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라면 지금 꼭 해야 하는 미래 교육 또는 소설의 본질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부모라면 지금 꼭 해야 하는 미래 교육 또는 소설의 본질

시니
2025-04-14 05:41 7 0

본문




부모라면 지금 꼭 해야 하는 미래 교육
9791162202906.jpg


도서명 : 부모라면 지금 꼭 해야 하는 미래 교육
저자/출판사 : 박미자, 위즈덤하우스
쪽수 : 244쪽
출판일 : 2018-03-05
ISBN : 9791162202906
정가 : 13000

머리말

새로운 시대, 새로운 패러다임
· 미래 사회, 어떻게 변할까?
새로운 시대, 부모들의 걱정 / 시대와 함께 부모가 변해야 한다 / 사람이 결정한다 / 기술은 어떻게 발달하는가?
· 공유와 협업이 중심이 된다
혼자 이루어 내는 성과는 없다 / 공유 의식이 발달한다
· 달라지는 직업, 아이의 미래가 변한다
노동의 개념이 변한다 / 전문직의 미래 / 미래 노동의 특징 / 미래 사회에 가장 필요한 것은 소통 능력

인간의 시대가 온다
· 코딩 교육이 대세라고?
무엇을 위해 코딩을 배우는가 / 수단이 아니라 목적을 배워야 한다
· 교육의 목적, 창의적 인간 만들기
창의성은 행복의 조건이다 / 창의력은 홀로 자라나지 않는다
· 교육의 변화
2030 교육 프로젝트 / 생각하는 힘을 기르는 교육 / 직업 탐색과 진로 탐색은 다르다

인간의 시대에 필요한 세 가지 힘
· 사람의 첫 번째 힘, 공감 능력
인류 발전의 원동력 / 공감이란 무엇인가? / 모든 일에 필요한 기본 능력 / 리더의 자격이 바뀐다
· 사람의 두 번째 힘, 회복 탄력성
인간 내면의 치유력 / 실패와 실수를 허용하라 / 인간은 실패와 실수를 통해서 유능해진다 / 아이의 회복 탄력성을 높여 주는 말
· 사람의 세 번째 힘, 예술 감수성
발달한 감수성이 공감 능력과 회복 탄력성을 키운다 / 감수성이 곧 창의력이다 / 전공할 것이 아니면 예술 교육은 필요 없다?

미래 시대 부모에게는 무엇이 필요한가
· 부모와 아이는 함께 자라는 존재
부모의 공감 능력이 곧 아이의 공감 능력이 된다 / 먼저 아이의 변화를 이해해야 한다
· 나 자신부터 돌아보기
내 안의 ‘착한 아이 콤플렉스’를 버려라 / 왜 아이의 실패를 받아들이지 못하는가
· 나와 아이가 다름을 받아들이기
감정의 존재를 인정하기 / 반대 의견 존중하기

부모와 아이, 함께 인간으로서 성장하기
· 집 안에서 하는 미래 교육
축제는 언제든 열 수 있다 / 가족의 축제 / 상상력은 나누면 커진다 / 가족이라는 울타리 안에서 나이는 숫자일 뿐이다 / 가정 공감 교육의 시작, 환대하기
· 집 밖에서 하는 미래 교육
상처받은 치유자 / 다른 사람을 도우며 자라는 아이 / 낯선 사람, 새로운 문화를 만나는 여행 / 주입식 여행에서 체험형 여행으로
· 아이와의 소통 원리 이해하기
지금 당장 / 기다림은 아이와의 대화에서도 필요하다 / 가족 모임 가지기
· 부모도 아이도 소중하다
어린 시절과의 화해 / 영웅의 탄생

미래 사회는 초연결 사회
· 미래의 공부는 혼자가 아니라 함께하는 것
연결의 힘 / 함께 배우는 학부모 모임 / 배움의 공동체
· 특별한 내 아이? 훌륭한 시민을 만드는 교육이 대안이다
토론은 민주시민 교육의 시작 / 독일의 보이텔스바흐 합의 / 존재 그 자체가 가치다 / 민주시민 교육이 곧 미래 교육이다
·공부의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다

부록 부모가 할 수 있는 독서 교육




소설의 본질
9791188903016.jpg


도서명 : 소설의 본질
저자/출판사 : 조남현, 서정시학
쪽수 : 388쪽
출판일 : 2018-01-23
ISBN : 9791188903016
정가 : 25000

머리말 / 소설의 본질 5


제1장 이단과 소외의 담론 ……………………………………… 11
제2장 선비와 욕망의 존재론 …………………………………… 35
제3장 선비의 비판정신 …………………………………………… 55
제4장 역사서술의 보조양식 …………………………………… 69
제5장 역사서술의 대체양식 …………………………………… 87
제6장 인간심리의 해부도 …………………………………… 111
제7장 고전의 활용 ……………………………………………… 131
제8장 사상과 형식의 실험실 ………………………………… 149
제9장 반항의 정신과 방법 …………………………………… 173
제10장 시적 특질의 내면화 ………………………………… 195
제11장 총체성의 인식 ………………………………………… 217
제12장 이념선택과 초월 ……………………………………… 229
제13장 기억과 상상력 ………………………………………… 245
제14장 현상학적 시각 …………………………………………… 261
제15장 진실탐구와 시련 ………………………………………… 283
제16장 자기해방의 글쓰기 ……………………………………… 303
제17장 부조리의 투시 …………………………………………… 315
제18장 약자의 변론서 …………………………………………… 327
제19장 대중성의 양면 …………………………………………… 345
제20장 소설의 미래 ……………………………………………… 367
찾아보기 ……………………………………………………………… 379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