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명저 기행 또는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 삶을 읽다(하)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조선 명저 기행 또는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 삶을 읽다(하)

시니
2025-04-14 05:41 6 0

본문




조선 명저 기행
9788934980452.jpg


도서명 : 조선 명저 기행
저자/출판사 : 박영규, 김영사
쪽수 : 334쪽
출판일 : 2018-01-23
ISBN : 9788934980452
정가 : 13000

서문 낯선 길에서 귀한 친구를 만나길 바라며

1부 정치 명저

경험과 지혜로 가득 찬 지방관의 행정 지침서
정약용의 《목민심서》
비리와 암투와 협잡이 판치는 지방 관아 | 백성의 돈을 뜯는 일부터 시작하는 지방관 생활 | 향관과 아전, 관속은 어떤 존재인가? | 올바른 수령으로 사는 법? | 아전은 어떻게 다뤄야 할까? | 백성의 호랑이, 문졸 다스리는 법 | 관노와 관비 대하는 법 | 고을의 여론 수렴은 어떻게 해야 할까? | 《목민심서》에 영향을 준 《목민심감》과 《임관정요》 | 시대를 초월한 다산의 감동적인 저작들

조선 오백 년을 지배한 성문 헌법
《경국대전》
77년에 걸친 노력의 결정체 | 조선의 국가 체계와 조직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책 | 관직, 직함, 봉군 | 1품 관청 | 정2품 관청 | 언론 삼사 | 예문관과 성균관 | 범죄 사건의 처결과 죄인을 다루는 원칙 | 각종 금지법 | 《경국대전》의 토대가 된 정도전의 《조선경국전》 | 《속대전》과 《대전통편》, 그리고 《대전회통》

2부 역사 명저

세계적인 명장의 생생한 전란 일기
이순신의 《난중일기》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된 전쟁 보고서 | 낭만적인 너무나 낭만적인 인간, 이순신 | 조선의 마지막 보루 이순신 | 원균을 몹시 싫어한 이순신 | 이순신의 통제를 거부하는 원균 | 떠나는 원균, 되살아난 수군의 위계 | 백의종군 신세가 된 이순신 | 원균의 전사, 일어서는 이순신 | 세계 해전사에 길이 남을 대사건, 명량대첩 | 울음소리로 가득 채운 노량 앞바다

조선 역사서의 실질적 최고봉
이긍익의 《연려실기술》
조선사를 익히는데 가장 요긴한 책 | 정도전에 대한 엇갈린 평가 | 황희의 너그러운 성정을 확인할 수 있는 일화들 | 문종의 어진 | 단종 죽음의 전모 | 윤원형과 정난정의 최후는? | 《연려실기술》의 탁월한 구성과 효용성

발해사를 우리 역사로 인식시킨 최대 공신
유득공의 《발해고》
왜 ‘발해사’가 아닌 ‘발해고’인가? | 발해 왕조와 왕들 | 발해 인물과 관직 제도 | 관복, 토산물, 용어, 국서 | 발해 부흥 운동

또 다른 역사 명저
임진왜란 참상의 비망록, 유성룡의 《징비록》 | 실사구시 역사학의 표본, 안정복의 《동사강목》

3부 기행 명저

18세기 최고의 베스트셀러
박지원의 《열하일기》
조선을 발칵 뒤집어놓은 화제작 | 숭정 156년과 후삼경자 | 벽돌 찬가 | 한사군은 요동에 있고, 평양은 여러 군데에 있다 | 양반의 냇물 건너기 | 조선에 수레가 없음을 한탄하다 | 역시 연암은 타고난 글쟁이 | 죽을힘을 다해 찾아간 열하의 첫날 밤 | 연암의 다른 저작들과 그의 후예들

유럽 사회에 조선의 실상을 알린 최초의 책
핸드리크 하멜의 《하멜 표류기》
황금의 나라 코레아를 찾아라 | 파란 눈의 표류자 36명 | 기대치 않은 환대 | 벨테브레이와의 운명적인 만남 | 천신만고 끝에 고국의 품으로 돌아간 명 | 《조선왕국기》에 실린 조선의 모습

