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패스 비즈니스 영어 통번역 [영한편] 또는 한국의 희망, 한국정치의 진로
시니
2025-04-14 05:41
7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4회 연결
본문
하이패스 비즈니스 영어 통번역 [영한편]

도서명 : 하이패스 비즈니스 영어 통번역 [영한편]
저자/출판사 : 타임스미디어 , 김의락 , 강대영, 시대고시기획
쪽수 : 264쪽
출판일 : 2018-03-05
ISBN : 9791125428800
정가 : 22000
한국의 희망, 한국정치의 진로

도서명 : 한국의 희망, 한국정치의 진로
저자/출판사 : 이형우, 하움출판사
쪽수 : 259쪽
출판일 : 2017-12-22
ISBN : 9791188461134
정가 : 12000
< 차례 >
서문 10
1. 박정희 정권의 사례들(임명직과 공권력의 부정비리) 11
사례 1 박정희 정권의 임명직에서 대구 경북 중심의 경상도 지역이기주의가 시작되
었다. 12
사례 2 박정희 정권의 측근에 권력형 부정축재가 만연했다. 12
사례 3 박정희 정권 때 공공기관의 민원창구에서 < <급행료> >라는 말이 유행했다. 13
사례 4 공기업의 부정과 비리 13
사례 5 1965년 한일청구권협정 14
사례 6 육영재단과 정수장학회의 문제점 16
2. 박정희 정권의 사례들(공단과 기업) 17
사례 1 울산공업단지 18
사례 2 포항공업단지 18
사례 3 구미국가산업단지 19
사례 4 대우조선해양 20
사례 5 삼성중공업 거제조선소 20
사례 6 창원국가산업단지 21
사례 7 온산국가산업단지 21
사례 8 호남정유 22
사례 9 여천국가산업단지 22
사례 10 대기업의 계열사들, 공단에서 파생하는 중소기업과 서비스산업들 23
3. 박정희 정권의 사례들(노동력의 문제 등) 24
사례 1 파독 광부 25
사례 2 파독 간호사 26
사례 3 경부고속도로 29
사례 4 쌀값 통제 30
사례 5 새마을운동 31
사례 6 새마을운동의 과장 왜곡 날조 32
사례 7 4H 운동의 경우 35
사례 8 남한강의 수로를 경상도로 돌리자는 제안의 언론보도 36
사례 9 박정희 정권의 전라도 탄압 36
4. 박정희 정권의 폭정 사례들 38
사례 1 김대중 납치사건 39
사례 2 김형욱 실종사건 39
사례 3 1979년 10·26 사태에서 39
사례 4 박정희 대통령의 영향력 40
사례 5 대중가요 [비 내리는 호남선]과 [노란샤스의 사나이] 45
사례 6 박정희 대통령의 언론탄압 특히 동아일보 탄압과 폭정 46
5. 필자의 사례들 1 48
사례 1 필자의 논문 『국민교육헌장 구현방안』을 박정희 정권에 제출한 후 필자에
대한 핍박과 살해 음모 49
사례 2 필자의 시집 『개의 이데올로기가』의 서문 일부 내용을 다음에 전재한다. 56
사례 3 1977년 광주에서 경상도 지역이기주의 체제와 전라도 지역 차별을 확인하다. 63
6. 전두환 정권 노태우 정권의 사례들 64
사례 1 5·18 광주민주화운동 65
사례 2 지배와 피지배 명령과 복종의 군사정권은 박정희에서 전두환으로 계승되다. 65
사례 3 노태우 정권에서 모든 공문서에 본적지 표시 칸 삭제 68
7. 필자의 사례들 2 69
사례 1 임간초지 조성 70
사례 2 공통민원처리대책위원회 위원 위촉장을 받다. 70
사례 3 수동리 산 11번지 초지를 작물포로 바꾸다. 73
사례 4 상해 고소와 경찰 검찰 및 법원의 날조, 조작 편파적 사법처리. 74
사례 5 1991. 1.30. 필자의 재판기록 발췌 77
