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 주방 또는 경성의 주택지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독서 주방 또는 경성의 주택지

땅끝
2025-04-13 19:24 2 0

본문




독서 주방
9791186536650.jpg


도서명 : 독서 주방
저자/출판사 : 유재덕, 나무발전소
쪽수 : 252쪽
출판일 : 2019-09-20
ISBN : 9791186536650
정가 : 14000

시작하는 말 요리사와 평론가의 슈트ㆍ004

제1장 식
식탁 혁명을 불러온 고추의 모든 것ㆍ018
- <페퍼로드>
놀라운 음식의 과학ㆍ024
- <왜 맛있을까>
음식 습관에 인생이 담겨 있다ㆍ030
- <음식의 심리학>
식사에 담긴 문화의 변화ㆍ034
- <한국인들은 왜 이렇게 먹을까?>
손이 아니라 마음으로 만든다ㆍ038
- <딸에게 차려주는 식탁>
주방의 성차별을 향한 일침ㆍ044
- <여성 셰프 분투기>
흥미를 넘어 독자를 감동시키는 책ㆍ050
- <식사 食史>
햄버거 모양을 한 무엇은? 바로 새로운 생각ㆍ056
- <아이디어 요리하는 아이디어>
세상 제일 친절한 레시피는 어디에?ㆍ062
- <또 이따위 레시피라니>
파불루머의 키친 라이브러리ㆍ070
- <갖고 싶다 이런 키친>

제2장 생
좋은 요리사는 계절과 같은 사람ㆍ078
- <로산진의 요리왕국>
요리사는 쉽게 국경을 넘을 수 있고,
세상 그 어디에서도 살 수 있다ㆍ084
- <음식의 말>
생명을 키우는 밥의 기억ㆍ090
- <밥 이야기>
숨겨진 맛의 역사ㆍ096
- <음식과 전쟁>
살아 있다는 것은 존중받을 자격이 있다는 것ㆍ102
- <순대실록>
세계 최고 요리사들의 삶과 철학ㆍ108
- <세기의 셰프를 만나다>
인생을 바꿀 만한 무엇이 요리라니!ㆍ114
- <어설프지만 맛있게>
대한제국 황실 연회 음식 재현행사를 마치고ㆍ120
- <음식에 담아낸 인문학>
요리보다 글이 더 맛있는 글쓰기ㆍ126
- <위로의 레시피>
양은 도시락과 어머니ㆍ132
- <밥하는 여자> , <조반은 드셨수>
이라도 튼튼하면 얼마나 좋을까!ㆍ138
- <나는 어머니와 산다>

제3장 맛
맛술에 담긴 삶의 이야기ㆍ146
- <행복한 세계 술맛 기행>
가을에 딱 어울리는 ‘맛, 그 지적 유혹’ㆍ152
- <맛, 그 지적 유혹>
밥상머리에서 듣는 옛날 이야기ㆍ156
- <음식으로 읽는 한국 생활사>
독서는 시간을 종이학처럼 접는 것ㆍ162
- <요리하는 조선 남자>
‘먹이’가 아닌 ‘음식’으로 깨닫는 세상 이야기ㆍ168
- <먹는 인간>
문학을 사랑한 푸주한의 책과 음식 이야기ㆍ174
- <문학을 홀린 음식들>
세계 식량 문제와 당신의 ‘노쇼’는 연결되어 있다ㆍ180
- <왜 음식물의 절반이 버려지는데 누군가는 굶어 죽는가>
아름다운 몸매를 바라는 사람에게 권하는 ‘식사법’ㆍ186
- <마흔 식사법>
치매를 보는 바르고 따뜻한 눈길ㆍ192
- <주문을 틀리는 요리점>
제4장 멋
나는 어떤 요리사로 기억되고 싶은가?ㆍ202
- <먹고 마시는 것들의 자연사>
김정은 위원장 담당 요리사에게 권하는 책ㆍ208
- <음식을 처방해 드립니다>
‘분자요리’와 ‘분자미식’ㆍ214
- <나는 부엌에서 과학의 모든 것을 배웠다>
자연이 그대로 있기를 원하는 기도ㆍ220
- <마음을 멈추고 부탄을 걷다>
진정한 고수는 세상의 평범 속에
자신의 영혼을 절여 넣는다ㆍ224
- <요리로 만나는 과학 교과서>
상사병마저 고쳐주는 ‘나의 부엌’ㆍ230
- <손때 묻은 나의 부엌>
식탁은 인생 교실이다ㆍ234
- <질문이 있는 식탁 유대인 교육의 비밀> , <그레인 브레인>
요리를 놀이로 만드는 레시피ㆍ240
- <마크 쿨란스의 더 레시피>
오늘도 그리고 내일도
누군가의 음식을 준비하며ㆍ246
- <음식문화의 수수께끼> 음식문화의> 마크> 그레인> 질문이> 손때> 요리로> 마음을> 나는> 음식을> 먹고> 주문을> 마흔> 왜> 문학을> 먹는> 요리하는> 음식으로> 맛,> 행복한> 나는> 조반은> 밥하는> 위로의> 음식에> 어설프지만> 세기의> 순대실록> 음식과> 밥> 음식의> 로산진의> 갖고> 또> 아이디어> 식사> 여성> 딸에게> 한국인들은> 음식의> 왜> 페퍼로드>




경성의 주택지
9791188679072.jpg


도서명 : 경성의 주택지
저자/출판사 : 이경아, 집
쪽수 : 392쪽
출판일 : 2019-11-25
ISBN : 9791188679072
정가 : 23000