또 다른 기행 명저
조선 선비의 표류 생존기, 최부의 《표해록》

4부 실학 명저

시대를 뛰어넘는 선지식의 탁견 사전
이익의 《성호사설》
조선 실학의 새 장을 연 잡학 사전 | 지구에 대한 이익의 식견 | 안용복을 영웅이라 부르다 | 남초란 해로움이 더 심하다 | 노비에게 제사 지내주는 주인 | 걸인 보고 눈물짓는 선비 | 속유척불 | 사륙가금과 《고려사》 | 유학 경전에 대한 절대적인 신봉 | 소년 정인홍의 시 | 남명과 퇴계 | 이익에게 영향을 끼친 책들과 그의 후예들

또 다른 실학 명저
새로운 개념의 인문 지리서, 이중환의 《택리지》 | 북학 사상의 원류, 박제가의 《북학의》

5부 의학 명저
동양의학의 영원한 보물 창고
허준의 《동의보감》
동아시아를 대표하는 의학 사전 | 무병불사의 비법? | 정신과 기혈은 몸의 근본 | 정신과 기혈을 저장하는 오장 | 음식물을 소화시키는 창고, 육부 | 두통과 이목구비의 변화는 몸의 상태를 알려준다 | 진단과 처방의 신비로움 | 잡병에 대한 간단한 대처법 | 탕약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 침과 뜸으로 사람을 치료하는 법 | 교양서로서도 손색없는 《동의보감》 | 허준의 스승들

또 다른 의학 명저
침구학의 최고 의서, 허임의 《침구경험방》 | 이제마의 《동의수세보원》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 삶을 읽다(하)
9791161290478.jpg


도서명 :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 삶을 읽다(하)
저자/출판사 : 정요석, 새물결플러스
쪽수 : 560쪽
출판일 : 2018-01-15
ISBN : 9791161290478
정가 : 24000

머리말

제2-2부 우리의 구속에 관하여 II
제25주일 | 성례: 세례와 성찬(제65-68문)
제26주일 | 세례의 의미와 제정(제69-71문)
제27주일 | 유아세례(제72-74문)
제28주일 | 성찬(제75-77문)
제29주일 | 화체설과 영적 임재설(제78-79문 )
제30주일 | 주님의 만찬과 미사의 차이점(제80-82문)
제31주일 | 천국 열쇠: 복음의 선포와 교회의 권징(제83-85문)

제3부 우리의 감사에 관하여
제32주일 | 선행을 하는 이유(제86-87문)
제33주일 | 회심: 옛사람의 죽음과 새사람의 삶(제88-91문)
제34주일 | 십계명의 구분과 제1계명(제92-95문)
제35주일 | 제2계명의 요구: 하나님의 형상에 관하여(제96-98문)
제36주일 | 제3계명의 요구 Ⅰ: 하나님의 이름에 관하여(제99-100문)
제37주일 | 제3계명의 요구 Ⅱ: 맹세에 관하여(제101-102문)
제38주일 | 제4계명의 요구: 안식일에 관하여(제103문)
제39주일 | 제5계명의 요구: 부모 공경에 관하여(제104문)
제40주일 | 제6계명의 요구: 살인하지 말라(제105-107문)
제41주일 | 제7계명의 요구: 간음하지 말라(제108-109문)
제42주일 | 제8계명의 요구: 도둑질하지 말라(제110-111문)
제43주일 | 제9계명의 요구: 거짓 증거에 관하여(제112문)
제44주일 | 제10계명의 요구, 그리고 십계명의 가치(제113-115문)
제45주일 | 기도의 필요성과 조건(제116-119문)
제46주일 |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여(제120-121문)
제47주일 | 이름이 거룩히 여김을 받으시오며(제122문)
제48주일 | 나라가 임하시오며(제123문)
제49주일 | 뜻이 하늘에서 이루어진 것 같이(제124문)
제50주일 | 일용할 양식을 주시옵고(제125문)
제51주일 | 우리 죄를 사하여주시옵고(제126문)
제52주일 | 마지막 간구와 결언(제127-129문)

부록 1.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 구성 조감도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