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 KS/ISO 규격에 의한 기계설계 KS규격집 또는 신화로 읽는 류큐 왕국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최신 KS/ISO 규격에 의한 기계설계 KS규격집 또는 신화로 읽는 류큐 왕국

땅끝
2025-04-13 19:24 3 0

본문




최신 KS/ISO 규격에 의한 기계설계 KS규격집
9791187244608.jpg


도서명 : 최신 KS/ISO 규격에 의한 기계설계 KS규격집
저자/출판사 : 이홍우 , 노수황, 피앤피북
쪽수 : 544쪽
출판일 : 2020-03-10
ISBN : 9791187244608
정가 : 27000

Chapter 1 기계제도의 기본
1-1 기계제도의 KS규격 16
1-2 도면의 크기와 양식 17
1-3 도면의 분류 18
1-4 척도와 도면 기입 방법 19
1-5 기계제도에서 사용하는 선의 종류와 용도 20

Chapter 2 치수허용차와 도면지시법
2-1 기준치수의 구분 36
2-2 IT기본공차 37
2-3 구멍의 기초가 되는 치수 허용차(1/2) 38
2-4 축의 기초가 되는 치수 허용차(1/2) 40
2-5 상용하는 끼워맞춤 42
2-6 상용하는 끼워맞춤 구멍의 치수허용차(1/2) 43
2-7 상용하는 구멍기준식 끼워맞춤 적용 예 45
2-8 상용하는 끼워맞춤 축의 치수허용차(1/2) 46
2-9 절삭가공품의 둥글기 및 모떼기 48
2-10 제도-미정의 모서리 모양-용어 및 지시(1/5) 49
2-11 열처리를 한 철 계통의 부품 지시 방법(1/10) 54

Chapter 3 표면거칠기의 종류 및 표시
3-1 표면거칠기 파라미터 58
3-2 표면거칠기와 다듬질기호(삼각기호)의 관계 59
3-3 산술평균거칠기(Ra)의 거칠기 값과 적용 예 60
3-4 표면거칠기 표기 및 가공 방법 61
3-5 표면거칠기 기호 비교 분석 62
3-6 비교 표면 거칠기 표준편 63
3-7 제도-표면의 결 도시 방법(1/3) 63
3-8 특수한 요구 사항의 지시 방법(1/2) 66
3-9 도면 기입법(1/2) 68

Chapter 4 일반공차 및 보통공차
4-1 일반공차(1/3) 72
4-2 주조품-치수 공차 및 절삭 여유 방식(1/4) 75
4-3 금형 주조품·다이캐스팅·알루미늄합금(참고) 79
4-4 주철품의 보통 치수 공차 80
4-5 알루미늄 합금 주물의 보통 치수 공차 81
4-6 다이캐스팅의 보통 치수 공차 82
4-7 금속판 셰어링 보통 공차(1/2) 83
4-8 주강품의 보통 치수 공차 85
4-9 금속 프레스 가공품 보통 치수 공차 86
4-10 중심거리의 허용차 87

Chapter 5 치수공차 및 기하공차
5-1 기하공차의 종류와 부가 기호(1/3) 90
5-2 데이텀과 기하공차의 상호관계(1/2) 93
5-3 최대 실체 공차방식과 실효치수(1/2) 95
5-4 IT 기본공차 등급과 가공 방법과의 관계 97
5-5 IT 등급의 공차값이 아닌 일반적으로 적용하는 기하공차의 공차역 98

Chapter 6 키와 스플라인
6-1 묻힘키의 종류 및 끼워맞춤 공차(1/2) 102
6-2 평행키의 끼워맞춤 설명 104
6-3 평행키(1/2) 105
6-4 반달키(1/2) 107
6-5 경사키(1/2) 109
6-6 스플라인 제도 및 표시방법(1/6) 111
6-7 접선키와 키홈(1/3) 117

