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드 번역을 위한 공부법 또는 삼국유사 깊이 읽기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미드 번역을 위한 공부법 또는 삼국유사 깊이 읽기

땅끝
2025-04-13 19:24 7 0

본문




미드 번역을 위한 공부법
9791188403158.jpg


도서명 : 미드 번역을 위한 공부법
저자/출판사 : 박윤슬, 더라인북스
쪽수 : 232쪽
출판일 : 2019-09-26
ISBN : 9791188403158
정가 : 13000

파일럿
1시즌. 번역 근육 키우기
1회. 나만의 단어장 만들기
2회. 나만의 문법 노트 만들기
3회. 학창 시절로 돌아가서 공부하기
4회. 영어 뉴스로 공부하기
5회. TED로 공부하기
6회. 넷플릭스로 공부하기
7회. 팟캐스트로 공부하기
8회. 원어민에게 배우기
9회. 한국어 공부하기
10회. 미드 덕후 되기

2시즌. 미드 장르별 공부법
1회. 정치물 공부하기
2회. 수사범죄물 공부하기
3회. 법정물 공부하기
4회. 시트콤 공부하기
5회. 시대물 공부하기
6회. 군사물 공부하기
7회. 의학물 공부하기
8회. 히어로물 공부하기

3시즌. 윤슬의 100일 번역 일기
1회. 번역 만렙을 향하여
2회. 아찔한 오역 이야기
3회. 번역은 혼자 하는 일이 아니다
4회. 번역가의 조용하고도 요란한 일상
5회. 일과 삶의 균형 잡기

부록 1 장르별 빈출 단어
부록 2 장르별 필견 미드




삼국유사 깊이 읽기
9788962463989.jpg


도서명 : 삼국유사 깊이 읽기
저자/출판사 : 신종원, 주류성
쪽수 : 372쪽
출판일 : 2019-07-25
ISBN : 9788962463989
정가 : 20000

길잡이

첫째 마당. 이 땅에 사람이 나서, 나라를 세우다 - <고조선>
(1) 환인·환국 그리고 환웅
환인인가 환국인가?
‘환인’은 하늘(한울)님
환인과 환웅, 얼마나 다르고 같은가?
(2) 단군신화와 곰·호랑이
단군신화의 생성과 발전
곰인가 범인가? - 호랑이, 권리를 되찾다
곰은 신이다
『묘향산지』
여성 산신들
호랑이가 불러 물어간 사람들
‘호랑’이란 이름
(3) ‘신시’인가 ‘신불’인가? - 수풀 속의 제단
(4) 단군조선
단군기원
기자조선
신화와 역사
(5) 고조선의 실체
왕조이름
아사달과 고조선 영역
고조선의 국가 단계 - 물질 문화
중국학계의 도전
홍익인간

둘째 마당.. 소지왕이 죽을 뻔하다 - <사금갑>
(1) 매끄럽지 못한 서사(narrative)
어색한 동행
왕권의례인가 세시풍속인가?
(2) 왕궁의 풍경
신라고[新羅琴]
궁주는 누구인가?
(3) 신궁 제사
정월 대보름
신궁
(4) 세계문화유산 급(級)의 동물 캐릭터
까마귀·쥐 그리고 멧돼지
사료에 보이는 짐승
(5) <사금갑> 조를 통해 본 소지왕의 신변불안
수수께끼에 대한 중대한 오해
내전 분수승
지증왕의 즉위 배경

셋째 마당. 서라벌에 판치는 도깨비들 - <도화녀·비형랑>
(1) <비형랑> 조는 중국 기담(奇譚)의 아류인가?
(2) 진지왕의 가족관계
진지왕
용춘과 비형
지도부인과 도화녀
(3) 귀신도 도와주는 태평성대
신라·고려시대의 또 다른 정신세계 ? 토착종교
처용 이야기
비형·처용·지귀
처용은 서역사람인가?
(4) 비형, 귀신세상의 질서를 잡다
두두리 본풀이[鬼祖神話]
두두리/도깨비
비형, 악귀를 물리치는 신들의 조상되다
(5) <비형랑> 조의 정치·사상적 배경
진지왕의 주변
화랑제도
(6) ‘불교왕명시대’라는 ‘신화’

넷째 마당. 선도성모 기꺼이 불사를 하다 - <선도성모수희불사>
(1) 선도산(=서악)은 다종교(多宗敎) 기도처
(2) 절 짓기 전에 무속신앙을 다스리다
(3) 점찰법회
(4) 성모는 누구이며, 중국에서 왔는가?
(5) 이웃에 있는 산, 산신 모시기

