욱수동에 살며 또는 아무도 가르쳐주지 않는 발성법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욱수동에 살며 또는 아무도 가르쳐주지 않는 발성법

땅끝
2025-04-13 19:24 1 0

본문




욱수동에 살며
9791162999301.jpg


도서명 : 욱수동에 살며
저자/출판사 : 백기언, 북랩
쪽수 : 300쪽
출판일 : 2019-10-28
ISBN : 9791162999301
정가 : 14000

profile 5
꼭 하고 싶은 말 10

[프롤로그] 나의 글, 계륵(鷄肋) 모음에 들어가며 11

1부 생활 단상 모음
제1부에 대하여 20

1. 욱수동에 살며 21
2. 아들의 결혼 24
3. ‘세상과의 단절’을 꿈꾸며 27
4. 한국경제의 ‘잃어버린 20년’ 진입 우려 29
5. 한진해운의 추억 34
6. 이해하기 힘든 장면들 37
7. 왜 항상 정직이 최선의 정책인가? 40
8. 60세 이상 나이를 먹으며… 44
9. Let It Be & Let It Be 49
10. 복합불황과 과다 복지지출의 딜레마 52
11. 영화 보기 57
12. 제주가 화산섬인가? 62
13. 경영 의사결정과정의 편견이 부른 사회현상 66
14. 고졸취업의 허상 72

제2부 일간지 칼럼 모음
제2부에 대하여 80

[경제칼럼]
1. 고객서비스가 핵심이다 82
2. 낙동강 프로젝트 85
3. 농축산물의 브랜드화 87
4. 닷컴 경제 89
5. 머니의 부자 되는 법 91
6. 물류관리가 돈이다 94
7. 브랜드 ‘코리아’의 위상 98
8. 사업의 ABC 100
9. 여성의 e-비즈니스 창업 103
10. 위기에 몰린 재래시장 106
11. 주5일 근무제 108
12. 투잡스(Two Jobs)의 허와 실 110
13. 프랜차이즈를 통한 창업 113

[교육칼럼]
1. 대학 신입생 모집의 파행 117
2. 대학 기여입학제 필요하다 120
3. 대학의 질적 경쟁력 123
4. 도서관에 투자하세요 127
5. 신지식인들은 어디에 있는가? 130
6. 전문대학의 경쟁성 회복 133
7. 조기 금융 교육 136
8. 지구환경을 생각하자 139

[시사칼럼]
1. 골프를 치는 이유 142
2. 두서너 개 문화가 문제다 145
3. 부끄러운 교통문화 148
4. 부지런함의 미학 150
5. 특정 트렌드를 주도하는 세대 153
6. 세상의 변화를 실감하며 156
7. 승복(承服)하는 사회 159
8. 엽기사이트 속의 반미(反美) 162
9. 외적(外的) 아름다움의 추구가 문제인가? 164
10. 전쟁과 이라크의 어린이들 167
11. 페미니즘에 ‘제3의 물결’이 필요하다 170
12. 한국인의 종교관, 과연 옳은가? 172
13. 환경음식점 제도 175

제3부 클리핑(Clipping) 모음
제3부에 대하여 180

1. 자기소개서 181
2. 국가물류산업을 선도하는 명문 마이스터고 188
3. 팬스타트리, 한국항만물류고와 산학협력 체결 196
4. 광양 제철소에지역 고교생 채용 당부 198
5. 취업률 95%, 한국항만물류고 ‘마이스터고’ 저력 200
6. ‘先人間 後知識’ 현장밀착형 인재 양성 203
7. “항만물류의 명장 양성에 최선 다할 것” 205
8. 한국항만물류고, 中·日 국제 교류 활동 활발 210
9. 항만물류고, 국토교통부
‘물류기능인력양성사업 위탁기관’ 지정 212
10. ‘여수·광양권 SC협의회’ 한국항만물류高에 발전기금 기탁 215
11. 한국항만물류고 학생 학부모와 함께 하는 음악회 217
12. 주례사 219

제4부 학교장의 미셀러니(Miscellany) 모음
제4부에 대하여

[마이스트고 교장]
1. 교장 취임사 228
2. 마이스터고(Meister School)의 특징 234
3. 학교장의 경영철학, 목표 및 역할 238

[물류누리]
1. 물류산업 현장의 창의, 혁신을 선도할 영 마이스터 육성(1) 243
2. 물류산업 현장의 창의, 혁신을 선도할 영 마이스터 육성(2) 246
3. 물류산업 현장의 창의, 혁신을 선도할 영 마이스터 육성(3) 249
4. 물류산업 현장의 창의, 혁신을 선도할 영 마이스터 육성(4) 252

[입학식, 졸업식]
1. 2014년 졸업식 축사 257
2. 2015년 입학식 환영사 261
3. 2017년 졸업식 축사 264

[자매학교 교류]
1. 방중단 환영식 답사 269
2. 방중단 환송식 답사 273
3. 방일단 환영식 답사 276
4. 방한단 환영사 279
5. 방한단 환송사 282

[체육대회]
1. 제14회 총동창회 체육대회 환영사 285
2. 제17회 총동창회 체육대회 환영사 287
3. 춘계 체육대회 격려사 290

[특별활동]
1. 음악회 초대장 294
2. 진향제 축하사 296

[에필로그] 나의 글, 계륵(鷄肋) 모음에서 나오며 298




아무도 가르쳐주지 않는 발성법
9791160543025.jpg


도서명 : 아무도 가르쳐주지 않는 발성법
저자/출판사 : 박옥련, 렛츠북
쪽수 : 200쪽
출판일 : 2019-07-26
ISBN : 9791160543025
정가 : 15000