Chapter 7 멈춤링과 로크너트·와셔
7-1 축용 C형 멈춤링 122
7-2 구멍용 C형 멈춤링 123
7-3 E형 멈춤링 124
7-4 축용 C형 동심 멈춤링 125
7-5 구멍용 C형 동심 멈춤링 126
7-6 구름 베어링용 로크 너트 127
7-7 구름 베어링용 와셔 128
7-8 구름 베어링용 와셔 체결부 축의 홈 치수 129

Chapter 8 나사의 제도와 규격
8-1 나사 제도 및 치수 기입법(1/2) 132
8-2 나사 표시 방법 134
8-3 미터 보통 나사 135
8-4 미터 가는 나사(1/5) 136
8-5 유니파이 보통 나사 141
8-6 관용 평행 나사(1/2) 142
8-7 관용 테이퍼 나사(1/4) 144
8-8 29도 사다리꼴 나사(1/2) 148
8-9 미터 사다리꼴 나사(1/4) 150
8-10 수나사 부품의 불완전 나사부 길이 및 나사의 틈새(1/2) 154
8-11 볼트 구멍 자리파기와 나사부 치수 156
8-12 육각홈붙이 볼트의 자리파기 및 볼트 구멍의 치수 156
8-13 탭 깊이 및 드릴 가공 깊이 157
8-14 일반적인 접시머리나사의 카운터 싱크 치수 157
8-15 접시머리 작은 나사 카운터싱크 치수 158
8-16 재질별 탭 깊이 및 나사 체결부 깊이 159
8-17 볼트 구멍 및 자리파기 규격 160
8-18 자리파기, 카운터보링, 카운터싱킹 161


Chapter 9 볼트와 너트
9-1 6각 구멍붙이 볼트(1/2) 164
9-2 볼트 구멍 지름 및 카운터 보어 지름 166
9-3 6각 구멍붙이 볼트의 카운터 보어 및 볼트 구멍의 치수표 167
9-4 6각 볼트 (상) 168
9-5 6각 볼트 (중) 169
9-6 6각 볼트 (흑) 170
9-7 6각 너트 (상) 171
9-8 6각 너트 (중) 172
9-9 홈붙이 멈춤나사(1/5) 173
9-10 6각 구멍붙이 멈춤나사(1/5) 178
9-11 아이 볼트 183
9-12 아이 너트 184
9-13 T홈용 4각 볼트 185
9-14 T홈 너트 186

Chapter 10 핀
10-1 평행 핀 190
10-2 분할 핀 191
10-3 분할 테이퍼 핀 192
10-4 스프링 핀 192
10-5 스프링식 곧은 핀-코일형, 중하중용 193
10-6 스프링식 곧은 핀-코일형, 표준하중용 193
10-7 스프링식 곧은 핀-홈, 저하중용 194
10-8 맞춤 핀 195
10-9 나사붙이 테이퍼 핀 (1/2) 195
10-10 암나사붙이 평행 핀 197

Chapter 11 치공구 요소
11-1 지그용 부시 및 그 부속품 200
11-2 고정 라이너 201
11-3 고정 부시 202
11-4 둥근형 삽입(꽂음) 부시 203
11-5 노치형 삽입 부시 204
11-6 부시와 멈춤쇠 또는 멈춤 나사 치수 205
11-7 멈춤쇠 및 고정핀 206
11-8 분할 와셔 207
11-9 열쇠형 와셔 및 볼트 208
11-10 지그 및 부착구용 위치 결정 핀(1/2) 209
11-11 V-블록의 설계 211
11-12 더브테일 설계 212
11-13 치공구요소(1/3) 213

Chapter 12 벨트와 풀리·로프 도르래
12-1 주철제 V 벨트 풀리(홈)(1/2) 218
12-2 가는 나비 V 풀리(홈)(1/3) 220
12-3 평 벨트 풀리 223
12-4 천정 크레인용 로프 도르래(1/4) 224