사례 6-5 민 원 서(대법원) 82
8. 김영삼 대통령의 사례들 94
사례 1 1990년 3당 합당과 김영삼 대통령 95
사례 2 전두환 노태우 전직 대통령의 특별사면 95
사례 3 5·18 광주사태에 대한 김영삼 대통령의 담화 96
사례 4 [조사료난 그 원인과 대책]을 농수축산신문에 기고하다. 96
사례 5 수랑논의 개조 98
사례 6 세대교체론과 지역등권론 100
사례 7 참여연대 회원가입 101
사례 8 인권운동사랑방 방문 104
사례 9 제주 43 기행 104
9. 김대중 정권의 사례들 105
사례 1 김대중 총재의 DJP 연합 106
사례 2 김대중 대통령의 동서갈등 화해 106
사례 3 5·18 광주사태는 극복의 대상이 아니라 치유의 대상이다. 107
사례 4 송파동 구미 컴퓨터 / 정보처리학원의 워드반 수강 방해 108
사례 5 민주화운동 관련자 명예회복 및 보상신청서 제출 109
사례 6 안국동 로터리 참여연대 회원 재가입과 그 후 109
사례 7 참여연대 회원 게시판에 필명 덕진의 게시문 111
10. 노무현 정권의 사례들 112
사례 1 노무현 대통령의 새만금방조제의 철거와 원상복구 주장을 반대하다. 113
사례 2 제주특별자치도의 선포 114
사례 3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에 진실규명신청서 신청 114
사례 4 국정원과 경찰청에 필자의 정보공개청구서 제출 116
11. 이명박 정권의 사례들 119
사례 1 이명박 대통령의 미국산 소고기 수입과 광우병 우려와 촛불시위 120
사례 2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 120
사례 3 이명박 정권의 4대강 사업과 대운하 건설의 제안 121
사례 4 형님예산과 권력형 부정·비리 121
사례 5 필자의 고소와 소송사건 122
사례 6 학교부지 희사 (그 배후에 약탈의 사례들) 123
12. 박근혜 정권의 사례들 126
사례 1 동서화합 포럼 127
사례 2 기업의 최고경영자도 영남 출신이 석권 128
사례 3 박근혜 대통령의 인사정책이 논란으로 되었다. 129
사례 4 세월호 참사 129
사례 5 호남 출신 각계인사들, ‘인사차별 해소’ 박 대통령에 요구 130
사례 6 ‘박근혜 정부 들어 관광진흥기금 영남에 몰렸다’라는 제하의 기사 130
사례 7 청와대 십상시와 문고리 3인방 문제 131
사례 8 메르스(중동 호흡기 증후군) 사태 132
사례 9 박근혜 대통령의 빈번한 국빈 방문 정상외교 133
사례 10 국민 대통합의 문제 134
사례 11 박근혜 대통령과 새마을운동 135
사례 12 어린이집의 누리과정 예산 문제 136
사례 13 차기 검찰총장에 대구 출신 김수남 대검 차장 내정 139
사례 14 보도기사 제목: “국민 10명 중 6명, 남남갈등 악화는 정치권 탓 인식” 140
사례 15 공공기관 곳곳에서 낙하산 논란이 일고 있다. 143
사례 16 보도기사 제목: 340개 공기관의 수장·감사 자체승진 고작 18%, 관료 출신
221명…3명 중 1명꼴로 ‘관피아’ 144
사례 17 가스공사 사장에 70세 ‘친박 낙하산’ 145
사례 18 대우조선해양의 부정·비리와 감사원의 감사에 대한 의혹 145
사례 19 2016년 국가 예산의 지역 차별 (2015. 10. 2. 기사에서) 146
사례 20 갤럽의 여론조사(2015. 8. 8. 연합뉴스) 147
사례 21 전경련의 정체성 147
사례 22 호남 출신 각계인사들, ‘인사차별 해소’ 박 대통령에 요구 149
사례 23 여론조사기관과 유망 대선후보로의 날조조작 149
