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현대시와 토포필리아 또는 꿈을 이루는 녹음의 비밀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한국 현대시와 토포필리아 또는 꿈을 이루는 녹음의 비밀

땅끝
2025-04-13 19:24 3 0

본문




한국 현대시와 토포필리아
9791156061434.jpg


도서명 : 한국 현대시와 토포필리아
저자/출판사 : 양왕용, 작가마을
쪽수 : 352쪽
출판일 : 2020-04-01
ISBN : 9791156061434
정가 : 15000

머릿말

1부/금정산, 남강 그리고 부산 사랑
부산시인들의 〈금정산〉 사랑시편의 양상과 그 의미
시 속에 나타난 〈남강〉의 상징성
윤동주 시인의 동생 3남매와 시, 그리고 부산
천상병 시인과 부산

2부/부산 지역 시인들의 작품세계
삶에 대한 설레임 혹은 위안으로서의 시
-강경자 시집 「가슴에 내리는 빛」
유년기와 젊은 날의 체험에 대한 현재의 해석
-김섶 시집 「나는 모든 절기를 편애한다 」
현실에 대한 역동적 상상력과 냉소적 태도
-김인태 시집 「가을, 그리고 겨울로」
순간에 담기는 그리움
-맹인섭 시집 「그리움이 데려다 주는 고향」
사계의 신화, 그리고 절대 긍정
-배은경 제2시집 「낙타의 저녁」
시적 소재의 확대와 궁극적 관심의 형상화
-선영자 시집 「시가 흐르는 강」
생활의 아름다움, 가족과 이웃사랑
-성복순 시집 「일상의 축복」
길에서 찾은 희망의 시학
-송정우 시집 제2시집 「비상구를 찾다」
사물과 일상에 대한 감각적 인식
-이분자 시집 「그 숲속 휘파람 소리」
사물과 삶에서 느끼는 그리움과 허무의식
-이순선 시집 「광안대교」
도시적 삶에 대한 공간적 인식과 그 의미
-조성순 시집 「금정산, 그리고 중앙동」
절망과 고통 속에서 만난 천사들, 그리고 예수님
-최옥 시집 「오늘도 내일도 그 다음 날도 내 길을 가리라」

3부/남강문화권 시인들의 작품세계
공간지향성의 확대와 메타시
-강희근 제16시집 「그러니까」
다도적 상상력과 모성 지향성 그리고 향토애
-김기원 시집 「녹동마을의 녹차밭」
자연에 대한 원숙한 해석, 새로운 시어의 발굴
-김찬재 시집 「바람 가두리」
도전정신과 긍정적 세계관, 촌철살인의 풍자
- 김호길 홑시조집 「꿈꾸는 나라」
느림의 시학과 모성지향성, 그리고 아픔과 슬픔
-성종화 제3시집 「뒤뜰에 피고 있다」
꽃과 유년기의 추억을 통한 그리움의 형상화
-안병남 시집 「광주리에 달빛을 이고」
고통 극복으로서의 시학
-임만근 제3시집「눈물 화석」
상실감과 그리움, 그리고 치유의 시학
-정재필 시집 「완사 가는 길」
떠돌이의 시학, 그리고 공존과 상생의 자연관
-정호영 시집 「시가 뒤척인다」
삶에 대한 진지한 태도로서의 시
-조헌호 시집 「생애 가장 가난한 날」
성찰의 시학, 관조와 음미
-최낙인 제2시집 「하늘 꽃」




꿈을 이루는 녹음의 비밀
9791162997994.jpg


도서명 : 꿈을 이루는 녹음의 비밀
저자/출판사 : 김조운 , 일초도사, 북랩
쪽수 : 150쪽
출판일 : 2019-07-24
ISBN : 9791162997994
정가 : 13000

차례

추천사 005
책을 출간하면서 009

지니야 내 소원을 들어줘! 019

STEP 1. 꿈을 꾸다
진정한 꿈이란 무엇인가 030
꿈이 없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다 030
꿈을 찾아내는 방법 032
내가 꿈을 설정하지만 결국 그 꿈이 나를 만들어간다 036
꿈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간절하고 강렬한 욕구가 필요하다 039
꿈은 희망과 다르다 043

STEP 2. 목표를 설정하다
목표(目標)의 의미 052
목표(目標)의 目 054
관찰력을 높이고 통찰력을 키워라 056
눈에 보이는 것이 실현된다 062
보이지 않는 음의 세계 064

STEP 3. 목표를 녹음하다
잠재의식은 무한한 능력을 가지고 있다 076
잠재의식의 특징 079
잠재의식에 목표를 주입시킨다 080
만물의 근원인 파동에너지 081
인간이 주는 파동은 얼마나 강력한 것일까? 082
주파수가 같거나 비슷한 것은 공명을 일으킨다 083
녹음방법 089
재생방법 101
목표(目標)의 標 105

일초도사 어록 122
일초도사 명언 128
격려의 말 129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