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량수경 청화강기 또는 멸치는 죽어서도 떼 지어 산다
땅끝
2025-04-13 19:24
2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1회 연결
본문
무량수경 청화강기

도서명 : 무량수경 청화강기
저자/출판사 : 정공 (강술), 비움과소통
쪽수 : 334쪽
출판일 : 2020-02-07
ISBN : 9791160160604
정가 : 12800
들어가는 말 4
정공 큰스님 소개 6
이끄는 말 22
[무량수경 청화법문]
1. 보현대사의 덕을 *아 수학하라! 25
2. 선정과 지혜의 힘으로 34
3. 항상 법음으로 깨우쳐주신다 41
4. 독경ㆍ염불, 자성을 드러내 밝혀준다 44
5. 세상을 제도하는 도에 머문다 47
6. 청하지 않아도 좋은 벗이 되어주신다 50
7. 중생에게 모범을 보이고 경전을 강설한다 52
8. 부처님께서 세상에 오신 이유 56
9. 법장 비구의 대원과 수학강령 59
10. 보살의 육바라밀과 중생제도 67
11. 지극한 마음으로 정진하라! 76
12. 스스로 사유하고, 알고, 섭수하라! 81
13. 법장 비구, 48대원을 맺다 84
14. 염불공부 득력의 기본 조건 94
15. 진실한 수행의 표준 99
16. 법장 비구의 보살행 102
17. 육바라밀 행으로 중생을 교화하라! 115
18. 발보리심과 그 실천 120
19. 십선업도, 선악의 표준 126
20. 일심청정을 닦으라! 137
21. 아미타부처님 친설법문 (1) 147
22. 아미타부처님 친설법문 (2) 151
23. 제불여래의 밀장, 나무아미타불 153
24. 염불법문의 법미와 보살수행의 총강령 159
25. 극락세계 보살의 수행생활 (1) 165
26. 극락세계 보살의 수행생활 (2) 170
27. 극락세계 보살의 수행생활 (3) 176
28. 극락세계 보살의 공덕 180
29. 학불ㆍ교학을 싫어하지도 싫증내지도 말라! 184
30. 명호를 집지함에 복덕, 선정과 지혜가 있다 188
31. 아침ㆍ저녁으로 두 차례 염불하라! 190
32. 극락세계 보살의 수학태도 및 경계 194
33. 세상 사람들은 중요한 일을 잊고 산다! 202
34. 사람 사는 도리를 다하라! 209
35. 서둘러 보복하려는 생각을 알아차려라! 216
36. 염불을 선택하여 부지런히 행하라! 218
37. 염불로 마음을 항복 받고 안온히 머물라! 220
38. 자신을 속이지 말고 남을 속이지 말라! 222
39. 전일하게 정진하며 수학하라! 223
40. 마음을 단정히 갖고 뜻을 바로 하라! 225
41. 오악ㆍ오통ㆍ오소와 부처님 교학의 목표 227
42. 살생을 한 악과 그 과보 232
43. 도둑질을 한 악과 그 과보 237
44. 음행을 한 악과 그 과보 246
45. 거짓말을 한 악과 그 과보 250
46. 음주로 인한 악과 그 과보 257
47. 선악응보는 누구도 대신하지 못한다 262
48. 일심으로 생각을 제어하라! 265
49. 육도 중생의 병통 270
50. 존경ㆍ공경ㆍ사랑하라! 276
51. 단정하고 청결히, 전일하고 천천히! 278
52. 만덕의 근본을 널리 심어라! 284
53. 채식을 실천하라! 291
54. 번갈아가며 전하고, 스스로 단속하며 참회하라! 293
55. 구함이 있으면 반드시 응함이 있다! 298
56. 부처님의 가르침이 작용하는 세상을 만들라! 301
57. 제불의 무상지혜를 명백히 믿어라! 308
58. 인천의 과보를 구하지 말라! 310
59. 상에 취착하여 분별하지 말라! 314
60. 염불법문이 오래 머물게 하고 결연히 지켜라! 316
무량수경 합찬 320
멸치는 죽어서도 떼 지어 산다

도서명 : 멸치는 죽어서도 떼 지어 산다
저자/출판사 : 최성규, 시와에세이
쪽수 : 120쪽
출판일 : 2020-01-30
ISBN : 9791186111758
정가 : 10000
제1부
사람에게만 있는 것·11
나는 생선 같아서·12
사람을 잃다·14
봄의 관찰 1·15
봄의 관찰 2·16
유월 1·18
유월 2·20
숨은그림찾기·22
즐거운 요리·24
내 안의 말·26
하산(下山)·27
새벽 두 시·28
첫눈·30
황태덕장·31
돌 속의 나무·32
제2부
또 다른 이름·35
서서 먹는 밥·36
지방근무·38
오마주(hommage) 1·39
오마주(hommage) 2·40
아버지의 바람 1·42
아버지의 바람 2·44
사직서를 쓰며·45
물맛이 쓰다·46
순댓국을 먹는 아침·47
올라가기·48
질경이꽃·49
주말부부·50
도마 위의 여자·52
반시(盤?)·53
제3부
고장 난 다리·57
사마귀·58
안산역에서·59
멸치는 죽어서도 떼 지어 산다·60
바람의 촉을 깎다·62
유연한 혹은 딱딱한·64
남태령·66
호두호밀햄치즈샌드·68
꿈, 길마중·69
가을이 내게로 왔다·70
단편으로 읽는 하루·72
나의 감옥·74
적인가 사랑인가·76
오늘·77
그 여자의 방·78
제4부
틈·83
연필을 깎다·84
면도기를 파는 점원·86
강철 불꽃·87
실제상황·88
장마가 시작될 때·91
바다꽃·92
껍데기의 숲·94
빨래를 하며·96
오십 번째 집들이 초대장·98
박쥐·99
밤마다 윗집이 궁금해진다·100
벽·102
전봇대·103
즐거운 상상·104
해설│정윤천·105
시인의 말·119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