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성 사상 연구
땅끝
2023-10-24 23:59
378
0
본문
용성 사상 연구
도서명 : 용성 사상 연구
저자/출판사 : 진관,저자,글,, 운주사
쪽수 : 296쪽
출판일 : 2023-04-24
ISBN : 9788957467237
정가 : 20000
머리말 5
Ⅰ. 서론 11
Ⅱ. 용성의 수행 체계 21
1. 탄생 및 유년 시절의 시대적 배경 21
1) 탄생 시기 조선의 정국과 불교계 21
2) 용성 이전의 불교실천사상 태동 23
2. 용성의 출가 수행과 불교사상 32
1) 용성의 덕밀암 출가 32
2) 조선개항 이후 일본불교 39
3) 용성의 해인사 출가 42
4) 다라니 염송과 1차 깨달음 44
3. 용성의 수행 체계와 실천 49
1) 무융 선사의 간화선 49
2) 통도사 금강계단에서의 비구계 수지 54
3) 해인사에서의 2차 깨달음 58
4) 용성의 선문답과 선수행 64
4. 용성의 중국불교 사찰 순례 71
5. 용성의 미타회 수행과 원종의 탄생 74
Ⅲ. 일제하 용성의 불교실천운동 79
1. 일제강점 직후 조선불교계의 변화 79
1) 조선불교선교양종 30본산 변화 79
2) 조선불교 전통성 회복 운동 80
2. 용성의 도회지 불교포교 서원 83
1) 용성의 『귀원정종』 간행 84
2) 용성의 불교 대중화 88
3. 용성의 도회지 포교당 건립 91
1) 임제종중앙포교당에 참여 91
2) 용성의 대각사 창건 95
3) 용성의 법계고시, 대종사 100
4) 포교 재원 확보를 위한 금광 경영 103
4. 용성과 3ㆍ1운동 105
1) 3ㆍ1운동 이전, 용성의 독립정신 105
2) 민족대표, 태화관에서 조선독립선언 110
3) 경성지방법원의 신문 내용 114
5. 용성ㆍ만해의 영향과 대한승려연합회 선언서 121
Ⅳ. 용성의 불교실천과 대각운동 129
1. 용성의 옥중 체험 이후 불교포교 129
1) 역경과 출판을 통한 문서포교 129
2) 서대문감옥에서의 체험 131
3) 삼장역회 설립 및 출판 활동 133
4) 용성의 『각해일륜』 간행 144
2. 용성의 불교 대중화 실천운동 149
1) 선학원 건립과 선수행 결사 149
2) 대각교 창립과 대중선 운동 156
3) 용성의 잡지 창간과 출판 162
(1) 저술 170
(2) 번역 경전 및 논서 171
(3) 논술 172
4) 용성의 해인사 대승계단 수계법회 172
3. 전통 비구계단 상실에 대한 대응 176
1) 전통 계율 상실에 대한 입장 176
2) 용성 중심으로 한 건백서 제출 179
(1) 1차 건백서 179
(2) 용성의 2차 건백서 184
3) 망월사 만일참선결사회 창립 187
(1) 망월사 만일참선결사의 전개 187
(2) 통도사 내원암으로 만일참선결사회 이전 199
4. 대각교 용정 포교당과 화과원 농장 208
1) 대각교 용정 포교당 208
2) 화과원과 선농불교 217
Ⅴ. 대각교 운동의 좌절과 과제 225
1. 대각교의 전법의식 225
1) 대각사상 선양을 위한 노력 231
2) 용성의 『각설범망경』 번역 홍포 237
3) 금강계단 계맥 전승의 전법 의식 242
2. 용성 불교실천운동의 한계와 좌절 249
1) 조선총독부의 유사종교 탄압과 대각교 해산 249
2) 대각교당의 조선불교선종총림으로 전환 255
3) 용성의 불교실천운동의 의의와 한계 259
3. 용성의 열반과 미래 불교운동 264
1) 용성의 열반 이후의 역할 264
2) 용성의 계율 전승과 불교정화운동의 체용體用 269
