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를 행복하게 하는 것들 또는 Super Easy English
땅끝
2025-04-13 19:24
0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0회 연결
본문
우리를 행복하게 하는 것들

도서명 : 우리를 행복하게 하는 것들
저자/출판사 : 장석주, 을유문화사
쪽수 : 292쪽
출판일 : 2019-07-10
ISBN : 9788932474045
정가 : 13000
서문 - 행복을 꿈꿀 권리
1장 내 몫의 행복을 만나다
여름의 문장들
여기 수박이 있다고 외쳐라!
옥수수는 자란다
행복은 찰나가 주는 선물
해가 지지 않는 여름 저녁
더 행복한 가을을 기다리자
나는 왜 시골에서 반려견과 함께 지냈나?
침묵의 말에 귀 기울이기
여름이 좋다!
네 아침을 준비할 때 다른 이들을 생각하라
2장 행복의 형상을 그리다
근심 없이 잠들던 날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왜 책을 읽나요?
더 느리게, 더 단순하게
비우면 달라지는 것들
소통, 타인을 환대하는 일
여행이라는 영예로운 월계관
침묵으로의 자발적 망명
가난한 청년을 비춘 빛의 음악
운동화 끈을 단단히 매고 걷는다
소박한 일에서 즐거움 찾기
3장 손안의 행복을 몽상하다
집밥과 어머니
겨울과 세상에서 가장 외로운 사람
창문보다 더 너그러운 것이 어디 있는가?
절반만 사랑하는 사람을 사랑하지 말라
목표를 갖고 산다는 것
원하는 것을 다 할 수 없다면
친구여, 눈과 얼음의 계절을 견디자
행복은 파랑이다
겨울의 끝자락에서
봄이 오면 나는 다시 살아 봐야겠다
4장 행복의 기술을 바라다
내가 행복했던 곳으로 가 주세요
불행한 만찬 앞에서 괴로워만 말고
봄을 관조하다
‘봄’을 발음하는 방법
걸을수록 행복해진다
스승을 섬기는 기쁨에 대하여
나는 오늘도 ‘종이 책’ 읽기에 열중한다
혼자 있는 시간의 맛
청춘, 그 ‘가장행렬’은 빨리 지나간다
타인과 연루된다는 것
5장 사소한 행복을 찾다
여행의 끝
나는 마음의 주인인가, 혹은 마음이 내 주인인가?
교하 들을 걸어가다
나를 행복으로 이끄는 소리들
일요일이 좋다
라면도 소울 푸드가 될 수 있나요?
물은 내 태고의 고향이다
‘탐라’에서 사는 꿈
내일부터는 행복한 사람이 되겠습니다
웃고, 슬퍼하며, 노래하라
Super Easy English

도서명 : Super Easy English
저자/출판사 : 김종수 , 앨리슨 리, 라온북
쪽수 : 272쪽
출판일 : 2020-01-07
ISBN : 9791190233408
정가 : 15000
1장 Super Daddy가 알려주는 이해 쏙쏙 영문법 48
01 in the morning, in the afternoon, in the evening인데 왜 밤만 at night인가요?
02 왜 TV는 watch해야 할까요? see는 안 되나요?
03 악기 이름 앞에는 the를 꼭 붙여야 하나요?
04 귀여운 강아지에게 he나 she라고 해도 돼요?
05 관사, 정말 꼭 써야 하나요?
06 What do you do? 나 뭐하고 있냐고?
07 hear과 listen to 둘 다 ‘듣다’ 아닌가요?
08 ‘거기 누구 계신가요?’는 Is somebody there? 아니면 Is anybody there?
09 not은 왜 be 동사 뒤에만 있나요?
10 We play baseball, 스포츠 앞에는 왜 관사를 붙이지 않을까?
11 미래의 어느 날은 one day? someday?
12 Would you bring me water? 앞으로의 일인데 왜 과거형 would를 쓰나요?
13 Could you bring me water?는 왜 Can you bring me water?보다 공손한 표현인가요?
14 왜 현재 동사는 가장 확실한 미래를 나타낼까요?
15 “지금 갈게”는 영어로 왜 “I will come.”일까요?
16 조동사는 동사를 어떻게 도와주는 걸까요?
17 왜 give는 to you고, buy는 for you, ask는 또 of you인 거죠?
18 It sounds well.은 틀린 말인가요?
19 똑같이 탈 것인데 버스는 on the bus, 자동차는 in the car, 왜 다른 건가요?
20 주어가 3인칭 단수면 동사 뒤에 왜 꼭 ‘-s’를 붙이는 거죠?
21 don’t have to는 왜 ‘하면 안 된다’가 아니라 ‘~할 필요 없다’일까?
22 be going to는 will과 같은 말 맞죠?
23 can과 be able to는 같은 말 아닌가요?
24 조동사는 왜 이렇게 모양이 다양할까?