Chapter 13 롤러 체인용 스프로킷
13-1 롤러 체인용 스프로킷 치형 및 치수 230
13-2 스프로킷의 모양 및 치수 231
13-3 롤러 체인용 스프로킷 치형 및 치수(1/2) 232
13-4 스프로킷의 기준 치수(호칭번호 25) 234
13-5 스프로킷의 기준 치수(호칭번호 35) 235
13-6 스프로킷의 기준 치수(호칭번호 41) 236
13-7 스프로킷의 기준 치수(호칭번호 40) 237
13-8 스프로킷의 기준 치수(호칭번호 50) 238
13-9 스프로킷의 기준 치수(호칭번호 60) 239
13-10 스프로킷의 기준 치수(호칭번호 80) 240
13-11 스프로킷의 기준 치수(호칭번호 100) 241
13-12 스프로킷의 기준 치수(호칭번호 120) 242
13-13 스프로킷의 기준 치수(호칭번호 140) 243
13-14 스프로킷의 기준 치수(호칭번호 160) 244
13-15 스프로킷의 기준 치수(호칭번호 200) 245
13-16 스프로킷의 기준 치수(호칭번호 240) 246

Chapter 14 기계요소 제도와 요목표 작성법
14-1 스퍼기어 제도 및 요목표 250
14-2 래크와 피니언 제도 및 요목표 254
14-3 웜과 웜휠 제도 및 요목표 258
14-4 헬리컬 기어 제도 및 요목표 262
14-5 베벨 기어 제도 및 요목표 266
14-6 섹터 기어 제도 및 요목표 270
14-7 체인 스프로킷 제도 및 요목표 272
14-8 V-벨트 제도 및 요목표 276
14-9 래칫 휠 제도 및 요목표 278
14-10 문자 및 눈금 각인과 요목표 280
14-11 스플라인 축과 구멍 제도 282
14-12 정면 캠 및 선도 [1] 283
14-13 정면 캠 및 선도 [2] 284
14-14 판 캠 및 선도 285
14-15 단면 캠 및 선도 286
14-16 원형 캠 계산 및 종동부의 동작 변화 287
14-17 판 캠 및 캠 곡선 [1] 289
14-18 판 캠 및 캠 곡선 [2] 290
14-19 판 캠 및 캠 곡선 [3] 291

Chapter 15 오링 규격
15-1 오링 부착 홈 부의 모양 및 치수 294
15-2 운동용 및 고정용(원통면) O링 홈 치수 - P계열(1/3) 295
15-3 운동용 및 고정용(원통면) O링 홈 치수 - G계열 298
15-4 고정용(평면)의 홈부의 모양 및 치수(1/2) 299
15-5 고정(평면)의 O링 홈 치수 301
15-6 O링의 부착에 관한 주의 사항 302
15-7 유공압용 O링 홈의 설계 기준 및 기본 계산(1/4) 303
15-8 O링 홈의 치수(1/4) 307
15-9 특수 홈의 치수(1/4) 311
15-10 플러머 블록(펠트링) 315

Chapter 16 오일실 규격
16-1 오일실(1/4) 318

Chapter 17 스프링 설계 규격
17-1 압축 및 인장 원통 코일 스프링 설계 기준 324
17-2 스프링 설계 계산 예 337
17-3 냉간 성형 압축 코일 스프링 342
17-4 열간 성형 압축 코일 스프링 343
17-5 테이퍼 코일 스프링 344
17-6 각 스프링 345
17-7 이중 코일 스프링 346
17-8 인장 코일 스프링 347
17-9 비틀림 코일 스프링 348
17-10 지지, 받침 스프링 349
17-11 테이퍼 판 스프링 350
17-12 겹판 스프링 351
17-13 토션바 352
17-14 벌류트 스프링 353
17-15 스파이럴 스프링 354
17-16 S자형 스파이럴 스프링 355
17-17 접시 스프링 356
17-18 압축 스프링의 도시 예 357

