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쓰는, 세계 또는 사회보장과 공공복지
땅끝
2025-04-13 19:24
2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1회 연결
본문
다시, 쓰는, 세계

도서명 : 다시, 쓰는, 세계
저자/출판사 : 손희정, 오월의봄
쪽수 : 248쪽
출판일 : 2020-02-24
ISBN : 9791190422253
정가 : 16500
5 ㆍ 들어가는 말 쓰는 존재
1 자라지 않는 남자들과 남성연대
19 ㆍ 괴물은 침묵을 먹고 자란다
23 ㆍ ‘아버지 황정민’과 지금 여기의 ‘아재정치’
27 ㆍ 성性과 장애의 관점에서 보기
31 ㆍ ‘여혐’ 권하는 예능
35 ㆍ 백래시와 여혐 시장
39 ㆍ “이게 한국남자야”
43 ㆍ 자라지 않는 ‘아재들’과 한남 엔터테인먼트
46 ㆍ ‘나쁜 남자’, 누구를 위한 판타지인가
50 ㆍ 시간은 누구의 편인가
53 ㆍ 홍준표 대표님께 드림
57 ㆍ ‘가부장제 이후’는 오지 않았다
61 ㆍ 고개 숙인 남자, 잘나가는 여자?
65 ㆍ〈조커〉, 어느 인셀의 탄생
69 ㆍ 남자들이여, 더 가까이 오라
2 해로운 말들 앞에서
75 ㆍ ‘개독’은 혐오 표현일까?
79 ㆍ 87년 민주항쟁 30주년을 맞이하는 한 가지 방법
83 ㆍ ‘길라임’은 무엇의 이름인가?
87 ㆍ 수치심의 학교
91 ㆍ 차별에 찬성한 어떤 페미니스트 대통령
95 ㆍ 동일범죄 동일수사 동일처벌
99 ㆍ 반지성적 의미 왜곡에 대응하는 법
103 ㆍ 페미니즘과 포퓰리즘이 교차할 때
107 ㆍ 어떤 정치인은 더 해롭다
111 ㆍ 대한민국이 신정국가입니까?
115 ㆍ ‘보이지 않는 것’이 보여주는 것
119 ㆍ ‘보이는 것’이 들려드릴 이야기
123 ㆍ A 하사와 함께 질문하자
3 싸움이 열어준 세계
129 ㆍ 페미니즘은 ‘파워’가 된다
133 ㆍ 더 이상 가만히 있지 않겠다
138 ㆍ ‘가모장’과 ‘문명남’으로부터 배우라
143 ㆍ 다시 만난 세계
147 ㆍ 싸움에도 머뭇거림은 필요하다
151 ㆍ 월경, 그리고 지극히 평범한 권리
155 ㆍ 여러분, “자, 이제 댄스타임”
159 ㆍ 콘돔은 섹시하다
163 ㆍ 영화제도의 남성 카르텔을 묻는다
167 ㆍ 소소하지만 드라마틱한, “3시 STOP!”
171 ㆍ 얼굴을 되찾는 용기
175 ㆍ 비혼주의자의 싱가포르 여행과 성평등 개헌
179 ㆍ 또 하나의 혁명, 청소년 참정권 운동
183 ㆍ 두려워 말라, 그들은 그저 세상을 바꾸고 있는 중이다
187 ㆍ 위력에 의한 간음죄, 최협의설을 넘어서자
191 ㆍ 나이키 페미니즘을 타고 넘기
4 삶이 저절로 계속된 것이었을까?