- 쉬어가는 time 역사에서 보이는 영어의 이유
25 동사 뒤에 ‘-s’ 대신 ?z, -p, -b같은 알파벳을 붙이고 싶어요
26 탁자와 종이는 모두 나무로 만들었는데, 왜 made of, made from으로 다르게 쓰나요?
27 알면 아는 거지 know와 know of, know about은 무슨 차이가 있는 건가요?
28 a lot of 뒤에 셀 수 있는 명사와 셀 수 없는 명사를 모두 쓸 수 있는 이유
29 a number of는 왜 ‘많은’이란 뜻일까요?
30 사라진 shall의 진실
31 There is a house. There are houses. 주어는 there로 같은 데 동사는 왜 다르지요?
32 compare with와 compare to의 뜻은 왜 서로 다른 걸까요?
33 person의 복수는 people 맞지요? 그런데 persons도 있다던데요?
34 similar to(~와 비슷하다)와 same as(~와 같다)는 둘다 ‘~와’ 인데 왜 서로 다른 전치사를 쓸까요?
35 셀 수 없는 명사, 세다가 화나는 명사, 셀 필요 없는 명사
36 since는 ‘~때문에’라는 뜻을 어떻게 갖게 되었을까?
37 ‘의무’를 나타내는 조동사는 왜 다른 조동사들보다 많을까?
38 had better는 앞으로 할 일을 말하는 데 왜 과거형 had를 쓴 걸까요?
39 조동사 used to는 어떻게 ‘~하곤 했다’라는 의미가 되었을까?
40 to 부정사, 현재 분사, 과거 분사는 처음에는 없었던 품사라고요?
41 부사의 왕, 빈도 부사
42 왜 현재진행형으로도 미래를 표현할 수 있을까요?
43 남을 시키는 동사는 뒤에는 왜 동사 원형을 쓸까요?
44 help는 왜 목적보어로 to 부정사와 동사 원형을 모두 쓸 수 있는 걸까요?
45 왜 -thing으로 끝나는 명사는 형용사가 뒤에 오는 걸까?
46 지각 동사는 목적 보어로 왜 동사 원형을 쓰는 걸까?
47 suggest는 ‘앞으로 할 일을 제안하다’인데 왜 뒤에 동명사가 올까요?
48 to 부정사는 왜 의미상의 주어로 for나 of를 쓰는 거죠?
- 쉬어가는 time 숙어는 어떻게 만들어졌나요?
2장 Super Mom이 알려주는 헷갈리기 쉬운 영어 30
01 선생님은 teacher 말고 이렇게 불러 주세요
02 학교에서 받는 점수는 score가 아닙니다
03 미국에서 핸드폰은 hand phone이 아닙니다
04 코믹하고 웃긴 건 fun or funny?
05 humor는 감각이지 웃긴 말들이 아니에요
06 mart와 슈퍼마켓, 같은 것 아닌가요?
07 아무리 많아도 숙제는 homeworks가 아니에요
08 pay와 pay for에 이렇게 큰 차이가?
- 미국 문화 이야기 언어 영어 vs. 문자 영어
09 wanna는 멋지지만 항상 쓸 수는 없어요
10 메모지가 작다고 memo가 작지 않아요
11 미국에서는 세트 메뉴를 먹을 수 없습니다
12 menu 말고 음식을 골라 주세요
- 미국 문화 이야기 원색으로 꾸며진 교실
13 공책은 note가 아니에요
14 ‘What is your job?’은 너무 직접적이에요
15 아파트는 apart가 아닙니다
- 미국 문화 이야기 그들은 왜 스포츠 교육에 열광할까?
16 친구와 meeting 한다고? 뭐가 그리 심각한데?
17 wear과 put on은 둘 다 같은 ‘입다’ 일까요?
18 누구에게 말하는 지가 중요하면 say가 아니라 tell로 말해 주세요
19 같은 ‘질병’이라는 뜻인데 disease or illness 차이가 크다구요?
20 내 딸에게 벌써 boyfriend가 생겼다고?
- 미국 문화 이야기 장애 학생들의 대한 배려
21 ‘How heavy are you?’라고 한다면 큰 실례가 되겠죠?
22 샤워 후 gown을 입는다는 우리 공주
23 도대체 어떤 단어를 써야하나요? cloth vs. clothing vs. clothes
24 둘 다 같은 뜻 아닌가요? police vs. policeman
- 미국 문화 이야기 현재 미국의 기본 교육은 ‘읽기’에서 시작된다
25 ‘Do you mind~?’라고 물어보면 Yes? 아님 No?
26 today morning, 맞는 것 같지만 아니죠!
27 예약할 때 appointment 아님 reservation?
28 closet과 dresser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29 엄마, 저 원피스 입을래요! No, it’s a dress!
30 참 nice한 어린이는 so nice boy가 아니랍니다
- 미국 문화 이야기 기다림의 중요성
- 미국 교육 열풍의 중심, 논술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