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을 위한 의학 에세이: 의학 인물 편 또는 충청권 시조의 숨결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청소년을 위한 의학 에세이: 의학 인물 편 또는 충청권 시조의 숨결

시니
2025-04-14 05:41 6 0

본문




청소년을 위한 의학 에세이: 의학 인물 편
9788965746409.jpg


도서명 : 청소년을 위한 의학 에세이: 의학 인물 편
저자/출판사 : 서민, 해냄출판사
쪽수 : 264쪽
출판일 : 2018-01-20
ISBN : 9788965746409
정가 : 15800

들어가는 글 의학을 발전시킨 과학자들의 업적

1장 질병의 정체를 밝히다
말라리아 병원체가 혈액 속에 있다고? 바나나 모양 기생충을 발견한 샤를 라브랑│괴소문의 중남미 풍토병, 원인부터 해법까지 카를로스 샤가스와 크루스파동편모충│영구 동토로 떠난 과학자 스페인독감을 향한 요한 훌틴의 열정│완전히 새로운 유형의 감염, 광우병 쿠루병에 주목한 대니얼 가이듀섹│암을 백신으로 예방한다니! 자궁경부암의 원인을 밝힌 하랄트 추어 하우젠
[노벨상 이야기] 모험심이 가져온 승리 대니얼 가이듀섹

2장 치료법을 찾아내다
세계 최초의 신장투석기 신부전 치료의 활로를 뚫은 빌렘 콜프│흙 속에서 발견한 결핵 치료의 열쇠 셀먼 왁스먼과 스트렙토마이신│죽은 바이러스로 만들어진 소아마비 백신 조너스 소크와 소크 백신│시력을 잃은 아프리카인들의 희망이 되다 오무라 사토시와 아이버멕틴│똑똑한 정보 전달자, 새로운 면역 세포 수지상세포를 발견한 랠프 스타인먼
[노벨상 이야기] 땅속에 길이 있다 셀먼 왁스먼

3장 병의 전파 경로를 파악하다
콜레라균 전파의 주범, 물을 주목하라! 미아즈마설을 반박한 존 스노│현미경이 녹을 때까지 모기를 관찰하다 말라리아 오오시스트를 발견한 로널드 로스│350번의 시도 끝에 세상에 나온 살충제 파울 뮐러와 DDT│돼지 간이 범인이다 엄기선과 아시아조충
[노벨상 이야기] 인내심이 가져다준 행운 로널드 로스

4장 의료?연구 기술을 발견하다
질병을 미리 진단하다 MRI를 의학에 활용한 레이먼드 다마디안│회사원, 질량 분석의 편견을 깨다 노벨상을 수상한 샐러리맨, 다나카 고이치│특정 유전자만 증폭시키는 것이 가능할까? 과학계 이단아, 캐리 멀리스│단백질이 파괴되는 방식에 주목하다 요시노리 오스미와 자가포식 연구│불임 부부의 희망이 되다 로버트 에드워즈와 시험관 아기
[노벨상 이야기] 아무도 하지 않는 것에 답이 있다 요시노리 오스미

5장 새로운 의학 영역을 개척하다
덩어리진 피를 보고 혈액형을 떠올리다 수혈의 아버지, 카를 란트슈타이너│화학 결합의 원리를 밝혀낸 어린 학자 노벨상 2관왕의 주인공, 라이너스 폴링│신생아학을 창시하다 아프가 점수를 고안한 버지니아 아프가│미라의 DNA를 해독하다 네안데르탈인의 미라를 탐구한 스반테 페보│고혈압 약이 불러온 나비 효과 예상치 못한 행운의 발견, 로버트 퍼치고트
[노벨상 이야기] 과학의 매력은 의외성이다 로버트 퍼치고트




충청권 시조의 숨결
9788956698939.jpg


도서명 : 충청권 시조의 숨결
저자/출판사 : 리헌석, 오늘의문학사
쪽수 : 544쪽
출판일 : 2018-01-30
ISBN : 9788956698939
정가 : 25000

4 책머리에

1장 소정 정훈 선생의 시조 숨결
010 『벽오동』 - 현대시조 창작의 실천과 길잡이
024 『꽃詩帖』 - 시조의 정격과 파격의 미
040 『散調』 - 산촌서정과 인자요산의 기품
052 『밀고 끌고』 - 고희촌감과 강변 풍경
065 丁薰의 詩(時調) 「밀고 끌고」의 텍스트 분석

2장 앞선 시인의 시조 숨결
088 전 형 - 춘파 전형의 시와 삶
121 유동삼 - 진실이 주는 문학적 감동
137 김영배 - 예지(叡智)와 원융(圓融)의 미학
149 김영배 - 불교적 시심과 여로의 깨달음
161 전태익 - 백하산의 솔부엉이 울음
175 김영수 - 겨레시에 담은 동심과 시심
190 김재수 - 여로에서 찾은 인식과 지향
204 김창현 - 법화(法華의 시학적(詩學的) 경지(境地)
212 최진섭 - 현대시조의 특성, 새롭게 거듭나기
228 장춘득 - 시조 문단(文壇)의 영원한 자유혼(自由魂

3장 시조를 경작하는 숨결
239 서영자 - 불심(佛心)을 통한 구도(求道)의 시학
250 홍윤표 - 시조에 담은 겨레의 얼과 정서
258 김동민 - 불심(佛心)과 사모(思母)의 노래
274 전종선 - 시조의 멋으로 빚은 생명의 향기
288 우제선 - 시조로 빚은 불심과 관조적 삶
300 경홍수 - 시조에 담은 서정과 영혼의 울림
314 윤황한 - 잔광(殘光)과 서정(抒情)의 변주(變奏)
328 한영필 - 그림과 시조를 통한 예술가의 진정성
342 박순희 - 시련을 극복한 침선(針線)의 서정미학

4장 시조를 사랑하는 숨결
355 박봉주 - 생성(生成)과 소멸(消滅)의 미학
370 김성숙 - 겨레시에 담은 신앙과 삶의 깊이
391 배정태 - 깨달음과 원형이정(元亨利貞)의 미학
402 상동규 - 담결(淡潔)한 사랑과 온고지신(溫故知新)
417 이정남 - 불심(佛心)의 바탕에 꽃피운 서정
431 신미경 - 정격시조에 담아낸 삶과 자연
445 신미경 - 분단의 고통과 건강한 비판의식
456 강임구 - 서정으로 승화시킨 삶의 진정성
471 전순표 - 옥천의 자연과 문화, 그 곡진한 사랑가

5장 시조 평설 참고자료
485 대전지역 시조창작의 통사적 조명
- 시대별 대표작을 중심으로
526 엄기창 - 삶의 향기와 자연의 조응
- 리헌석 시조집 『섬바위』의 작품세계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