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묘임진집 또는 조선은 어떻게 세계 최대 기록 문화유산을 남겼나요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신묘임진집 또는 조선은 어떻게 세계 최대 기록 문화유산을 남겼나요

시니
2025-04-14 05:41 6 0

본문




신묘임진집
9791188020409.jpg


도서명 : 신묘임진집
저자/출판사 : 이영주, 명문당
쪽수 : 187쪽
출판일 : 2018-03-03
ISBN : 9791188020409
정가 : 12000

2 序 머리말


辛卯年作

14 辛卯新年作
신묘년 새해
16 卯年以兎喩戒身
토끼해에 토끼 이야기로 몸가짐을 삼가다
18 賀韶坡鄭顯珉先生百歲文學祝典
소파 선생의 백세를 기리는 문학 축전을 경하하다
20 田墅春興
봄날의 농장
22 週課大學院生背誦唐詩
매주 대학원생에게 과제로 당시를 외우게 하다
24 毅松先生見邀光陽因憶昔侍遊梅花村
의송 선생께서 광양으로 불러주시기에 예전에 모시고 매화마을에서 노닐던 일을 떠올리다

26[招請韻山李永朱敎授一行於光陽投宿白雲山下樹木莊飮藥 水一夜淸遊]
운산 이영주 교수 일행을 광양에 초청하여 백운산 아래 수목장에묵으면서 약수를 마시며 하룻밤을 놀다
28 白雲山
백운산
30 [毅松先生共賦韻]
백운산
32 玉龍寺址
옥룡사지
34 春日宿白雲山自然休養林謝朴所長之見邀
봄날에 백운산자연휴양림에서 묵고 박소장이 불러준 것에 치사致謝하다
38 參拜梅泉黃玹先生墓二首·其一
매천 황현 선생 묘를 참배하다 1
40 參拜梅泉黃玹先生墓二首·其二
매천 황현 선생 묘를 참배하다 2
42 [毅松先生共賦韻]
매천 황현 선생 묘를 참배하다
44 重遊光陽梅花村二首·其一
다시 광양 매화마을에서 노닐다 1
46 [毅松先生共賦韻]
다시 광양 매화마을에서 노닐다 1
48 重遊光陽梅花村二首·其二
다시 광양 매화마을에서 노닐다 2
50 [毅松先生共賦韻]
다시 광양 매화마을에서 노닐다 2
52 登順天倭城懷古
순천 왜성에 올라 옛날을 생각하다
54 [毅松先生共賦韻]
순천 왜성에 올라 옛날을 생각하다
56 烽火山俯望
봉화산에서 굽어보다
58 [毅松先生共賦韻]
봉화산에서 굽어보다
60 露梁拜忠烈祠二首·其一
노량 충렬사를 참배하다 1
62 [毅松先生共賦韻]
노량 충렬사를 참배하다 1
64 露梁拜忠烈祠二首·其二
노량 충렬사를 참배하다 2
66 [毅松先生共賦韻]
노량 충렬사를 참배하다 2
68 惜別
석별
70 [毅松先生共賦韻]
석별
72 奉贈朴魯檜院長
박노회 원장께 드리다
74 謝禹潤根議員惠梅實
우윤근 의원이 매실을 보내준 것에 감사하다
76 村家春日
시골집의 봄날
78 春行雨裝山
봄날에 우장산을 걷다
80 春日對酒
봄날에 술을 대하다
82 春日戱作
봄날의 헛소리
84 贈後澤
후택에게 드리다
86 醉贈淸軒
취하여 청헌에게 드리다
88 賀東峯受矯正大賞
동봉이 교정대상을 받게 된 것을 축하하다
92 早熱
이른 더위
94 氣象異變
기상이변
96 毅松先生讀拙著後賀詩見寄次韻奉答
의송 선생께서 졸저를 읽고 축하시를 보내주셔서 차 운하여 받들어 답하다
98 [讀韻山李永朱敎授丁亥戊子集己丑庚寅集有感]
운산 이영주 교수의 ≪정해무자집≫과 ≪기축경인집≫을 읽고서
100 寺中避雨
절에서 비를 피하다
102 夏日山亭
여름날 산정山亭
104 蠅
파리
106 蚊
모기
108 九月八日與林道鉉君李旭鎭君登山歸路聞明日又有會
구월 팔일에임도현군 이욱진군과 함께 산에 올랐다가 귀로에서 내일 또 모인다는 말을 듣다
110 秋景
가을 풍경
112 秋日山行
가을 산행
114 願學校敎育正常化
학교 교육의 정상화를 바라다
116 [壯元詩]
장원시
118 秋日卽景
가을 풍경
120 晩秋卽興
만추 즉흥
122 爲祝陽川鄕校創建六百週年開催全國漢詩白日場
양천 향교 설립 육백 주년을 기념하여 전국 한시 백일장을 개최하다
124 初雪
첫눈
126 裸木
나목
128 嘆時二首·其一
시국을 한탄하다 1
130 嘆時二首·其二
시국을 한탄하다 2
壬辰年作