추천사 004
들어가는 글 인간의 본능인 음악과 노래 006

Chapter 1 나의 경험 나누기
1. 방황 018
2. 유학 경험과 성악에 대한 고찰 025
3. 대학교수 생활 10년 후 다시 떠난 유학 028
4. 구강의 원리를 알아내다 029

Chapter 2 성악 공부
1. 성악 공부에의 접근 039
발성은 언어적이며 체육적이다 / 발성의 지름길 / 성악 공부의 방향 / 발성 공부, 어떻게 할 것인가? / 성악은 독학이 되지 않는다 / 발성에서 가장 핵심적인 요소 / Tip 1. 노래를 연습하고 싶은가? / 성악을 글자 쓰기에 비유한다면
2. 성악 공부의 잘못된 상식 052
좋은 목소리를 위해서는 자주 큰 소리로 연습해야 한다? / 성악 공부에는 발성보다 음악이 더 중요하다? / Tip 2. 성악하는 음악가로서의 자질

Chapter 3 발성법
1. 발성의 조건 057
소리를 내는 방법은 사람마다 모두 상이하다 / 성악에서 발성법이 중요한 이유 / Tip 1. ‘레가토(legato, 부드럽게 이어서)’ 창법
2. 목 힘으로 노래한다? 062
목 힘으로 노래하게 되는 예 / 비브라토와 트레몰로
3. 원래 소리가 작은 사람이라도 발성이 확립되면 달라진다 068
엔리코 카루소의 발성법 고찰
4. 노래는 모음과 모음의 연결이다 070
쉰 소리가 난다면 / 자연스러운 좋은 소리 / 공기가 있으므로 소리가 존재한다
5. 발성의 재창조인 노래 074
성대의 기량 알아보기 / 발성의 기본자세 / Tip 2. 어깨의 힘을 빼는 올바른 방법 / Tip 3. 바른 소리를 낼 때의 모습 / Tip 4. 연습 시 주변 환경

Chapter 4 성악을 위한 올바른 호흡법
1. 성악과 호흡법 083
목을 열어라 / 폐와 횡격막의 이해
2. 복식 호흡 087
복식 호흡과 근육의 작용 / 성대에 관여하는 근육 / 복근과 배 부근의 근육 / 적절한 운동
3. 자연스러운 호흡 095
4. 성악의 테크닉 097

Chapter 5 기본 입 모양
1. 입속의 모양 104
2. 구강이란 105
구강의 이완과 경직 / 파사지오와 포지션 / 구강의 공간 / 구강의 구형변화
3. 혀의 중요성 108
혀의 이완(relax) / 혀뿌리에 힘이 풀어지지 않으면 / 자연스럽게 이완된 혀
4. 턱의 이완 113
턱의 연습 / 턱과 혀의 연습
5. 후두 115
후두의 조절 / 후두를 내리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 후두 위치 조절
6. 바른 자세의 유지 118

Chapter 6 성대
1. 성대와 몸의 역할 124
내 성대의 기량 / 헤드 보이스(두성)를 강요하는 레슨 / 음성의 세 가지 요소
2. 과도한 노래 연습은 금물 127
노래 연습에 대한 오해 / 노래 연습의 기초
3. 공명 130
공명이 필요한 이유 / 구강 공명 / 자연스러운 공명
4. 올바른 발성법의 체화 133
음역 / 음을 들을 때 / 밝고 맑은 음성으로 / 음성의 조건
5. 노래는 말하듯이 137
타고난 자기 목소리 / “노래는 말하듯이”, 너무나 중요한 테크닉 / 말하듯이 소리 내는 방법

Chapter 7 올바른 성악을 위한 이것저것
1. 일찍 데뷔한다고 좋은 것이 아니다 145
2. 비전공자 147
3. 노래 전 워밍업 150
4. 고음을 노래할 때 주의해야 할 점 150
5. 파사지오(Passaggio) 151
6. 가사 전달 152
7. 갖추면 좋은 요건들 152
8. 발성 공부에는 인내가 필요하다 153

Chapter 8 성악 지도자
1. 성악 지도의 중요성 157
이상적인 성악 지도자로서의 조건 / 소리를 듣고 구별하는 능력 / Tip 1. 변성기 이전에는 남녀 성대의 길이에 별 차이가 없다 / Tip 2. 이탈리아식이든, 독일식이든 / 성악 심사가 어려운 이유 / 올바른 성악 지도가 필요한 이유
2. 성악 지도자들의 현실 162
잘못된 성악 지도 / 우리 성악 교육의 현실 / 성악계에 좋은 귀를 가진 지도자가 드문 이유 / 성악에서 훌륭한 연주자라고 해서 훌륭한 교육자는 아닌 이유 / 성악은 연습실에서 다 망가진다 / 성악 교사들의 잘못된 지도 방법
3. 성악 지도자들의 문제점 167
소리의 섬세함을 가려내지 못한다 / 성악 교육의 문제점 / 현재의 성악 교육 현실 / 위험한 성악 레슨 / 국내 교육에 대한 문제 제기 / 기존 교육의 심각한 폐해 / 안타까운 성악 교육의 사례 / 한국 성악 교육의 실태 / 문제 교사들 / 한국 입시의 현실
4. 성악 지도자와 성악 교육 179
소리의 분석이 가능한 귀 / 기술을 넘어서야 비로소 노래는 음악이 된다 / 성악가의 청각 기관 / 성대 관리 / 소수의 성악가 / 조금만 더 공부한다면 / 과제 곡들 / 어느 날 내 귀가 열리다

글을 마치며 190
박옥련 교수의 성악 클리닉 수강 후기 192
참고문헌 196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