN : 9788993241587
정가 : 25000

서문 / 육체라는 이름으로 인간을 말하다 005

제1부 이광수 문학과 육체

1장 근대와 새로운 ‘몸’ 만들기 024
1. 근대적 몸의 의미
2. 「민족개조론」과 몸

2장 몸의 개조에 대한 낙관적 전망 -『무정』 032
1. 몸의 개조와 자아 인식
2. 가정과 몸의 개조
3. 사회적으로 훈육되는 몸, 통제되는 몸
4. 진화의 은유학

3장 욕망에 지배되는 몸, 욕망에 파멸되는 몸 -『재생』 106
1. 거대 서사의 붕괴와 자본주의 질서의 수립
2. 쾌락적 실천들과 욕망의 장으로서의 몸
3. 몸을 지배하는 에로티즘의 질서
4. 도달할 수 없는 도덕과 욕망과의 거리

4장 몸을 통한 개조의 완결편 -『사랑』 156
1. 과학적 진리로서의 인과율과 몸
2. 몸의 개조와 의학
3. 근대 의료체제에 의한 몸의 훈육과 통제
4. 정서활동의 육체적 전이

5장 계몽의 기획과 근대 시민의 양성 206
- 민족 개조 사상의 의의와 한계

제2부 한국 근대 예술과 육체, 그리고 욕망

1장 이광수 소설 『재생』과 나체화 214
1. 나체화와 서사문학
2. 『재생』에 나타난 나체화
3. 육체의 기호화, 육체의 서사화

2장 신여성 잔혹사 260
- 신여성과 온천의 문학적 형상화 방식 읽기
1. 온천에서 욕망은 피어나고
2. 신여성과 온천의 문학적 코드 읽기
- ‘냉정’과 ‘열정’ 사이, ‘숙녀’와 ‘탕녀’ 사이
3. 신여성이라는 이름으로

3장 1930년대 신여성이 놓인 자리 294
- 전근대와 근대의 사이에서
1. 신여성의 탄생과 신경증의 발견
2. 1930년대 소설의 신여성 재현과 신경증
3. 신여성의 육체적 욕망과 굴절

4장 김동리 무속소설의 에로티즘 미학 328
1. 김동리 무속담론과 에로티즘
2. 김동리 무속소설의 에로티즘 미학
3. 특수성(개별성)과 보편성(전체성)의 동일화

5장 김기영 영화에 나타난 ‘악마적’ 에로티즘 364
1. 김기영과 영화, 그리고 에로티즘
2. <하녀> 연작과 ‘악마적’ 에로티즘
3. 윤리와 금기, 그리고 욕망의 드라마

참고문헌 389 하녀>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