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체제 변동과 한국 국가의 노동정책 또는 식품창업 경영 법률 50가지 조언과 질의답변 20가지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노동체제 변동과 한국 국가의 노동정책 또는 식품창업 경영 법률 50가지 조언과 질의답변 20가지

땅끝
2025-04-13 19:24 2 0

본문




노동체제 변동과 한국 국가의 노동정책
9788964373477.jpg


도서명 : 노동체제 변동과 한국 국가의 노동정책
저자/출판사 : 노중기, 후마니타스
쪽수 : 272쪽
출판일 : 2020-02-10
ISBN : 9788964373477
정가 : 15000

서문 6

1장 참여정부의 노동정책 9
2장 이명박 정부 출범과 노동정책 변동 49
3장 종속 신자유주의 노동체제와 국가 프로젝트 변동 81
4장 박근혜 정부의 노동정책에 관한 비판적 고찰 125
5장 한국 국가의 ‘노동 개혁’과 노동통제 전략 161
6장 2016년 촛불 혁명과 노동체제 전환의 가능성 199
7장 문재인 정부 노동정책의 평가와 전망 223

참고문헌 257
찾아보기 268




식품창업 경영 법률 50가지 조언과 질의답변 20가지
9791164354429.jpg


도서명 : 식품창업 경영 법률 50가지 조언과 질의답변 20가지
저자/출판사 : 김태민, 좋은땅
쪽수 : 216쪽
출판일 : 2019-07-12
ISBN : 9791164354429
정가 : 16700

머리말

Ⅰ. 식품창업 준비
001. 식품창업ㆍ경영에 법률지식이 필요한 이유
002. 식품창업도 블루오션
003. 식품창업의 첫걸음, 업종 선택
004. 식품창업은 기술창업
005. 철저한 준비과정은 필수
006. 식품창업의 시작은 식품법 공부
007. 까다롭고 복잡한 식품법
008. 관리 불가능한 식품사건 발생 문제
009. 규제 장벽에 막힌 식품창업

Ⅱ. 식품창업ㆍ경영의 실제
001. 창업 형태의 결정
002. 식품창업과 동업의 위험
003. 법인 설립과 이사 결정
004. 등기이사의 역할과 의무
005. 식품창업에 대한 사모펀드의 투자
006. 사모펀드 투자의 성공 사례
007. 국내 식품창업과 투자 사례
008. 식품창업과 최저임금의 위협
009. 식품창업과 4대보험 신고
010. 식품창업과 노무관리의 중요성
011. 식품창업과 인재 채용
012. 식품창업과 세금
013. 식품창업과 소득 신고
014. 식품창업과 상표 등록의 필요성
015. 식품창업과 상표 등록의 중요성
016. 식품창업과 상표 출원 실무
017. 식품창업과 포장 디자인
018. 식품창업과 지적재산권 보호

Ⅲ. 식품창업ㆍ경영에 대한 지원과 규제
001. 식품창업과 대관업무
002. 식품창업지원, K-Startup
003. 농식품 창업 지원
004. 식품창업지원 규모와 다양한 제도
005. 식품창업과 규제 장벽
006. 복잡한 식품법률 체계
007. 과대광고의 득과 실
008. 위법한 식품에 대한 단속과 수사
009. 식품사건과 언론보도로 인한 피해
010. 식품사건에서 절대 다수를 차지하는 이물 문제
011. 과도한 정부 개입의 문제점
012. 가맹사업 계약 시 주의사항
013. 식품창업과 로봇 등 신기술
014. 신기술 창업에 대한 시장의 수용 문제
015. 성공적인 농식품창업의 가능성
016. 식품창업과 안전의 상충관계
017. 영업자 준수사항 확인의 필요성

Ⅳ. 식품창업과 스타트업 사례
001. 정부주도 창업의 실패 사례, 푸드트럭
002. 푸드트럭의 고군분투
003. 플랫폼을 활용한 식품창업
004. 비제조가공분야 스타트업의 성공사례 소개
005. 푸드테크 스타트업 소개
006. 해외 스타트업 성공사례 도입의 한계

Ⅴ. 식품창업과 경영에 도움이 되는 FAQ
001. 유통전문판매업 신고를 해야 하나요?
002. 다른 제조시설을 임차해서 사용할 수 있나요?
003. 전국 유명 마카롱 제품을 온라인에서 팔 수 있나요?
004. 공무원은 아무 때나 영업소를 방문해서 뒤져볼 수 있나요?
005. 4대보험, 퇴직금 안 주기로 합의했는데, 근로자가 신고할 수 있나요?
006. 동업자가 몰래 동일한 제품을 다른 곳에서 판매해도 되나요?
007. 홈페이지에 제품 안내가 잘못되어도 처벌받나요?
008. 식품위생법 위반 여부를 공무원과 통화해서 확인했는데, 괜찮을까요?
009. 검사기관에서 수거한 자가품질검사 결과에 문제가 있을 때, 방법이 없나요?
010. 공무원이 품목제조보고신고를 안 받아 줘도 되나요?
011. 영업정지 1개월 받아서 폐업신고 하려는데 수리 안 해 줘도 되나요?
012. 경쟁사가 우리 회사 홈페이지 보고 고발하는데, 방법이 없나요?
013. 해외에서 판매되는 원료를 국내 식품제조에 사용할 수 있나요?
014. 미국에 있는 줌피자 같은 이동식 판매업을 하고 싶은데 가능할까요?
015. 식품창업을 준비할 때 식품 법률이나 규제는 어디에서 확인할 수 있나요?
016. 영유아나 고령자 대상 식품을 만드는 게 점점 어려워지는데, 방법이 없나요?
017. 공무원한테 단속받으면 이후 절차가 어떻게 되나요?
018. 상표나 특허를 내고 싶은데 비용이나 절차는 어떻게 되나요?
019. 갑자기 법령이나 고시가 개정되면 다시 바꿀 수가 없나요?
020. 식품전문변호사를 찾아야 하는 이유는 뭔가요?

맺음말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