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금속문명사: 주먹도끼에서 금관까지 또는 관계의 과학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한국 금속문명사: 주먹도끼에서 금관까지 또는 관계의 과학

땅끝
2025-04-13 19:24 7 0

본문




한국 금속문명사: 주먹도끼에서 금관까지
9791159254871.jpg


도서명 : 한국 금속문명사: 주먹도끼에서 금관까지
저자/출판사 : 김종일 , 성정용 , 성춘택 , 이한상, 들녘
쪽수 : 519쪽
출판일 : 2020-01-15
ISBN : 9791159254871
정가 : 39000

저자 소개와 총서 기획편집위원회
일러두기
발간사_ 〈한국의 과학과 문명〉 총서를 펴내며

제1장 서론 _김종일 성춘택

제2장 돌을 다듬다: 문명의 시작 _성춘택

머리말: 석기와 기술 변화를 보는 시각
■ 상자글 2-1. 최초의 돌로 만든 도구: 석기의 출현

1절 한국 선사시대 석기기술 연구사

2절 석기의 종류와 제작기술
1. 석기 제작기술의 이해
1) 석기의 종류
2) 석기 제작과 사용의 과정
2. 신석기, 청동기시대 석기의 제작과 분류

3절 석기기술의 다양성과 변화
1. 구석기시대 석기기술
1) 주먹도끼와 이른 구석기시대
2) “인류혁명”과 돌날기술
3) 돌감 사용과 석기기술의 진화
2. 신석기 및 청동기시대 석기기술
1) 돌화살촉의 제작과 사용
2) 농구와 공구: 돌괭이와 돌칼, 갈판과 갈돌
3) 석제 장신구와 옥
4) 간돌검과 청동기시대 사회의 위계
5) 석기 조성과 신석기ㆍ청동기시대 생업경제의 변화

4절 동아시아의 맥락과 사회 속에서 석기기술의 의의
1. 석기기술의 사회적 맥락
1) 석기와 선사시대 사회적 기술의 이해
2) 흑요석과 잔석기가 말하는 후기 구석기시대 사회네트워크
2. 동아시아 석기기술과 한국 선사시대의 석기

맺음말: 석기기술과 금속문명

제3장 금속을 녹이다: 금속문명의 도입과 청동기 _김종일

머리말

1절 동의 발견과 금속문명의 시작

2절 한국 청동기문화 연구에 대한 연구사

3절 청동 제작과 장인
1. 동광 산지 추정 및 동괴(copper ingot) 혹은 청동괴(bronze ingot)의 생산과 교역
2. 납 동위원소 분석과 산지 추정
3. 청동기 제작기술: 거푸집의 사용과 생산 제작기술 ? 작업연쇄의 관점에서
4. 청동 제작장인의 신분과 생산조직
5. 청동기의 주조와 공방
6. 한국 청동기 제작기술과 생산 과정의 기술사적, 사회사적 의미 ? 비교사적 관점에서

4절 한국 청동기문화의 전개와 청동기
1. 한국 청동기문화의 전개와 발전
2. 한반도 출토 청동기의 종류와 분포
1) 무기류: 비파형동검과 세형동검, 동모, 동과, 동촉
2) 생산 공구류: 동부, 동착, 동사
3) 장신구류: 동포 등

5절 한국 청동기문화와 동아시아 문명
1. 한국 청동기문화와 중국 동북 지역
2. 한국 청동기문화와 일본 출토 한국계 청동기의 관계: 세형동검의 일본지역 내 확산과 초기 정치체의 형성

맺음말
■ 상자글 3-1. 한국의 이형청동기와 지배자
■ 상자글 3-2. 일본 요시노가리 유적과 한국식 세형동검


제4장 쇠를 두드리다: 우리 역사를 바꾼 혁신적인 이기, 철 _성정용

머리말: 철의 탄생과 그 중요성

1절 철 생산과 철기 제작기술: 사회를 변혁시킨 신기술
1. 철 생산 공정
1) 원료 획득
2) 제련 공정: 본격적인 철 생산
2. 철기 제작 공정
1) 주조 공정: 용해 및 주조
2) 단야 공정: 제강 및 성형단야
■ 상자글 4-1. 철기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도구는 무엇이 있을까?
■ 상자글 4-2. 옛날 철 생산에는 얼마나 많은 작업 인원이 필요하였을까?

