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과장도 돈 버는 셰어하우스 또는 한국 전통시대의 토목문명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김 과장도 돈 버는 셰어하우스 또는 한국 전통시대의 토목문명

땅끝
2025-04-13 19:24 2 0

본문




김 과장도 돈 버는 셰어하우스
9791164841028.jpg


도서명 : 김 과장도 돈 버는 셰어하우스
저자/출판사 : 김신홍, 매일경제신문사
쪽수 : 288쪽
출판일 : 2020-04-17
ISBN : 9791164841028
정가 : 18000

프롤로그

PART 01 불편한데 왜 같이 살아요?
도대체 셰어하우스가 뭐예요?
셰어하우스와 그냥 집은 뭐가 달라요?
셰어하우스와 게스트하우스, 코리빙하우스, 공유주택은 뭐가 다른가요?
셰어하우스에는 공용 공간이 있는데 이게 정말 필요한가요?
같이 살면 불편하지 않나요? 왜 사람들이 같이 살아요?
셰어하우스를 하려면 구청이나 지자체에 신고해야 하나요?
셰어하우스로 정말 돈을 벌 수 있나요?
셰어하우스에서 입주자에게 얼마의 월세금을 받을 수 있나요?
1인 가구가 늘면 셰어하우스 입주자도 늘어날까요?
건물주가 셰어하우스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는?

PART 02 입주자들은 어떤 셰어하우스를 좋아해요?
셰어하우스가 유행처럼 잠깐 지나치지는 않을까요?
입주자들은 어떤 셰어하우스를 좋아하나요?
셰어하우스에 적합한 위치는 어디인가요?
셰어하우스의 위치를 선택하는 데 특별히 필요한 편의시설은 무엇일까요?
좁은 길 안쪽에 위치한 셰어하우스는 어때요?
대학가에서만 셰어하우스를 할 수 있는 거 아닌가요?

PART 03 꼬마빌딩에서도 셰어하우스를 할 수 있나요?
셰어하우스에 적합한 평면구조는 어떤 것인가요?
주택의 형태가 다양한데, 셰어하우스는 어떤 집에서 하는 게 좋은가요?
셰어하우스 각 방의 크기는 얼마가 적정할까요?
셰어하우스의 화장실은 인원당 몇 개가 적합한가요?
셰어하우스 면적에 따른 적정 거주 인원은 몇 명인가요?
고시원에서도 셰어하우스를 진행할 수 있나요?
기존 주택을 전세(월세)계약 후 셰어하우스로 운영할 수 있나요?
꼬마빌딩을 셰어하우스로 운영하고 싶어요!

PART 04 셰어하우스는 정말 다른 건물보다 수익률이 더 높나요?
셰어하우스는 정말 일반 건물에 비해 수익률이 더 높나요?
셰어하우스를 준비하는 데 비용은 얼마나 드나요?
셰어하우스 개인 공간에 들어가는 물품은 어떤 것을 준비해야 하나요?
셰어하우스 공용 공간에 들어가는 물품도 궁금해요
생활용품은 어떤 물품을 구입해야 할까요?
셰어하우스의 수익률, 공실률 중 어느 것이 더 중요한가요?
공실을 줄이기 위한 특별한 방법은 어떤 게 있을까요?
셰어하우스에 방을 많이 만들면 수익이 올라간다?

PART 05 셰어하우스에 어울리는 입주자는 어떤 사람인가요?
어떤 사람이 셰어하우스에 사나요?
취향이 맞는 사람끼리 맞춰서 셰어하우스에 입주하면 더 좋은 집이 될 듯해요!
입주자들을 아무나 들이면 안 될 것 같은데, 셰어하우스에 들어올 수 없는 사람도 있나요?
셰어하우스 입주자는 부동산 중개업소에서 안 찾아주나요?
커뮤니티가 뭐예요? 어떻게 해야 하는 건가요?
커뮤니티 공간에서 입주자들은 무엇을 하나요?
입주자끼리 왜 싸우나요? 싸우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셰어하우스 입주자들이 청소를 잘 하나요? 어떻게 하면 집을 깨끗하게 쓰도록 유도할 수 있나요?
입주자들이 가장 많이 이야기하는 불편사항은 무엇인가요?
입주자들의 민원사항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운영 중 발생한 가장 큰 에피소드는 무엇이 있나요?
셰어하우스 입주자가 월세도 밀리고, 연락도 안 받으면 어떻게 하나요?
입주자가 퇴실을 한다고 합니다. 어떻게 해야 하나요?

PART 05 셰어하우스에 입주자들이 들어오면 더 많은 일이 생긴다
셰어하우스의 입주자는 입주 기간이 대략 어느 정도 되나요?
셰어하우스에서 30일 이내로 입주자를 모집해도 되나요?
셰어하우스 입주계약서는 기존 임대차계약서와 뭐가 다른가요?
셰어하우스 운영 규정은 어떤 내용이 있나요?
하우스 투어가 뭔가요? 어떻게 하면 입주 희망자가 우리 집을 맘에 쏙 들게 할 수 있을까요?
셰어하우스 입주 당일 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요?
셰어하우스에는 이성 친구가 들어올 수 있나요?
셰어하우스는 입주자들이 들어오면 더 할 일이 많다고요?
셰어하우스는 직접 운영하는 게 좋을까요? 아니면 위탁을 맡기는 게 좋을까요?
셰어하우스 입주자를 위해 어떤 서비스를 해줘야 하나요?
셰어하우스 내 집기가 파손되었어요. 어떻게 하나요?

PART 06 최근 셰어하우스의 트렌드는 어떤 게 있나요?
혹시 200~300명이 입주할 수 있는 대형 건물도 셰어하우스로 할 수 있나요?
최근 셰어하우스의 트랜드는 어떤 게 있나요?