Chapter 18 베어링 끼워맞품 및 설계 데이터
18-1 구름 베어링의 호칭 번호(1/2) 360
18-2 베어링의 계열 기호(볼 베어링) 362
18-3 베어링의 계열 기호(롤러 베어링) 363
18-4 베어링의 호칭 번호와 기호 설명 364
18-5 레이디얼 베어링의 축 공차 365
18-6 레이디얼 베어링의 하우징 구멍 공차 366
18-7 스러스트 베어링의 축 및 하우징 구멍 공차 367
18-8 레이디얼 베어링에 대한 축 및 하우징 R과 어깨 높이 368
18-9 베어링 끼워맞춤의 설계 적용법(1/6) 369
18-10 베어링의 회전 및 하중 조건에 따른 끼워맞춤 일반기준 375

Chapter 19 미끄럼 베어링 규격
19-1 소결 함유 베어링 378
19-2 미끄럼 베어링용 부시 - C형 379
19-3 미끄럼 베어링용 부시 - F형 380
19-4 베어링 라이닝과 오일홈 381

Chapter 20 볼 베어링 규격
20-1 깊은 홈 볼 베어링 - 60 계열 384
20-2 깊은 홈 볼 베어링 - 62 계열 385
20-3 깊은 홈 볼 베어링 - 63 계열 386
20-4 깊은 홈 볼 베어링 - 64, 67 계열 387
20-5 깊은 홈 볼 베어링 - 68 계열 388
20-6 깊은 홈 볼 베어링 - 69 계열 389
20-7 앵귤러 볼 베어링 - 70 계열 390
20-8 앵귤러 볼 베어링 - 72 계열 391
20-9 앵귤러 볼 베어링 - 73 계열 392
20-10 앵귤러 볼 베어링 - 74 계열 393
20-11 자동 조심 볼 베어링 - 12, 22 계열 394
20-12 자동 조심 볼 베어링 - 13, 23 계열 395

Chapter 21 롤러 베어링 규격
21-1 원통 롤러 베어링 - NU10 계열 398
21-2 원통 롤러 베어링 - NU2, NJ2, NUP2, N2, NF2 계열 399
21-3 원통 롤러 베어링 - NU22, NJ22, NUP22 계열 400
21-4 원통 롤러 베어링 - NU3, NJ3, NUP3, N3, NF3 계열 401
21-5 원통 롤러 베어링 - NU23, NJ23, NUP23 계열 402
21-6 원통 롤러 베어링 - NU4, NJ4, NUP4, N4, NF4 계열 403
21-7 원통 롤러 베어링 - NN30 계열 404
21-8 테이퍼 롤러 베어링 - 320 계열 405
21-9 테이퍼 롤러 베어링 - 302 계열 406
21-10 테이퍼 롤러 베어링 - 322 계열 407
21-11 테이퍼 롤러 베어링 - 303 계열 408
21-12 테이퍼 롤러 베어링 - 303D 계열 409
21-13 테이퍼 롤러 베어링 - 323 계열 410
21-14 자동 조심 롤러 베어링 - 230, 231 계열 411
21-15 자동 조심 롤러 베어링 - 222, 232 계열 412
21-16 자동 조심 롤러 베어링 - 213, 223 계열 413
21-17 니들 롤러 베어링 - NA48, RNA48 계열 414
21-18 니들 롤러 베어링 - NA49, RNA49 계열 415

Chapter 22 스러스트 베어링 규격
22-1 평면자리 스러스트 베어링 - 단식 계열 511, 512 418
22-2 평면자리 스러스트 베어링 - 단식 계열 513, 514 419
22-3 평면자리 스러스트 베어링 - 복식 계열 522 420
22-4 평면자리 스러스트 베어링 - 복식 계열 523 421
22-5 평면자리 스러스트 베어링 - 복식 계열 524 422
22-6 자동 조심 스러스트 롤러 베어링 - 292 계열 423
22-7 자동 조심 스러스트 롤러 베어링 - 293 계열 424
22-8 자동 조심 스러스트 롤러 베어링 - 294 계열 425