다섯째 마당. 선덕여왕에 얽힌 소문의 진실 - <선덕왕지기삼사>
(1) <선덕여왕 이야기> 의 머리글
(2) 첫 번째 이야기
선덕여왕의 혈통과 프라이버시
(3) 두 번째 이야기
(4) 세 번째 이야기
사천왕사 창건
성골 왕통을 뒷받침한 안홍 스님
문제의 예언서 - 『동도성립기』
(5) <선덕여왕 이야기> 의 마무리
첨성대

여섯째 마당. 양지스님, 지팡이를 부리다 - <양지사석>
(1) 양지 스님
스님의 전기
스님의 집안과 활동 시기
(2) 스님이 지은 절
석장사
영묘사
(사)천왕사·법림사
(3) 스님의 놀라운 솜씨[神技]
‘탑 아래의 팔부신장상’
부처 새긴 벽돌탑
영묘사 장육존상 빚기
(4) ‘풍요’라는 향가
‘풍요’의 유래
향가 ‘풍요’는 일노래[勞動謠]인가 공덕가(功德歌)인가?
(5) 기타
‘민공(民貢)’ 기와글자가 말해주는 것
‘’이라 쓴 글자
장육존상의 비용

일곱째 마당. 문무왕과 대왕암 - <만파식적〉
(1) 대왕암과의 인연
처음 답사한 뒤 저서를 내기까지
어느 미술사학도와 만나다
가슴 벅찬 발견 - 세계 유일의 해중릉?
(2) 사료 읽기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의 기록
사실에서 멀어진 서사(敍事)
<만파식적> 조
해신(海神)의 신격(神格)
감은사, 감응사(感應寺)
대왕암이 먼저인가? 이견대가 먼저인가?
더 포장되어가는 수장설(水葬說)
왜병
(3) 신의 높임말 ‘대왕’의 여러 갈래
역사상에 보이는 자연신 ‘대왕’
살아 있는 대왕신
상사(相思)대왕
수많은 ‘대왕암’
(4) 고려시대의 스토리텔링, 현대에 와서 더 고조되다

여덟 째 마당. 향가 <모죽지랑가> 의 역사적 배경 - <효소왕대 죽지랑>
(1) <효소왕대 죽지랑>
부산성·모량부의 위치
죽지랑은 누구인가
납득하기 어려운 서사
(2) 금석문이 말해주는 사실
단석산 신선사와 마애불
바위의 새김글 - 단석산신선사조상명기
새김글의 미륵상생 신앙
(3) <백률사> 조
<백률사> 조가 말해주는 진실
역사연구의 냉혹함과 한계

아홉 째 마당. 계집종 욱면의 염불왕생 - <욱면비염불서승>
(1) 결사(結社)는 누가 언제 하였나?
결사(結社) 연대
결사 장소
결사 인물
제3의 자료, 『건봉사사적』
연대와 인물, 다시 정리
(2) 도움되는 자료 - 해석의 문제
속담 “내 일 바빠 한댁(큰집) 방아”
‘용맹정진’인가 처형(處刑)인가?
함경도 무가(巫歌)의 본풀이
(3) 욱면, 서방정토로 날아가다
왕생의 증거 - 지붕 구멍
왕생의 논리
여인 성불

열 번 째 마당. 신라의 선화공주가 백제 미륵사를 지어주다 - <무왕>
(1) 사료 읽기
무왕·무강왕과 말통대왕(서동)의 결합
새로운 증거물
사리를 모신 기록 [舍利奉安記]
(2) 서동설화의 신화적 사고
‘밤손님’ 이야기
‘내 복에 산다’ 및 ‘바보사위[痴壻]’ 계통 설화
선화공주 이야기의 숨겨진 논리
(3) 역사와 설화
얼마나 사실인가?
문헌사학의 한계
미륵사 건립 발원자와 그 신앙
<무왕> 조의 사료가치
향가 <서동요> 의 연대
(4)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자부심, 그리고 현재와 미래

뒷풀이 : 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
(1) ‘캬라멜 고개’라는 땅이름
(2) 사실에서 진실로
(3) 삼국유사, 지난 시대의 사실을 적어 진실을 말하다

책쓴이와 책에 대하여
(1) 책쓴이 문제
(2) 일연 : 출생에서 입적까지
(3) 일연이 쓰거나 편찬한 책
(4) 『삼국유사』의 판본과 유통
1) 나무판본
2) 활자책·영인책·번역서(일본)
3) 활자책·영인책·번역서(한국)
4) 연구서·공구서(工具書)
5) 번역서
(5) 찬술시기와 편찬 오류
(6) 책쓴이의 관점
(7) 사론(史論)의 한계
(8) 개국신화의 품격 서동요> 무왕> 무왕> 욱면비염불서승> 백률사> 백률사> 효소왕대> 효소왕대> 모죽지랑가> 만파식적> 만파식적〉> 양지사석> 선덕여왕> 선덕여왕> 선덕왕지기삼사> 선도성모수희불사> 비형랑> 비형랑> 도화녀·비형랑> 사금갑> 사금갑> 고조선>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