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홍표의 크리스퍼 혁명 또는 칼 바르트 말씀의 신학 해설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김홍표의 크리스퍼 혁명 또는 칼 바르트 말씀의 신학 해설

로즈
2025-04-14 05:40 5 0

본문




김홍표의 크리스퍼 혁명
9788962622072.jpg


도서명 : 김홍표의 크리스퍼 혁명
저자/출판사 : 김홍표, 동아시아
쪽수 : 336쪽
출판일 : 2017-11-08
ISBN : 9788962622072
정가 : 20000

들어가며

제0장. 미리 알아두면 좋을 몇 가지
유전자 빌딩블록 / 첩첩산중 / 꿈 / 핵 / 유전체 문법 / 춥고 건조한 곳에서의 삶 / 고삐 풀린 망아지가 준마가 되다

제1장. 유전체 회문구조: ‘소주 만 병만 주소’의 생물학
실러캔스 유전자: 뭍으로 / 인간 유전체: 유전형, 표현형 / 인간 유전체: 광고편 / 유전체 암흑물질 / 비암호화 유전체 가족들 / 익은 과일을 눈으로 보다: 상동염색체 / 인트론 / 회문구조 / 리보자임

제2장. 자르고 이어 붙이기
세균의 분자생물학 / ‘뭣이 중헌디?’ / 제한효소 / 나를 알고 적을 알고 / 제한효소와 선천성 면역 / 자르고 이어 붙이기 / 유전자가위들 / 크리스퍼를 찾아서 / 쿠닌의 가설: 세균의 적응성 면역계 / 대니스코의 발효세균 / 크리스퍼 진화 / 작고 작은 것들의 세계

제3장. 크리스퍼 연대기
알파고가 크리스퍼를 만나다 / 크리스퍼 연대기 / 크리스퍼의 숨은 얼굴들 / 크리스퍼 삼인방 / 크리스퍼의 가까운 미래

제4장. 크리스퍼가 뭐길래-응용
참을 수 있는 존재의 가려움 / 물고기도 가렵다 / 아메바 면역계 / 슬픈 모기 / 유전자 싹쓸이Gene Drive / 감수분열 싹쓸이? / 침팬지 염색체는 우리보다 두 개 많다! / 파초의 꿈: 캐번디시 바나나 / 크리스퍼와 고슴도치 / 스스로를 속이는 메커니즘 / 단 것은 대인저Danger / 식물의 세포벽 / 곰팡이와의 전쟁 / T세포 수용체를 재조합하다

제5장. 생명체를 향하여
신시틴syncytin: 바이러스 설화 / 왜 노화는 대물림되지 않는가? /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나를 잊지 말아요’ / 미토콘드리아 나눠주기 / 병목을 통과하다 / 미토콘드리아 후성유전학 / 크리스퍼 유전자가위가 미토콘드리아를 만나다

제6장. 크리스퍼는 야누스인가?
인간 세포를 갖는 돼지 / 나쁜 과학, 유사 과학 / 과학지식과 기술의 사회적 성격 / 새로운 유전자를 가진 생물들

더 읽어보기 / 모기가 사라지면

참고문헌
찾아보기




칼 바르트 말씀의 신학 해설
9791161290454.jpg


도서명 : 칼 바르트 말씀의 신학 해설
저자/출판사 : 정승훈, 새물결플러스
쪽수 : 422쪽
출판일 : 2017-11-29
ISBN : 9791161290454
정가 : 19000

추천사 (오영석, 전 한신대학교 총장) 7
약어표 13

시작하면서 15
교의학 해설을 위한 해석학 21
?F. W. 마르크바르트 “칼 바르트 신학에서 주석과 교의학”
『교회교의학』 I/1, 서문에 대한 숙고 33

1 교의학은 무엇인가? 40
1. 교회, 신학, 학문 40
2. 교의학과 학문의 탐구 52
3. 교의학과 신앙의 행위 61
보론: 칼 바르트와 자연과학 69
2 하나님의 말씀과 교의학의 프롤레고메나 88
1. 교의학의 프롤레고메나와 접촉점 논쟁 88
2. 교의학의 프롤레고메나는 어떻게 가능한가? 100
3. 원형신학과 유비신학 106

제1부: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신학적 성찰 110
3 교회 선포는 교의학의 자료이다 112
1. 하나님에 관한 진술과 교회의 선포 112
2. 바르트와 성례 125
3. 교의학과 교회의 선포: 종교사회주의 139
4. 종교비판과 사회비판의 방법: 바르트와 골비처 146
4 하나님의 말씀의 신학 175
1. 설교, 성서, 계시 175
2. 삼중적 말씀의 일치성 190
3. 바르트와 성서 해석학 196
5 하나님의 말씀의 본성은 무엇인가? 206
1. 하나님의 말씀의 본성: 브루스 맥코맥 논쟁 206
2. 하나님의 말씀: “말씀-행위” 215
3. “말씀-행위”: 말씀의 동시성 219
4. “말씀-행위”: 하나님의 신비 229
6 하나님의 말씀과 인간의 인식 240
1. 하나님의 말씀은 인간적 인식의 대상이 될 수 있는가 ? 240
2. 하나님의 말씀과 인간의 존재론적 가능성 243
3. 하나님의 말씀과 종교적 경험: 말씀과 인정 249
4. 하나님의 말씀과 신앙의 사건 266
5. 종교개혁의 칭의론과 에큐메니칼 대화 283
보론: 신앙의 유비와 존재의 유비 297
7 하나님의 말씀, 교리, 교의학 305
1. 교의학의 문제 305
2. 교의학과 학문 323
보론: 『교회교의학』을 향한 바르트의 긴 여정 334
3. 교의학과 프롤레고메나 375

제1부를 마치면서: 칼 바르트와 헤르만 바빙크 383
참고문헌 411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