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정사단 어떻게 왜곡됐나(해설서) 또는 은퇴 산꾼, 고산에 서다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칠정사단 어떻게 왜곡됐나(해설서) 또는 은퇴 산꾼, 고산에 서다

땅끝
2025-04-13 19:24 2 0

본문




칠정사단 어떻게 왜곡됐나(해설서)
9788926897201.jpg


도서명 : 칠정사단 어떻게 왜곡됐나(해설서)
저자/출판사 : 김동원, 한국학술정보
쪽수 : 594쪽
출판일 : 2019-11-18
ISBN : 9788926897201
정가 : 50000

서문

주자학에 대한 세계 학자들의 오독(17가지 예)
1.주희 이후 중국은 "도통"논의가 끊겼다
2.태극은 동정을 할 수 있는가,없는가?
3."무극이태극"에 관한 학자들의 오류
4.「태극도」의 불완함과 추만의「천명도」
5.「중용장구서」윤집궐중의 "도통"을 주희는 스스로 상세히 부정했다
·
·
[중략]
·
·
13.연못의 달이 진짜 하늘의 달이어야 한다
14.고자의 성설을 맹자는 부정하고 정자는 긍정함
(한국의 인물성 동ㆍ이 논쟁과 관련하여)
15.반대로 정이가 혼륜,정호가 분석이다
16.『소학』"쇄소응대"는 희노애락 미발의 경 공부처이다
17.『주역』자연의 이치를 극복한 주희의 『중용』공부론

고봉의 칠정사단론(100꼭지)
1.느낌은 木이고,희노(칠정)는 자사의 說이다
2.희노애락,천명,중ㆍ화 등은 치우침 없음이다
3.고봉이 제시한 칠정설은 총 5설이며 모두 도통론이다
4.칠정을 '氣之發로 해석'할수 있는 4가지 이유
5.사단설은 '확충,성선,불중설,성선의 체용'등 4설이 있다
·
·
[중략]
·
·
95.사물의 리를 하나씩 이해함으로써 물격은 징험된다
96."리의 무정의ㆍ조작"은 격물치지 및 리도설과 관련이 없다
97.격물과 물격이 선후를 잃으면 非道가 됨
98.리를 自到,自用이라 하면 노자가 됨
99.격물치지에서 심만 논하면 불학이 됨
100.言之라는 문법의 불합치와 왜곡

퇴계의 끝없는 오류와 모순(106가지 예)
1.퇴계는 추만 천명도를 고치고,그 원본은 없앴다
2.누구의 말이 거짓인가?
3.중용"칠정"과 맹자 "사단"이 어찌 상대설이란 말인가?
4.무불선,유선악 모두 情善의 형용이 될 수 없다
5.퇴계는 사ㆍ칠론을 총 5회 고쳤지만,모두 허구다
·
·
[중략]
·
·
102.리도설로 인용한 『대학장구』,『혹문』,『어류』,『보망장』등을 모두 오독함
103.주희의 心用을 부정하고 리 自用을 주장함
104.퇴계는 리 본체를 死物로 여김
105.격물과 물격의 선후를 마구 뒤섞음
106.황간,오징,진헌장을 인용한 변론의 자상모순




은퇴 산꾼, 고산에 서다
9791165390525.jpg


도서명 : 은퇴 산꾼, 고산에 서다
저자/출판사 : 황대연, 북랩
쪽수 : 398쪽
출판일 : 2020-01-22
ISBN : 9791165390525
정가 : 16800

『은퇴 산꾼, 고산에 서다』를 엮으며 5

01 신의 산, 에베레스트(Mt. Everest) 11
02 일본 최고봉, 후지산(Mt. Fuji) 125
03 동양의 알프스, 쓰구냥산(四姑娘山) 145
04 동남아 최고봉, 키나발루산(Mt. Kinabalu) 191
05 유럽 최고봉, 엘부르즈산(Mt. Elbrus) 221
06 동북아 최고봉, 옥산(Mt. Yushen) 263
07 아프리카 최고봉, 킬리만자로산(Mt. Kilimanjaro) 289
08 인도차이나 최고봉, 판시판산(Mt. Fansipan) 339
09 중앙아시아의 알프스, 우치텔피크(Uchitel peak) 365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