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는 리허설이 없다 또는 나는 괜찮은데 그들은 내가 아프다고 한다
땅끝
2025-04-13 19:24
2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2회 연결
본문
육아는 리허설이 없다

도서명 : 육아는 리허설이 없다
저자/출판사 : 조경희, 책과나무
쪽수 : 256쪽
출판일 : 2019-11-15
ISBN : 9791157768035
정가 : 14000
프롤로그
첫 번째 기술
나를 알고 자녀를 알아야 한다
기질을 알면 아이가 보인다
만 3세까지의 대화가 EQ와 SQ를 결정한다
아이는 4차원의 입체다
아이는 이해의 대상이 아니라 사랑해야 할 대상이다
아이에게는 놀이가 의사소통의 통로다
자녀 양육은 지식이 아니라 기술이다
두 번째 기술
자기 조절력이 아이의 미래를 결정한다
칭찬과 절제는 동전의 양면과 같다
자기 조절력이 아이의 100년 인생을 좌우한다
엄마는 관심이고 아이는 간섭이다
내 감정에 휘둘리지 마라, 일관성이 중요하다
이제는 당근과 채찍으로 움직이지 않는다
세 번째 기술
표준화 교육의 선입관을 버려라
다양한 경험이 스토리를 만든다
표준화 교육이 함정이다
조기교육이 아이를 망친다
잘 노는 아이가 상상력과 창의력이 높다
로봇에게는 가치관이 없다
네 번째 기술
육아에는 골든타임이 있다
육아는 이론이 아니라 리허설 없는 실전이다
아이는 기다려 주지 않는다
아이는 놀이를 통해 배운다
‘왜’라고 묻고 ‘어떻게’를 생각하는 아이가 성공한다
가치관 형성도 타이밍이 중요하다
다섯 번째 기술
가정의 문화가 아이의 미래를 결정한다
가정의 문화가 아이의 미래를 결정한다
저녁이 있는 삶, 워라밸
한 사람에 의해 우물 밖의 세계가 열린다
엄마의 종결 욕구가 아이의 길을 막는다
부모는 관계 맺기의 출발점이다
부모의 어휘력이 자녀의 이해력이다
여섯 번째 기술
내 아이의 성장에 초점을 맞춰라
다른 아이가 아닌 내 아이의 성장에 초점을 맞춰라
성장 단계에 따라 사랑 표현도 달라져야 한다
번데기는 껍질을 벗고 나와야 나비가 된다
아이의 성장 단계에 따라 바운더리를 넓혀라
항해는 귀향할 때 성공 여부를 알 수 있다
작은 습관 하나가 내 아이의 인생을 만든다
에필로그
참고문헌
나는 괜찮은데 그들은 내가 아프다고 한다

도서명 : 나는 괜찮은데 그들은 내가 아프다고 한다
저자/출판사 : 니시다 마사키, 행성B
쪽수 : 236쪽
출판일 : 2020-02-07
ISBN : 9791164710935
정가 : 15000
들어가며 정상과 이상의 경계선
제1장 지나친 피해망상
고향에서 들려온 불안한 소식
카레 냄새로 괴롭힌다고?
변해버린 엄마와 친정집
드디어 정신과를 찾다
불면증 치료를 가장하다
또 하나의 병마
제2장 자신의 이상을 인식하는 병식이란 무엇인가
자신의 이상을 인식하는 병식
병식의 계보학
현대 정신의학은 병식을 경시한다
조현병에 대한 질병 의식
망상과 현실의 이중 세계
제3장 불안에 사로잡힌 사람의 병적인 심리
잘나가는 국가공무원이 저지른 실수
사소한 실수가 동기가 된 자살 미수
구급 병동에서의 문답
원치 않는 정신과 입원 결정
우울증 3대 망상과 잃어버린 병식
건강한 척 위장하는 질환 은폐의 심리
항우울증 약 투약기
제4장 스스로 대단하다고 느끼는 비정상적인 하이텐션
케이스 콘퍼런스에 등장한 새로운 환자
불편한 병동 생활
파란만장한 인생
갑작스러운 자살 의사 표명
자살은 이성적인 판단인가
약을 과감하게 끊다
간과하기 쉬운 양극성장애
제5장 왜 남에게 상처를 주고도 아픔을 느끼지 못할까
입원을 의뢰하다
갑작스러운 입원 연기
뒤늦은 첫 대면
의사에게 하는 설교
붕괴된 가족
타인을 향한 끝없는 비난
화장실의 담배꽁초
강제 퇴원
교묘한 자기 정당화로 피해자 되기
제6장 사람들을 위협하고 공격하는 치매도 있다?
외래 진료실에서의 대소동 1
외래 진료실에서의 대소동 2
일시적인 수습
뇌졸중? 탈수?
지나치게 규칙적인 생활
둘만의 케이스 콘퍼런스
병원에서 일어난 두 번째 갈등
다른 병원으로의 이동
궁지에 몰린 노인들
제7장 악의 없이 이상한 사람
나는 발달장애일까?
독특한 사고와 행동 경향
심리검사를 해봤지만
본인에게 어떻게 전할 것인가
어디까지가 개성인가
현대사회와 아스퍼거적 특성
제8장 ‘죽고 싶다’는 말은 농담인가, 진담인가
당직 의사를 울리는 단골 전화
주치의의 고뇌
응급실에서의 안하무인격 태도
박복한 가정환경
부성의 결여와 모성의 과잉
예상치 못한 결말
극진한 의료 시스템의 함정
마치며 앞으로의 과제
후기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