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nal 회계사 세무사 재무회계 기출적중특강 Mainplot(2018-2019) 또는 숲 경영 산림 경영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FInal 회계사 세무사 재무회계 기출적중특강 Mainplot(2018-2019) 또는 숲 경영 산림 경영

시니
2025-04-14 05:41 5 0

본문




FInal 회계사 세무사 재무회계 기출적중특강 Mainplot(2018-2019)
9791195895281.jpg


도서명 : FInal 회계사 세무사 재무회계 기출적중특강 Mainplot(2018-2019)
저자/출판사 : 강경석, 세무라이선스
쪽수 : 410쪽
출판일 : 2018-01-05
ISBN : 9791195895281
정가 : 25000

재무회계 [상권] Mainplot - 주요논제
1. 재무보고 개념체계
2. 재무제표 표시
3. 수익
4. 건설계약
5. 현금과 매출채권
6. 재고자산
7. 유형자산
8. 차입원가
9. 투자부동산
10. 무형자산
11. 금융부채
12. 충당부채 · 우발부채
13. 자본
14. 금융자산

[ 합본부록 ]
· 출제유형별 보충문제

별권 [하권]-재무회계 Subplot - 특수논제 목차소개
1. 보고기간후 사건
2. 복합금융상품
3. 종업원급여
4. 주식기준보상
5. 리스회계
6. 법인세회계
7. 회계변경 · 오류수정
8. 주당이익
9. 현금흐름표
10. 사업결합
11. 관계기업
12. 환율변동효과
13. 파생상품
14. IFRS 기타논제

[합본부록 1] 출제유형별 보충문제
[합본부록 2] 연결회계 요약서브노트




숲 경영 산림 경영
9791156757283.jpg


도서명 : 숲 경영 산림 경영
저자/출판사 : 마상규 , 이강오, 푸른숲
쪽수 : 308쪽
출판일 : 2017-12-20
ISBN : 9791156757283
정가 : 22000

프롤로그_숲과 함께 살아간다는 것_9

1부 지속 가능한 산림 경영 철학
1장 살아서는 국민의 재산, 죽어서는 산주의 재산_27
국가가 산림 경영에 나서야 한다_29

2장 숲은 국민의 일터다_37
산림 경영 노동자들의 현실_41 6만 6,000명의 일터가 된다_44

3장 숲 규모의 경제가 필요하다_49
산림을 경영할 수 있는 최소 규모_50 산업화 초기 단계인 우리 숲이 나아갈 방향_51 우리 목재의 생산 잠재력_52 한국에는 전문적인 산림 경영 조직이 없다_55 거버넌스형 의사결정이 필요하다_59 도시 숲과 마을 숲도 경영이 필요하다_61

4장 산림 경영은 시간과 공간을 다루는 예술이다_67
공간을 다루는 산림 경영 1_ 산지 구획과 공간 계획 관리_68 공간을 다루는 산림 경영 2_ 숲에도 길이 필요하다_72 임도망 배치를 위한 지형 분석의 모든 것_77 작업 도로를 설치할 때 고려할 사항_80 임도는 국가 시설이다_82 시간을 다루는 산림 경영 1_ 숲 재생과 산림 갱신_84 숲을 진단할 때 고려할 사항_90 사업종을 결정하는 몇 가지 기준_92 시간을 다루는 산림 경영 2_ 산림의 정상적인 관리 순서_96 산주별 경영 계획과 지역별 경영 계획_101

5장 산림 경영의 계획-실행-평가_103
산림 경영을 위한 투입 요소 1, 산지_103 산림 경영을 위한 투입 요소 2, 산림_108 산림 경영을 위한 투입 요소 3, 인력_111 산림 경영을 위한 투입 요소 4, 기술_112 산림 경영을 위한 투입 요소 5, 정보_113 산림 경영 결과 진단하기_114 산림 경영의 목표 관리 설정하기_117

6장 100년 숲을 만들자_123
현실적 조건을 고려한 100년 숲 계획하기_123 영급림 경영과 항속림 경영이 필요하다_126

나에게 숲이 있다면 1_산주가 되고 싶은 사람을 위한 제언_131

2부 숲의 뒤안길
7장 임학을 만난 산골 소년_173
산림생태학에 눈뜨다_176 산지 생산력을 공부하다_179 산을 볼 줄 안다는 것_182 1년 만에 대학에서 쫓겨난 이유_183

8장 독일의 숲을 배우다_185
독일식 각식재법, 한국식 식혈법_188 산주들을 위한 단체를 만들다_189 한독산림경영사업의 독일 연수_193 몸소 익힌 독일의 앞선 산림교육_198

9장 우리 땅에 맞는 숲 가꾸기를 시작하다_201
행정 관리만을 위한 한국의 산림 기술_201 안양 진달래 사건으로 깨달은 미래목의 중요성_203 잡목은 없다_205

10장 임업기계훈련원을 설립하다_211
산림 기능인을 위한 직업 훈련 개설_211 기능사, 기사 자격제도의 도입_213 영림작업단을 만들다_215 산림 경영을 위한 최초의 임도_217 임업기계훈련원의 빛과 그림자_220

11장 시민운동가가 된 산림기술자_223
엉겁결에 시작한 시민운동_223 숲과 사회, 나무와 시민의 공통점_228 아름다운 숲을 찾아서_233 IMF가 가져온 숲 가꾸기 모니터링_235 산림기술인협회를 창립하다_238

12장 이루지 못한 꿈_243 첫 번째 아쉬움, 산림개발공사의 부재_243 두 번째 아쉬움, 임업기계화지원센터의 실패_245 세 번째 아쉬움, 설립되지 못한 산림경영자학교_248

13장 한독, 한몽을 넘어 남북산림기구를 꿈꾸며_251

나에게 숲이 있다면 2_ 1세대 산림 경영의 현장을 찾아서_255
에필로그_숲과 함께 인생 2막을 꿈꾸다_295
출간 후기_303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