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사고 합의해야 할까요 또는 일기를 통해 본 18세기 대구 사림의 일상세계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교통사고 합의해야 할까요 또는 일기를 통해 본 18세기 대구 사림의 일상세계

땅끝
2025-04-13 19:24 5 0

본문




교통사고 합의해야 할까요
9791190233293.jpg


도서명 : 교통사고 합의해야 할까요
저자/출판사 : 김동진, 라온북
쪽수 : 344쪽
출판일 : 2019-11-28
ISBN : 9791190233293
정가 : 16500

프롤로그

1부 교통사고가 나기 전에 미리 알아야 할 것들

1장 미리 알아야 손해를 보지 않는다
사고 전에 준비하면 사고 후에 허둥지둥하지 않는다
보험회사는 잘 모르는 고객을 가장 좋아한다
사고 경험이 있는 것처럼 행동하라
초동 대처가 보상금을 좌우한다
방어 운전은 최선의 안전 운전
초보 운전자의 사고 대처법
운전자의 의무, 교통사고 기본 지식
자동차보험, 어떻게 가입해야 잘 보상받을까?

2장 사고 대처법, 모르면 당한다
교통사고 시 사진 촬영은 필수
입원을 해야 할까, 말아야 할까?
슬기로운 병원 생활
가해자와 피해자의 다툼, 자신 있으면 끝까지 가라
보험회사는 절대 고객 편이 아니다
보상 담당자와 통화하는 방법
사고 보상, 급한 사람이 지는 게임이다

2부 보상받기 위해 반드시 알아야 할 것들

3장 다양한 사고 유형
나와 상대를 위한 자동차종합보험
공공의 적 무보험차, 무책임한 책임보험
사회악, 음주운전과 뺑소니
안타까운 가족 사고
단독사고와 내 과실 100퍼센트, 어디서 보상받나?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형사처벌을 받는 12대 중과실 사고
타인 소유의 자동차 운전 중 사고
산재보험과 자동차보험

4장 모든 것은 근거 싸움, 근거에 죽고 근거에 산다
필요하면 내 돈으로라도 검사하라
치료 기록을 반드시 남겨라
소득 자료를 챙겨라
언제나 계속되는 싸움, 과거 병력
보험회사의 말은 절반만 믿어라
통증은 보상이 안 되나요?
주변 사람들의 말에 부화뇌동하지 마라
진단 기간보다 진단명이 중요하다

5장 보상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보험금을 좌우하는 나이와 일할 수 있는 정년
사고 당시 소득, 얼마까지 인정해줄까?
과실, 내 보상금이 반토막 날 수도 있다
장해와 상실수익, 불구자가 되어야 장해를 인정받나요?
휴업손해 100퍼센트 받는 법
내 과실이 더 큰 사고도 치료받을 수 있을까?
고무줄 같은 교통사고 위자료
왜 형사 합의금은 민사에서 공제되는가?

6장 내 몸값은 얼마인가?
돈으로 치유될 수 없는 상처, 후유장해
장해 진단은 언제, 누구한테 받는가?
나는 얼마를 받을 수 있을까?
교통사고, 직접 처리할까, 의뢰할까?
약관 기준과 소송 기준, 어느 것이 유리한가?
변호사와 손해사정사, 어느 쪽이 유리할까?
제대로 보상받지 못하는 피해자 90퍼센트가 저지르는 실수와 예방법




일기를 통해 본 18세기 대구 사림의 일상세계
9788955594263.jpg


도서명 : 일기를 통해 본 18세기 대구 사림의 일상세계
저자/출판사 : 김명자 , 장윤수 , 정환국 , 이욱 , 조정현, 새물결
쪽수 : 222쪽
출판일 : 2019-12-05
ISBN : 9788955594263
정가 : 21000

책머리에 9

1장 『 역중일기 』를 통해 본 18세기 대구 사족 최흥원의 관계망 13
1 전통시대 관계망의 의미와 『 역중일기 』 15
2 옻골 최씨와 최흥원 18
3 대구 지역 사족 및 관찰사와 교유하다 22
4 안동 지역 사족과의 혼인관계망을 강화하다 27
5 이상정과의 교유와 퇴계학파의 주류에 편입되다 34
6 근기 남인과의 교유와 『 반계수록磻溪隨錄 』 간행에 참여하다 40
7 최흥원이 형성한 관계망의 의미를 톺아보다 48

2장 백불암 최흥원의 성리학적 사유와 실천 51
1 백불암 최흥원, 그는 누구인가? 53
2 백불암 최흥원의 성리 사상의 연원 55
3 백불암 최흥원의 성리학적 사유 58
4 백불암 최흥원의 실천 수양론 70
5 백불암 최흥원의 주요 문인 80
6 맺음말 91

3장 18세기 대구 사족 최흥원의 시세계와 내면 99
1 18세기 대구 산림 최흥원 101
2 최흥원 시문학의 구성과 『 역중일기 』 수록 한시 104
3 시세계의 안과 밖 111
4 고뇌와 성찰, 내면 서사로서의 『 역중일기 』 122

4장 『 역중일기 』에 나타난 최흥원의 상제례 운영과 그 특징 145
1 서론 147
2 가족의 죽음과 상례 149
3 종가의 사당과 제례 160
4 묘사墓祀와 친족의 만남 169
5 재계와 접빈객 173
6 전염병과 상장례 177
7 맺음말 182

5장 조선 후기 향약과 마을 공동체 운영 187
1 머리말 189
2 문중의 정착에서 마을 공동체 경영으로 확대 192
3 역중일기를 통해 본 조선 후기 향약의 실상 198
4 마을 공동체 운영의 전통과 변화 양상 213
5 맺음말 219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