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프 코치 염소연의 셀프리딩 또는 왜 나는 아직도 그리스도인인가
땅끝
2025-04-13 19:24
0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0회 연결
본문
라이프 코치 염소연의 셀프리딩

도서명 : 라이프 코치 염소연의 셀프리딩
저자/출판사 : 염소연, 매일경제신문사
쪽수 : 260쪽
출판일 : 2019-10-01
ISBN : 9791164840090
정가 : 15000
추천사
프롤로그
1막 방향과 목적 | 셀프리더가 가치를 창조하는 출발점
① 결핍과 욕구 | 결핍이 성장 욕구를 자극한다
② 방황과 방향 | 방향은 방황이 낳은 자식이다
③ 목표와 목적 | 목표를 달성해야 목적지에 도달한다
④ 비전과 상상 | 상상하는대로 비전은 이루어진다
⑤ 긍정과 인정 | 긍정해야 나의 가치를 인정할 수 있다
2막 결단과 실행 | 셀프리더가 자기다움을 만드는 비결
⑥ 결단과 기회 | 결단을 내려야 기회라는 선물을 얻을 수 있다
⑦ 역경과 경력 | 색다른 경력도 힘든 역경이 낳은 자식이다
⑧ 반복과 반전 | 지루한 반복만이 감동의 반전을 가져온다
⑨ 학습과 성취 | 보람찬 성취는 즐거운 학습의 결과다
⑩ 도전과 용기 | 한계에 도전하는 힘은 용기에서 나온다
3막 소통과 공감 | 셀프리더가 가치를 같이 만드는 과정
⑪ 비움과 세움 | 나를 비우는 노력이 상대를 높이 세울 수 있다
⑫ 색다름과 남다름 | 색달라지면 저절로 남달라진다
⑬ 경청과 공감 | 마음으로 듣는 경청이 마음을 움직이는 공감을 낳는다
⑭ 침묵과 소통 | 본질은 자신과의 조용한 대화에서 나온다
⑮ 소통과 화통 | 타자와의 소통은 마음을 여는 화통에서 비롯된다
4막 통찰과 혁신 | 셀프리더가 변신을 거듭하는 무기
16 정지와 성찰 | 정지해서 성찰해야 새로운 통찰이 생긴다
17 질문과 성숙 | 숙성된 질문이 인간적 성숙으로 유도한다
18 독서와 사유 | 깊이 읽는 독서만이 사유의 즐거움을 던져준다
19 창조와 혁신 | 창조하려는 몸부림이 혁신적인 세상을 만든다
20 관찰과 통찰 | 관심으로 시작된 관찰이 경이로운 통찰을 낳는다
에필로그
왜 나는 아직도 그리스도인인가

도서명 : 왜 나는 아직도 그리스도인인가
저자/출판사 : 차재승, 새물결플러스
쪽수 : 596쪽
출판일 : 2020-01-28
ISBN : 9791161291376
정가 : 28000
서문
I. 성경은 하나님의 말씀인가?
1. 낮추어 찾아오심(accommodation)의 신비와 위로: 말씀은 하나님의 인격이다.
2. 성경은 하나님의 말씀이라는 것을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자증, 내적, 외적 증거
3. 인간이 도저히 꾸며낼 수 없는 이야기와 사상
II. 고난과 기독교
1. 고난의 심오함
2. 철학: 악과 신
2.1. 논리적인 추론
2.2. 경험적인 추론
2.3. 철학적 추론의 한계: 신의 존재로부터 신의 내용으로
3. 고난과 종교
3.1. 양극단의 견해: 이신론과 범신론
3.2. 온건한 견해: 만유내재신론과 카발라 신론
3.3. 여러 종교의 고난 이해
4. 기독교와 고난
4.1. 인격적 하나님
4.2. 성경이 선포하는 고난과 하나님
4.2.1. 창세기: 고난과 윤리
4.2.2. 욥기: 고난과 인격
4.2.3. 전도서: 보편적 고난, 그리고 거리 두기의 신비
4.2.4. 고난과 그리스도
5. 결론
III. 예수 그리스도는 하나님인가?
1. 사람의 아들 예수
1.1. 구약에서의 사람의 아들
1.2. 에녹서에서의 사람의 아들
1.3. 신약에서의 사람의 아들
2. 예수, 삼위 하나님을 증거하다
2.1. 유일신론(monotheism), 단일신론(henotheism), 다신론(polytheism)
2.2. 범신론(pantheism), 만유내재신론(panentheism)
2.3. 삼위일체 신학
2.4. 예수와 삼위일체 하나님
2.4.1. 제자들의 삼위일체론
2.4.2. 예수의 삼위일체론
3. 예수, 하나님 나라를 선포하다
3.1. 구약의 하나님 나라: 세상, 이스라엘, 그리고 그리스도
3.2. 복음서를 제외한 신약에서 제자들이 선포한 하나님 나라
3.3. 예수께서 선포한 하나님 나라
IV. 인간-가장 높고 가장 낮은 자
1. 창세기의 인간학: 창조, 타락, 타락의 결과
2. 하나님의 형상
3. 죄
4. 결론: 인간의 높음과 낮음은 서로 충돌하지 않는가? 기독교 인간학은 모순적인가?
V. 자유, 종교개혁, 그리고 하나님의 자리
1. 자유 일반
2. 루터: 십자가, 양심과 율법으로부터 자유
3. 칼뱅: 자유됨으로부터 자유함으로
4. 종교개혁과 자유, 교회와 세상, 그리고 하나님의 자리
5. 자유 일반과 기독교 자유 사상의 고유함
참고문헌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