사례 24 KBS와 연합뉴스의 보도 사례 151
사례 25 한국에 자살률이 세계적으로 높은 이유 151
사례 26 반기문 대망론 155
사례 27 2015. 11. 8. 구청 직원 [인구조사] 가구 방문 156
사례 28 이세돌과 알파고의 바둑대국 156
사례 29 증권시장에서 정치테마 주의 문제 158
13.박근혜 정권에서 필자의 사례들 161
사례 1 2015. 2. 25. 양도소득세 자진신고와 지방세 및 재산세의 약탈 의혹 162
사례 2 필자의 고향 마을 이장의 전화 163
사례 3 토지 등기부에 분할기록이 삭제된 이유가 의문이다. 164
사례 4 연합뉴스의 게시판 글쓰기 차단 165
사례 5 참여연대 회원 게시판에 글쓰기 차단 165
사례 6 참여연대의 게시판에 글쓰기 차단으로 참여연대 회원탈퇴 168
사례 7 인터넷 글쓰기 차단의 원인 168
사례 8 창조경제의 정책대안 170
사례 9 시집 출판의 방해공작 172
사례 10 시집 광고문의 방해공작 173
사례 11 필자의 논문 『국민교육헌장 구현방안』에 관한 추가문 175
사례 12 가깝고도 어려운 이웃 일본 185
사례 13 또 다른 가깝고도 어려운 이웃 중국 189
사례 14 한국에 보수정당은 없다. 191
사례 15 2013년 필자의 시집의 원고를 유출하다. 194
사례 16 불광천 소식 194
사례 17 개의 조상 늑대 이야기 196
사례 18 KBS의 정체성은? 197
사례 19 2016. 11. 23. 특검법 공포 안은 박근혜 대통령이 재가하면 곧바로 시행에
들어간다? 203
사례 20 본문 쓰기의 어려움 203
사례 21 계속되는 필자의 게시문의 차단 205
사례 22 필자의 주거 침입의 또 다른 사례 206
사례 23 Twitter 게시문의 차단 207
사례 24 국정원과 군의 선거 개입 209
추가문: 필자의 시문
사례 25 SK telink의 공짜폰이라는 사기행태와 정부 당국의공모행태 212
사례 26 황교안 국무총리 대행 이후 필자의 게시문은 완전히차단됐다. 214
사례 27 필자의 증권거래 즉 LG전자 매도주문이 취소되다. 215
사례 28 주거 침입과 프린터 파손 216
사례 29 필자의 PC에 글쓰기 방해공작의 사례 217
사례 30 필자의 컴퓨터의 이상한 장애 218
사례 31 노트북 컴퓨터를 구입하여 휴대하고 외출한다. 219
사례 32 필자에 대한 핍박과 살해공작을 체득하다. 219
사례 33. 또 다른 주거 침입인가? 226
사례 34. 주거 침입 및 분실물 신고서 228
사례 35. 지방세의 불법 부당한 징수 사례 229
35-1. 1985년 필자가 수동리 349-3 답 매수 후 취득세고지서
35-2. 민원서(내용증명서)
사례 36. 필자의 주거에 침입자가 컴퓨터의 파일[사문서]을 삭제했다. 232
마지막 이야기 232
사례 37 감 먹은 경험담 233
사례 38 필자에게서 창조적인 상상력의 발현을 회고하다. 234
사례 39. 필자가 생각하는 한국의 진론 236
1. 박정희 정권에 1970년 필자의 논문에서 제안한 내용을 요약한다.
2. 박근혜 정권 초에 창조경제를 자주 언급하여
3. 한국의 진로에 관한 필자의 숙고
4. 한국의 희망
5. 또 하나의 사례 제안
14. 이야기 하나 더 245
이야기 하나 더 (1) 246
이야기 하나 더 (2) 247
15. 새 이야기와 새 사례 248
1. 저승길 249
2. 『한국의 희망, 한국정치의 진로』 출판 사례 250
3. 출판사의 배후 254
결론 255 급행료>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