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밀침침신여상. 2 또는 옛글과 그림으로 본 한국 정원의 내면 읽기
땅끝
2025-04-13 19:24
5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0회 연결
본문
향밀침침신여상. 2

도서명 : 향밀침침신여상. 2
저자/출판사 : 전선, 마시멜로
쪽수 : 440쪽
출판일 : 2019-12-18
ISBN : 9788947545426
정가 : 15000
제10장
제11장
제12장
제13장
제14장
제15장
번외 1 혼인, 그 후
번외 2 서동 수난기
번외 3 홍진겁
번외 4 유년
옛글과 그림으로 본 한국 정원의 내면 읽기

도서명 : 옛글과 그림으로 본 한국 정원의 내면 읽기
저자/출판사 : 홍형순, 한국학술정보
쪽수 : 395쪽
출판일 : 2019-07-12
ISBN : 9788926888599
정가 : 28000
서문
일러두기
제1장 파초(芭蕉)의 식재 의미와 설계 용도(Design Use)
들어가는 말
파초의 전래
파초에 내재하는 의미
파초와 풍류
정원에서 파초의 용도(Design Use)
마무리 말
덧붙이는 말
제2장 옛 정원에서 ‘오동(梧桐)’의 수종, 식재 장소와 경관적 활용
들어가는 말
‘오동’에 주목하는 이유
옛 문헌 속의 ‘오동’
옛 정원에서 오동의 활용
‘오동’의 경관적 활용
마무리 말
덧붙이는 말
제3장 그림 속 식물요소를 통해 본 「독서여가도(讀書餘暇圖)」의 의미
들어가는 말
「독서여가도」의 탄생 배경
「독서여가도」 속 식물
마무리 말
제4장 상수(象數) 원리를 정원 구성에 적용한 용도서(龍圖墅)와 귀문원(龜文園)
들어가는 말
용도서와 귀문원의 저자와 내용
하도와 낙서, 상수학
용도서와 귀문원의 구성과 의미
마무리 말
제5장 「장주묘암도」에 표현된 정원 도해의 메타포(Metaphor)
들어가는 말
「장주묘암도」의 화폭 구성
주역의 개념과 원리
「장주묘암도」의 도상 의미
마무리 말
덧붙이는 말
제6장 겸재 진경산수화 속의 정원
들어가는 말
진경산수화에 주목하는 이유
진경 시대의 문화 특징
겸재 그림 속의 정원
마무리 말
제7장 표암(豹菴)의 「호가유금원기(扈駕遊禁苑記)」에 나타난 궁원 유람행사의 내용과 의미
들어가는 말
「호가유금원기」의 저자와 내용
‘호가유금원’ 행사의 의미
마무리 말
덧붙이는 말
제8장 정조(正祖)의 궁원(宮苑) 유락(遊樂)
들어가는 말
상화조어연(賞花釣魚宴)
세심대(洗心臺) 놀이
폭포 구경 [觀瀑]
설중용호회(雪中龍虎會)
난로회(煖爐會)
활쏘기
사적인 휴식
마무리 말
덧붙이는 말
제9장 정조(正祖)의 화훼( 花卉) 애호 태도와 의미
들어가는 말
정조의 인간적 면모
정조가 애호한 화훼, 석류(石榴)
마무리 말
제10장 환경사 관점에서 본 조선 시대 궁궐에 범과 표범의 출몰
들어가는 말
연구의 범위 및 방법
궁궐에 범과 표범의 출몰
궁궐의 입지와 범과 표범의 활동
궁궐과 도성 인근에 대한 환경 관리
왕의 인식과 대처
마무리 말
덧붙이는 말
제11장 현대 라이프스타일(Lifestyle) 관점에서 본 허균(許筠)의 『한정록(閒情錄)』
들어가는 말
선행 연구
현대 라이프스타일 개관
『한정록의 편제와 내용
『한정록』이 지향하는 삶의 세 방식
『한정록』의 정신적 수행방법
『한정록』의 실천적 수행방법
마무리 말
덧붙이는 말
저자 후기
참고문헌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