Ⅵ. 결론 275
참고문헌 281
찾아보기 291
도서명 : 용성 사상 연구
저자/출판사 : 진관,저자,글,, 운주사
쪽수 : 296쪽
출판일 : 2023-04-24
ISBN : 9788957467237
정가 : 20000
머리말 5
Ⅰ. 서론 11
Ⅱ. 용성의 수행 체계 21
1. 탄생 및 유년 시절의 시대적 배경 21
1) 탄생 시기 조선의 정국과 불교계 21
2) 용성 이전의 불교실천사상 태동 23
2. 용성의 출가 수행과 불교사상 32
1) 용성의 덕밀암 출가 32
2) 조선개항 이후 일본불교 39
3) 용성의 해인사 출가 42
4) 다라니 염송과 1차 깨달음 44
3. 용성의 수행 체계와 실천 49
1) 무융 선사의 간화선 49
2) 통도사 금강계단에서의 비구계 수지 54
3) 해인사에서의 2차 깨달음 58
4) 용성의 선문답과 선수행 64
4. 용성의 중국불교 사찰 순례 71
5. 용성의 미타회 수행과 원종의 탄생 74
Ⅲ. 일제하 용성의 불교실천운동 79
1. 일제강점 직후 조선불교계의 변화 79
1) 조선불교선교양종 30본산 변화 79
2) 조선불교 전통성 회복 운동 80
2. 용성의 도회지 불교포교 서원 83
1) 용성의 『귀원정종』 간행 84
2) 용성의 불교 대중화 88
3. 용성의 도회지 포교당 건립 91
1) 임제종중앙포교당에 참여 91
2) 용성의 대각사 창건 95
3) 용성의 법계고시, 대종사 100
4) 포교 재원 확보를 위한 금광 경영 103
4. 용성과 3ㆍ1운동 105
1) 3ㆍ1운동 이전, 용성의 독립정신 105
2) 민족대표, 태화관에서 조선독립선언 110
3) 경성지방법원의 신문 내용 114
5. 용성ㆍ만해의 영향과 대한승려연합회 선언서 121
Ⅳ. 용성의 불교실천과 대각운동 129
1. 용성의 옥중 체험 이후 불교포교 129
1) 역경과 출판을 통한 문서포교 129
2) 서대문감옥에서의 체험 131
3) 삼장역회 설립 및 출판 활동 133
4) 용성의 『각해일륜』 간행 144
2. 용성의 불교 대중화 실천운동 149
1) 선학원 건립과 선수행 결사 149
2) 대각교 창립과 대중선 운동 156
3) 용성의 잡지 창간과 출판 162
(1) 저술 170
(2) 번역 경전 및 논서 171
(3) 논술 172
4) 용성의 해인사 대승계단 수계법회 172
3. 전통 비구계단 상실에 대한 대응 176
1) 전통 계율 상실에 대한 입장 176
2) 용성 중심으로 한 건백서 제출 179
(1) 1차 건백서 179
(2) 용성의 2차 건백서 184
3) 망월사 만일참선결사회 창립 187
(1) 망월사 만일참선결사의 전개 187
(2) 통도사 내원암으로 만일참선결사회 이전 199
4. 대각교 용정 포교당과 화과원 농장 208
1) 대각교 용정 포교당 208
2) 화과원과 선농불교 217
Ⅴ. 대각교 운동의 좌절과 과제 225
1. 대각교의 전법의식 225
1) 대각사상 선양을 위한 노력 231
2) 용성의 『각설범망경』 번역 홍포 237
3) 금강계단 계맥 전승의 전법 의식 242
2. 용성 불교실천운동의 한계와 좌절 249
1) 조선총독부의 유사종교 탄압과 대각교 해산 249
2) 대각교당의 조선불교선종총림으로 전환 255
3) 용성의 불교실천운동의 의의와 한계 259
3. 용성의 열반과 미래 불교운동 264
1) 용성의 열반 이후의 역할 264
2) 용성의 계율 전승과 불교정화운동의 체용體用 269
Ⅵ. 결론 275
참고문헌 281
찾아보기 291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