책을 펴내며

우리나라의 대표 한옥단지, 가회동과 건축왕 정세권
우리나라의 대표 한옥단지, 가회동 | 건축왕이자 민족운동가, 정세권 | 정세권은 왜 한옥에 주목했나 | 정세권의 브랜드 주택, 건양주택 | 20세기 한옥박물관, 가회동 31번지와 33번지 |
중당식 주택과 중정식 주택의 결합 실험 | ㄷ자 표준형 주택 실험 | 다양한 형태의 주택 실험 | 가회동 사람들 | 가회동 한옥단지의 가치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북촌의 서양식 주택
북촌은 한옥마을이 아니다 | 조선인 상류층 우종관과 문화주택 | 서양식 이층집, 문화주택에 대한 환상과 열기 | 우종관이 지은 두 동의 서양식 주택 | 서양식 주택을 향하여 | 일본식 중복도형 평면 | 그래도 온돌은 못 버려 | 조선인 상류층의 ‘삼중생활’

서울의 중심, 인사동 일대의 변화와 박길룡의 조선 주택개량운동
서울의 중심, 인사동 일대 | 일제강점기 인사들의 주택 개량에 대한 고민 | 박길룡과 과학운동 | 조선 주택 조사와 문제점 인식 | 조선가옥건축연구회의 설치와 주택개량운동 | 문화주택 비판 | 중정식 배치냐, 집중형 배치냐 | 부엌의 개량 | 온돌의 개량 | 변소를 비롯한 기타 개량 |
박길룡 조선 주택 개량의 종합안 | 박길룡 조선 주택 개량안의 실제, 민병옥 가옥과 각심재

다이너마이트로 만든 삼청동 주택지와 김종량의 하이브리드 실험주택
신성하고도 수려한 동네, 삼청동 | 다이너마이트로 만든 주택지, 갈등과 대립 | 건축가이자 정치가, 언론인 김종량 | 초기 실험작, 혜화동 주택 | 김종량의 대표작, 삼청동의 하이브리드 주택

이상적 건강주택지, 후암동
조선인의 가회동 vs. 일본인의 후암동 | 건강한 주택지를 찾아서 | 조선인의 후암동에서 일본인의 삼판통으로 | 농사짓던 땅이 경성 최고가의 고급 주택지로 | 후암동 주택지 개발의 시작, 조선은행 사택지 | 경성의 3대 주택지, 학강 주택지 | 그외 주택지 개발 | 후암동의 문화주택 |
서양식 주택으로 보이도록 | 일본식 주택 계획의 관성 | 일본인의 온돌 수용 |
오카베집 또는 적산가옥의 변화

한양도성의 훼철과 고급 교외 주택지 개발, 장충동
조선의 수도 한양의 경계, 한양도성의 운명 | 조선시대의 미개발지, 남소동 | 국가 제사시설 장충단이 공원으로 | 요정과 유곽의 등장 | 교외 주택지 개발 | 주택지 개발의 동진을 알린 첫 주택지, 소화원 주택지 | 국유림 해제 및 불하와 함께 탄생한 주택지, 남산장전고대 주택지 | 국책회사에 의한 고급 주택지 조성, 장충단 주택지 | 최신 고급 주택의 각축장 | 해방 후 고급 주택지 장충동의 위상

그들의 전원주택지, 신당동
전원주택지의 탄생 | 전원, 전원도시, 전원주택의 개념 | 전원도시 개념의 유입 |
국책회사에 의한 전원주택지 개발 | 모델하우스 전시와 분양 팸플릿, 주택도집 발간 |
전원주택지 탄생의 명과 암 | 남산주회도로 부설과 한남동 개발

경성의 학교촌과 조선인의 문화촌, 동숭동과 혜화동
서울의 오래된 학교촌, 그리고 조선인의 문화촌 | 조선시대 최고의 국립 교육기관 성균관의 소재지 | 백동수도원으로부터 시작된 천주교 타운의 형성 | 경성제국대학의 건립과 그 영향 |
관립학교에서 개발한 관사지 | 경성제국대학 교수들의 문화주택지, 약수대 |
조선인들의 문화촌 형성과 실험적인 주택

한양도성 밖 첫 한옥 신도시, 돈암지구
의외의 한옥단지 | 조선시가지계획령의 공포와 경성의 토지구획정리사업 | 경성의 첫 토지구획정리지구, 돈암 | 한양도성 밖 첫 한옥 신도시의 탄생 | 돈암지구 한옥단지의 개발자들 | 돈암지구 내 주목할 만한 한옥: 2층 한옥, 연립한옥, 돈암장 | 돈암지구에 대한 기억

한강 너머의 이상향, 흑석동 그리고 토지 투기의 확산
노량진과 동작진의 사이, 흑석리 | 한강철교와 한강인도교, 한강신사의 건립 | 장수촌이자 별장 주택지를 지향한 명수대 주택지 | 계획의 변경, 학원도시의 조성 | 병참기지정책에 따라 서쪽으로 번지는 토지 투기 열풍

최신 주거문화의 전시장, 충정로
‘최초’라는 수식어가 많이 붙는, 한양도성의 서쪽 | 경성의 또 다른 3대 주택지, 금화장 |
서북쪽으로 퍼져나가는 주택지 개발 | 수직으로 적층된 새로운 주택, 아파트 |
일제강점기 경성의 아파트 | 최고(最古)의 철근콘크리트조 아파트, 충정아파트 |
철근콘크리트를 사용한 고급 주택, 죽첨장 또는 경교장

관에서 개발한 주택지, 관사단지와 영단주택지
관사와 관사단지 | 일본인들의 북진과 관사단지 조성 | 궁궐 내 관사단지 개발 | 관사의 건축적 특징 | 조선주택영단의 설립과 영단주택의 공급

찾아보기
참고문헌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