Chapter 23 축 설계 규격
23-1 센터 구멍(1/4) 428
23-2 널링 432
23-3 축의 지름 433
23-4 원통 축끝(1/3) 434
23-5 공구의 생크 4각부(1/2) 437
23-6 상용하는 축의 재료 및 용도 439

Chapter 24 용접 기호
24-1 기본 기호 및 보조 기호(1/4) 442
24-2 도면에서의 기호 위치 446
24-3 용접부 치수 표시(1/2) 447
24-4 보조 표시 예 449
24-5 점 및 심 용접부에 대한 적용의 예(1/8) 449
24-6 용접 이음 계산 공식 457

Chapter 25 유압·공기압 요소 기호
25-1 기호 요소(1/2) 460
25-2 기능 요소 462
25-3 관로 463
25-4 접속구 463
25-5 기계식 구성 부품 464
25-6 조작 방식(1/3) 464
25-7 펌프 및 모터 467
25-8 실린더 468
25-9 특수 에너지(변환기기) 469
25-10 에너지(용기) 469
25-11 동력원 470
25-12 전환 밸브(1/2) 470
25-13 체크 밸브·셔틀 밸브·배기 밸브 472
25-14 압력 제어 밸브(1/2) 472
25-15 유량 제어 밸브 474
25-16 기름 탱크 475
25-17 유체 조정 기기(1/2) 476
25-18 보조 기기 478
25-19 기타의 기기 479
25-20 부속서(1/2) 480

Chapter 26 금속 및 비금속 재료 규격
26-1 기계 구조용 탄소강 및 합금강(1/2) 484
26-2 공구강, 중공강, 베어링강(1/2) 486
26-3 스프링강, 쾌삭강, 클래드강(1/2) 488
26-4 단강품(1/2) 490
26-5 주강품(1/2) 492
26-6 주철품(1/2) 494
26-7 신동품(1/4) 496
26-8 마그네슘 합금, 납 및 납합금의 전신재(1/2) 500
26-9 니켈 및 니켈 합금의 전신재 502
26-10 티탄 및 티탄 합금 기타의 전신재(1/2) 503
26-11 주물(1/4) 505

Chapter 27 기계요소설계 주요 계산 공식
27-1 결합용 기계의 주요 계산 공식 512
27-2 축계 기계요소 517
27-3 전동용 기계요소 522
27-4 브레이크·래치 장치 528
27-5 압력용기와 관로 529

Chapter 28 유압기기설계
28-1 유압 시스템의 설계 계산법 534
28-2 호닝파이프의 두께 및 허용 내압 계산법 541




신화로 읽는 류큐 왕국
9791156121497.jpg


도서명 : 신화로 읽는 류큐 왕국
저자/출판사 : 정진희, 푸른역사
쪽수 : 416쪽
출판일 : 2019-08-30
ISBN : 9791156121497
정가 : 23000

들머리에서
프롤로그
구성과 내용

1. 고류큐의 신화적 코스몰로지
1장 태양왕의 신화
2장 신성의 원향原鄕 구다카지마
3장 기코에오기미와 세화 우타키
4장 태양왕의 소우주 슈리성

2. 류큐 왕국의 창세신화
1장 《중산세감》의 창세신화
2장 다른 기록, 다른 신화
3장 창세신화의 재편과 류큐국 아이덴티티의 궤적

3. 류큐의 왕통 시조 신화
1장 왕통 시조 신화의 목적
2장 순천왕통의 역할
3장 데다코 영조왕의 신화
4장 역사시대 왕통의 시조 신화
5장 왕통 시조 신화 재편의 논리

4. 농경의례와 왕권 신화의 재편
1장 아마미쿠를 찾아서
2장 《류큐국유래기》의 농경 기원담
3장 순행 의례의 변화와 신화의 재편

5. 왕권의 신화, ‘시마’의 신화
1장 마을 우주의 신화적 변동
2장 천天 관념의 전용轉用과 논리
3장 마을과 왕조 ‘사이’의 공동체와 신화

에필로그
참고문헌
주석
찾아보기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