197 ㆍ 피난하지 못하는 사람들
201 ㆍ 머무르지 않는 마음, 〈파란나비효과〉
205 ㆍ 마음껏 음란하라
209 ㆍ 공주가 돌아왔다
213 ㆍ 우리가 버티는 이유
217 ㆍ 위대함과 특별함의 앙상블, 〈아이 캔 스피크〉
220 ㆍ 가장 詩적인 것
224 ㆍ 밥이 우리를 축복할 때
228 ㆍ 한 끗의 차이를 만드는 페미니즘
232 ㆍ 돼지를 그대 품 안에
236 ㆍ ‘습’의 전환, 혁명-이후를 꿈꾸며
240 ㆍ 우먼 온 톱
244 ㆍ 어른 없는 시대, 성장을 상상하는 영화들
사회보장과 공공복지

도서명 : 사회보장과 공공복지
저자/출판사 : 이정관, 한국학술정보
쪽수 : 395쪽
출판일 : 2019-10-10
ISBN : 9788926896624
정가 : 29000
머리말
제1장 공공복지 정책환경의 변화
제1절 복지국가의 등장과 배경
1. 국가란 무엇인가: 개념과 존재 이유
2. 복지국가의 등장: 복지국가와 국민국가
3. 국가복지와 지역복지: 국가에서 지역사회로
제2절 복지국가의 발달과 현실
1. 복지국가와 이데올로기
2. 복지국가의 유형화
3. 복지국가의 지역적 차이
제3절 복지정책의 방향 변화
1. 복지국가의 위기대응과 장래
2. 복지정책의 새 패러다임 모색: 지속가능성
3. 지속가능성과 사회지표 개발
제4절 복지공급체계의 재편
1. 복지공급 주체의 다원화
2. 공공·민간 파트너십 모형
제5절 복지권의 발달과 국제화
1. 복지권에 관한 일반적 논의
2. 미국의 복지권 운동
3. 복지권의 국제화
제2장 사회보장체계와 공공복지
제1절 사회보장방식의 유형과 운영원리
1. 사회보장의 개념과 방식 유형
2. 사회보장 방식별 운영원리
제2절 사회보장체계의 구성요소
1. 보장대상자 선정
2. 급여형태와 제공방법
3. 서비스 전달체계
4. 재원조달과 부담형태
제3절 기초생활 보장과 사회보장기준
1. 기초생활 보장의 개념
2. 기초생활 보장의 기준
3. 빈곤의 기준과 구빈법의 원칙
제4절 복지서비스 공급의 집권과 분권
1. 집권화와 분권화의 유형
2. 사회보장과 정부 간 역할
3. 정치환경과 공공복지
제5절 복지서비스 제공과 재정
1. 복지재정과 조세 부담
2. 사회안전망과 공공부조
3. 재원조달과 서비스제공 양태
제3장 정치 이데올로기와 복지개혁
제1절 자유주의 정치 이데올로기와 복지
1. 미국의 정치 이데올로기와 복지
2. 영국의 정치 이데올로기와 복지
제2절 복지개혁 작업과 정책이동
1. 근로연계복지와 정책이동
2. 미국의 근로연계복지 프로그램
3. 영국의 근로연계복지프로그램
제3절 미국과 영국의 뉴딜
1. 미국의 뉴딜(New Deal)
2. 영국의 뉴딜(New Deal)
제4절 미국 정부의 복지개혁
1. 복지개혁법 입법 과정과 주요 내용
2. 복지개혁의 평가와 시사점
제5절 영국 정부의 복지개혁
1. 복지개혁법 입법 과정과 주요 내용
2. 복지개혁의 평가와 시사점
제4장 미국의 사회보장체계와 공공복지
제1절 사회보장제도의 발달과 구성체계
1. 사회보장제도의 역사적 전개
2. 사회보장체계의 구성
제2절 소셜 시큐리티의 내용과 장래
1. 사회보장법의 내용
2. 소셜 시큐리티의 개혁
3. 소셜 시큐리티의 장래
제3절 사회보장 운영체계와 사회보장 기준선
1. 사회보장 서비스공급 및 행정체계
2. 공적 사회보장 기준선
제4절 주요 사회보장 프로그램
1. 사회보장연금(OASDI)
2. 빈곤 가정 임시지원(Temporary Assistance for Needy Families)
3. 보충소득보장(Supplemental Security Income)
4. 일반지원(General Assistance)