134 壬辰年感時作
시사時事에 느끼는 바가 있어 임진년에 짓다
136 春雨
봄비
138 春日遊雨裝山
봄날 우장산에서 노닐다
140 落花
낙화
142 山花落
산에 꽃이 지다
144 祝古巖曺先生百壽宴
고암 조선생의 백수연을 축하하다
146 [原韻]
원운
148 何由登頂歌
정상에 오르는 길의 노래
154 霖晴
장마가 개다
156 挽朴德基畵家
박덕기 화가를 영결하다
158 嘉俳節有感
한가위 유감
160 秋登
가을의 풍요
162 秋野
가을 들
164 寒風
찬바람
166 壬辰年至日作
임진년 동지에 짓다
168 橘頌
귤의 노래
170 盤橘有感
접시의 귤을 보고
172 운산한시 《신묘임진집》을 읽고




조선은 어떻게 세계 최대 기록 문화유산을 남겼나요
9788974784133.jpg


도서명 : 조선은 어떻게 세계 최대 기록 문화유산을 남겼나요
저자/출판사 : 송찬섭, 다섯수레
쪽수 : 40쪽
출판일 : 2017-12-05
ISBN : 9788974784133
정가 : 13000

훈민정음
훈민정음을 왜 만들었나요?
훈민정음은 어떤 원리로 만들어졌나요?
한글은 누가 주로 사용했나요?

기록문화
조선 시대 가장 대표적인 기록 문화유산은 무엇인가요?
조선은 어떻게 세계 최대 기록 문화유산을 남겼나요?
의궤는 왜 만들었나요?

학술기관
집현전은 어떤 곳인가요?
정조는 규장각을 왜 만들었나요?

교육기관
조선 시대에도 대학교가 있었나요?
향교는 어떤 곳인가요?

학문과 교유의 공간
서원은 어떤 곳인가요?
서원은 학문 교육 이외에 어떤 역할을 했나요?
서당에는 아이들만 다녔나요?

성리학
유교의 예법은 중요한 공부였나요?
성리학은 어떤 학문이었나요?
성리학자로는 누가 유명한가요?

실학과 실학자
실학은 어떤 학문인가요?
실학자로는 누가 유명한가요?
실학은 조선 사회에 어떤 영향을 주었나요?

성리학과 여성
신사임당은 어떤 여성인가요?
학문으로 뛰어난 여성도 있었나요?
여성 가운데 실학자라고 일컬을만한 인물이 있나요?

수원 화성
화성은 계획도시였나요?
화성 성곽은 최신 기술로 이루어졌나요?

과학기술
천문학에 관심이 많았던 이유는 무엇인가요?
백성들에게 시간을 어떻게 알렸나요?
측우기는 왜 만들었나요?

지도와 지리서 편찬
조선 시대에도 세계지도가 있었나요?
우리 땅에 대한 관심이 높았나요?
작은 섬도 중요했나요?

유교 사회 속의 불교
뛰어난 불교 건축물도 있었나요?
임진왜란 때 왜군을 물리친 스님들이 있었나요?
불교 스님들이 유학자들과 교유하기도 했나요?

서민문화
나라에서 책을 소중하게 여겼나요?
민간에서도 책을 펴낼 수 있었나요?
가장 인기 많았던 소설은 무엇이었나요?
길거리에서 책을 읽어 주는 사람도 있었다고요?

그림과 글씨
우리나라 산천을 직접 보고 그렸다고요?
직업으로 그림을 그리는 사람들도 있었나요?
글씨로는 누가 뛰어났나요?
추사체는 왜 유명한가요?

분청사기와 백자
백자는 조선을 대표하는 도자기인가요?
분청사기는 누가 사용했나요?
백자가 선비의 모습을 닮았나요?

음악과 춤
궁중 음악이 발달했었나요?
백성들도 음악을 즐겼나요?
조선 시대 사람들은 춤을 좋아했나요?
왜 탈을 쓰고 춤을 췄나요?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