한국 전통시대의 토목문명
9791159254864.jpg


도서명 : 한국 전통시대의 토목문명
저자/출판사 : 권오영 , 심광주 , 홍보식 , 성정용 , 이영철 ,, 들녘
쪽수 : 560쪽
출판일 : 2019-12-23
ISBN : 9791159254864
정가 : 39000

저자 소개와 총서 기획편집위원회
일러두기
발간사_ 〈한국의 과학과 문명〉 총서를 펴내며

서문 _권오영

1장 머리말

1절 한국의 토목문명 _권오영

2절 기술서와 기술자 집단 _조윤재
1. 기술서
2. 기술자 집단
■ 중국 고-중세의 기술자 집단

2장 성곽과 도성

1절 도성제와 도성 조영 _권오영, 배병선, 곽동석
1. 도성제
■ 백제 최초의 왕성, 풍납토
2. 도성의 경관
■ 베일 벗는 사비도성
3. 도성 조영의 과정과 기술
■ 개로왕대의 도성 정비
4. 건축기술
■ 백제 토목건축기술의 일본 전래

2절 도성의 중요 시설 _권오영
1. 왕궁과 사원
■ 고대 동아시아의 정원
2. 도로와 교량
3. 기타
■ 화장실의 고고학

3절 지방 도시 _권오영

4절 성곽과 토목 기술 _심광주
1. 성곽 축조에 반영된 토목기술
2. 성곽에 반영된 토목기술의 변천 과정
3. 축성 재료에 따른 기술의 변화
■ 무리말뚝공법과 부엽공법

5절 삼국과 통일신라의 성곽 축조 기술 _심광주
1. 고구려 성곽 일반
2. 남한의 고구려 성곽
3. 한성기의 백제 성곽
4. 웅진ㆍ사비기의 백제 성곽
■ 공산성을 둘러싼 의문들
■ 나성
5. 신라 초기의 성곽
6. 5~7세기 신라 성곽
7. 통일신라의 성곽
■ 고려와 평행하는 시기의 송ㆍ요ㆍ서하ㆍ금대의 기술관료

6절 고려의 성곽 축조 기술 _심광주
1. 시대적 배경과 축성사적 위치
2. 고려시대 토성 축성법의 특징
3. 고려시대 석성 축성법의 특징
■ 중국의 성지(城池) 토목 공정과 공정량 계측 방법
■ 원, 명, 청대의 기술관료 기구

7절 조선시대 성곽 _심광주
1. 시대적 배경과 축성사적 위치
2. 한양도성의 축성법
3. 읍성의 축성법
4. 영진보성과 행성의 축성법
5. 조선후기 축성법의 변화
■ 세종대의 「축성신도(築城新圖)」와 그 폐단

3장 수리와 관개

1절 수리 연구의 중요성과 연구 현황 _성정용
1. 수리ㆍ관개의 역사적 의미
2. 수리ㆍ관개시설 연구 현황

2절 수리관개시설의 유형과 종류 _성정용
1. 하천의 물을 나누어 관개하는 방법
2. 둑을 쌓아 가둔 물로 관개하는 방법
3. 하천이나 바닷가에 제방을 쌓아 농경지를 확보하고 관개하는 방법
4. 지하에 수로를 만들어 관개하는 방법
5. 고저차가 없는 평원 지역에서의 수리관개체계

3절 수리 시설의 축조 기술 _성정용
1. 제방의 기본구조
2. 수문의 형태
3. 축조 기술

4절 수리시설의 발달 과정 _성정용
1. 수리ㆍ관개의 시작: 청동기시대
2. 저습지 개발: 원삼국시대
3. 국가 주도 대규모 관개시설: 삼국시대
4. 관개체계의 정비: 고려 이후

5절 한국형(韓國型) 수리시설을 규정할 수 있을까ㆍ _성정용
1. 쌀농사와 수리ㆍ관개
2. 한국형 수리시설

4장 무덤

1절 고인돌 _이영철
1. 고인돌의 구조
2. 채석 기술과 도구
3. 운반 기술과 도구
4. 축조 기술과 종류

2절 목관묘와 목곽묘 _홍보식
1. 목관묘
2. 목곽묘

3절 고구려 고분 _이영철
1. 고구려 고분의 구조와 변천
2. 고구려 고분에 담긴 과학 원리

4절 백제 고분 _이영철
1. 백제 고분의 구조와 변천
2. 백제 고분에 담긴 과학 원리

5절 영산강 유역 고분 _이영철
1. 영산강 유역 고분의 구조와 변천
2. 영산강 유역 고분에 담긴 과학 원리

6절 신라와 가야 고분 _홍보식
1. 석곽의 축조 기술
2. 적석목곽분의 축조 기술
3. 고총의 토목기술

7절 남북국시대의 고분 _홍보식, 권오영
1. 통일신라 고분의 구조와 변천
2. 발해 고분의 구조와 변천

8절 고려의 왕릉 _권오영
1. 묘제의 변천 과정
2. 주요 왕릉의 구조

9절 조선의 왕릉 _권오영, 이영철
1. 장제와 상제
■ 다양한 자재 운반도구
2. 왕릉의 조영
3. 왕릉에 반영된 과학기술 원리
4. 왕릉의 부속시설
5. 양반층의 회곽묘
■ 석회의 생산

5장 맺음말 _권오영

1. 전통시대 토목문명사의 의미
2. 한국적인 토목문화의 정립과 발전
3. 전문성의 강화와 분야별 통합
4. 토목유산의 현재와 미래

주석
표 및 그림 일람
참고문헌
찾아보기
Contents in English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