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들은 왜 문화재를 돌려주지 않는가 또는 고려인 숨결 따라 동학 길 따라
땅끝
2025-04-13 19:24
4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0회 연결
본문
그들은 왜 문화재를 돌려주지 않는가

도서명 : 그들은 왜 문화재를 돌려주지 않는가
저자/출판사 : 김경민, 을유문화사
쪽수 : 372쪽
출판일 : 2019-08-25
ISBN : 9788932474120
정가 : 16000
지은이의 말
서론 우리는 왜 문화재를 돌려받아야 한다고 생각할까
문화재란 무엇인가 | 우리가 문화재 문제를 알아야 하는 이유 | 왜 영국에 주목하는가 | 고고학의 탄생과 영국박물관 그리고 제국주의 | 문화재 문제를 둘러싼 국제법과 미술사 분야의 연구들 | 문화재 문제를 둘러싼 고고학과 역사학의 연구들 | 문화재 반환을 둘러싼 이 감정은 어디서 나오는가
제1부 문화재 약탈의 역사
근대적 역사의 산물, 문화재 | 문화재 개념이 등장한 역사적 배경
1. 가치 있는 물건이 문화재가 되기까지
문화재 개념이 없었던 중세의 유럽 | 르네상스 시대의 개인 박물관 등장 | 군주의 수집 행위와 권력 관계 | 문화재 수집의 성격 변화: 세계시민주의에서 제국주의로
2. 제국의 등장과 문화재 약탈의 시작
나폴레옹의 이집트 원정 | 동양에서 영국과 프랑스의 유물 수집 경쟁 | 이집트를 바라보는 두 가지 시선: 위대한 과거와 열등한 현재 | 공공의 컬렉션이 된 제국의 수집품 | 제국주의 이데올로기와 문명의 위계화 | 영국, 로마 제국을 모방하다
3. 영국은 어떻게 동양 문화를 약탈했는가
동양을 ‘수집’하고 제국을 ‘전시’하다
1) 영국 문화재 약탈의 시작, 인도의「 티푸의 호랑이」
18세기 프랑스와 영국의 힘겨루기 | 영국이 반출한 최초의 인도 유물, 「티푸의 호랑이」 | 인도에 대한 부정적 타자화 | 수집과 약탈 사이에서, 영제국의 비군사적 지배 방식
2) 아시리아 문명의 발견과 메소포타미아 정복
동인도회사 직원이 바그다드에 거주한 이유 | 오스틴 레이어드는 고대 유적을 발굴한 영웅인가 | 아시리아 유물을 둘러싼 쟁탈전 | 영제국에 의한, 영제국을 위한 아시리아 문명 | 문화재 전유를 통한 메소포타미아 정복
3) 세계적으로 악명 높은 문화재 약탈 사건, 중국 돈황
유럽에 알려지지 않은 중앙아시아 | 아우렐 스타인의 중앙아시아 탐사 시작 | 스타인의 돈황 ‘발견’과 헐값에 팔린 유물 | 영제국은 스타인의 업적을 어떻게 전유했는가 | 스타인의 돈황 탐사는 왜 악명 높은 약탈일까
4. 국가적 기획: 영국 정부와 해군 그리고 영국박물관
누가 유물을 수집하려고 하는가 | 영국은 어떻게 문화재를 반출했을까 | 19세기 유물 수집 열풍의 이유, 예술인가 정치인가 | 유럽의 문화론, 그리스가 가장 위대한 문명이다 | 유럽은 ‘야만적 원주민’으로부터 유물을 ‘구제’했는가
제2부 오늘날 세계는 문화재 약탈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1. 문화재 보호를 위한 근대적 노력, 국제법
국제법 탄생의 역사적 배경 | 유럽 중심적 문명론과 문명국만을 위한 국제법 | 제2차 세계대전 이전의 문화재 보호를 위한 법적 노력과 한계 |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약탈문화재 반환 규정 첫 등장
2. 영국은 왜 약탈 문화재를 돌려주지 않는가
1) 영국이 반환을 거부하는 법률적 근거
문화재 보호 관련 국제 협약들 | 국제 협약의 한계와 영국의 대응 | 국제법으로도 돌려받지 못한 유물들 | 문화재 반환을 어렵게 만드는 영국박물관법 | 영국박물관법으로 유물을 반환하지 않는 사례들 | 영국 국내법의 해석: 반환은 합법인가, 불법인가
2) 영국이 반환을 거부하는 이론적 근거
문화국제주의와 문화민족주의 | 문화민족주의의 한계 ① 국가의 불안정성과 문화적 단절성 | 문화민족주의의 한계 ② 문화재의 원소유주는 누구인가 | 문화국제주의의 한계 ① 이기적인 역사 인식과 탈역사성 | 문화국제주의의 한계 ② 문화우월주의 | 문화재가 담고 있는 역사는 누구의 것인가
제3부 21세기 한국은 문화재 약탈을 어떻게 볼 것인가
영국의 문화재 수집은 정치적 약탈이다 | 문화재가 상징하는 ‘민족’은 이제 신화일 뿐인가 | 한국은 ‘실크로드 문화재’를 반환할 것인가 | 21세기, 문화재는 소유하는 것인가 공유하는 것인가
나가며
주(참고문헌)
도판 출처
찾아보기
고려인 숨결 따라 동학 길 따라

도서명 : 고려인 숨결 따라 동학 길 따라
저자/출판사 : 송범두, 라운더바우트
쪽수 : 328쪽
출판일 : 2019-08-01
ISBN : 9791196576424
정가 : 18000
5........들어가며
제1장 히바Khiva 토성에서 신라 성곽을 읽다
21......중앙아시아에서의 첫 새벽
31......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의 도시 히바
43.......고대부터 교감 있었으리라 추측
57.......호라즘 문명권을 떠나며
70.......남북이 하나 되어 감싸야 할 고려인들
87.......신한촌 고려인 사회와 동학 천도교
98.......광활한 사막에서 조카 ‘명철’을 떠올리다
제2장 ‘고려아리랑’을 아십니까?
111.......‘지붕 없는 박물관’ 도시 부하라
122.......문장군(蚊將軍), 당신들이 문제야
135.......유적지를 거닐며 아내를 생각하다
148......단절된 중앙아시아 동학 물길
162......큰 고통 속에서도 ‘겨레얼’ 지킨 고려인들
175......종교도 하나 되고, 남북도 하나 되는 세상을 꿈꾸며
190......매일 만지는 우리 지폐에 우즈베크가 있다?
199......70여 년 전의 아버지 모습과 만나다
211......‘남해인’이 자랑스러운 평생 남해 사람
제3장 우즈베키스탄에서의 마지막 이틀
229......사마르칸트에서 만난 ‘고구려 사신도’
238......한국 유학 바라는 고려인 후손들의 꿈
247......대한민국 근대 문화 이끈 동학 천도교
255......고속열차에서 떠올린 《백년을 살아보니》
262......인생 70, 가장 잘한 일은 뭐였을까?
270......마침내 타슈켄트
285......공항 인터뷰 통해 중앙아시아 포덕 구상을 밝히다
제4장 그리고 그 뒤 : 2018~2019
301......2018 여름 지나 겨울 너머
314......2019 봄과 여름 사이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