5. 보충영양지원제도(Supplemental Nutrition Assistance Program)
6. 근로소득 세금공제(Earned Income Tax Credit)
제5절 의료보장제도
1. 의료보장제도의 발달과정 및 특징
2. 오바마 케어 vs. 트럼프 케어
3. 공공의료 프로그램 관리운영체계
4. 앞으로의 과제
제5장 영국의 사회보장체계와 공공복지
제1절 사회보장제도의 발달과 구성체계
1. 사회보장제도의 역사적 전개
2. 사회보장체계의 구성
제2절 베버리지 보고서와 영국의 사회보장
1. 베버리지 보고서의 주요 내용
2. 베버리지 보고서의 반영
3. 베버리지 보고서의 평가
제3절 사회보장 운영체계와 사회보장 기준선
1. 사회보장 서비스공급 및 행정체계
2. 공적 사회보장 기준선
제4절 주요 사회보장 프로그램
1. 국민보험(National Insurance)
2. 통합공제(Universal Credit)
3. 고용 및 지원수당(Employment and Support Allowance)
4. 아동수당(Child Benefit)
5. 연금공제(Pension Credit)
6. 지방세 감면제도(Council Tax Reduction)
제5절 의료보장제도
1. 의료보장제도의 발달과정 및 특징
2. 국민건강서비스(NHS) 관리운영체계
3. 앞으로의 과제
제6장 한국의 사회보장체계와 공공복지
제1절 사회보장제도의 발달과 구성체계
1. 사회보장제도의 역사적 전개
2. 사회보장체계의 구성
제2절 사회보장정책의 성격 변화
1. 국가 책임주의의 강화
2. 국가 복지비전의 변천
3. 복지권과 사회적 통합의 강조
제3절 사회보장 운영체계와 사회보장 기준선
1. 사회보장서비스 공급 및 행정체계
2. 공적 사회보장 기준선
제4절 주요 사회보장 프로그램
1. 공적 연금제도
2.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3. 고령자복지 프로그램
4. 아동복지 프로그램
5. 장애인복지 프로그램
6. 근로장려세제
제5절 의료보장제도
1. 의료보장제도의 발달과정 및 특징
2. 국민건강보험 관리운영체계
3. 앞으로의 과제
제7장 미래 사회보장의 혁신적 대안
제1절 새로운 접근 전략: 기본소득과 기본자본
1. 논의의 배경
2. 기본소득(Basic Income)
3. 기본자본(Basic Capital)
4. 기본소득과 기본자본의 계층 간 격차 해소 효과
5. 세계 각국의 기본소득 실험
제2절 미국의 자산형성 프로그램
1. 자산형성프로그램의 도입배경
2. 개인발달계좌(IDA) 프로그램
제3절 영국의 기본자본보조금
1. 기본자본보조금 아이디어의 도입배경
2. 아동신탁기금(Child Trust Fund)
제4절 한국의 자산형성 지원제도
1. 자산형성지원제도의 도입배경
2. 한국의 자산형성지원 프로그램
제8장 4차 산업혁명과 사회보장의 미래
제1절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
1. 산업혁명의 시작과 의의
2. 4차 산업혁명의 개념과 특징
3. 4차 산업혁명의 기회와 도전
제2절 4차 산업혁명과 사회보장의 대응
1. 4차 산업혁명이 가져올 주요변화
2. 4차 산업혁명과 복지국가 4.0
3. 4차 산업혁명과 사회보장 기본전략
제3절 4차 산업혁명과 사회보장 추진과제
1. 초연결사회와 사회보장의 혁신
2. 4차 산업혁명과 ‘일자리 4.0’
3. 과학기술과 복지의 융합
참고문헌
찾아보기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