2절 우리나라 제철 문화의 발달 과정
1. 신기술, 언제 우리나라에 유입되었을까?
2. 고대의 제철 양상
3. 중세의 제철 양상
1) 고고학 자료에 보이는 고려ㆍ조선시대의 제철
2) 문헌에 보이는 고려ㆍ조선시대의 제철
■ 상자글 4-3. 조선시대의 철 종류와 장인

3절 다양한 철기의 종류
1. 무기
2. 농구
3. 마구

4절 철의 사회적ㆍ기술사적 의의: 철, 과연 우리 세상을 바꾼 이기였는가?

맺음말

제5장 금과 은을 구부리고 펴다 _이한상

머리말

1절 문명의 진전과 귀금속

2절 고대 금은공예품의 제작기술
1. 귀금속의 채광과 정련
2. 금은공예품의 제작기술
1) 주조
2) 단조
3) 투조와 색채대비
4) 누금세공
5) 상감
6) 도금

3절 장인과 귀금속 공방
1. 고대 장인의 사회적 신분
2. 귀금속 공방과 물품 제작

4절 고대 금은공예품의 사회사: 권력의 표상, 귀금속
1. 금은공예품의 독점과 사여
2. 금은공예품 활용방식
1) 백제
2) 신라
3) 가야

5절 고대 금은공예문화의 확산: 양식의 창출과 확산
1. 고구려의 금은공예문화
1) 관
2) 귀걸이
■ 상자글 5-1. 부여의 귀걸이
2. 신라의 금은공예문화
1) 관
2) 귀걸이
■ 상자글 5-2. 황남대총 금은제 그릇
■ 상자글 5-3. 천마총 금은제 그릇
3. 백제의 금은공예문화
1) 관
2) 귀걸이
■ 상자글 5-4. 무령왕기 금속용기
4. 가야의 금은공예문화
1) 관
2) 귀걸이
■ 상자글 5-5. 통일신라의 금은공예품

맺음말

제6장 결론 _김종일

주석
표 및 그림 일람
참고문헌
찾아보기
Contents in English




관계의 과학
9788962623154.jpg


도서명 : 관계의 과학
저자/출판사 : 김범준, 동아시아
쪽수 : 344쪽
출판일 : 2019-12-10
ISBN : 9788962623154
정가 : 15000

프롤로그
차례

1. 연결 - 변화의 순간을 발견하는 일
[문턱값] 변화는 언제 일어나는가
[때맞음] 과학에도 때가 있다
[상전이] 시민 저항운동, 비폭력이 이기는 순간
[링크] 귀가 얇은 지도자를 선택하면 생기는 좋은 일
[누적확률분포] 부의 치우침을 줄일 수 있을까
▶ 춤추며 생각 바꾸기, 얼마든지 가능한 일
▶ 연결될수록 우리는 강해진다

2. 관계 - 우정의 측정 가능성에 관하여
[벡터] 과학적으로 절친 찾는 법
[허브] 우정의 개수를 측정하는 방법
[커뮤니티] 국회의원, 누가누가 친할까
[팃포탯] 국회의원도 게임을 한다
[창발] 개미들에게 배운다
▶ 길들여야 할 것은 여우만이 아니다
▶ 우리 모두는 공기 안에서 살아간다

3. 시선 - 무엇으로 전체를 읽을 것인가
[프랙탈] 우리 모두의 가슴속에는 나무가 산다
[암흑물질] 광장의 촛불, 보이는 게 전부는 아니다
[카토그램] 정확히 알려면 다르게 읽어야 한다
[중력파] 보이지 않아도 존재한다
[인공지능] 지성이 만든 지성에 관하여
▶ 한국에서 기쁜 일, 스웨덴에서 슬픈 일
▶ 가짜 과학을 구별해내는 방법

4. 흐름 - 복잡한 지구를 재미있게 관찰하는 법
[버스트] 잠잠과 후다닥
[푸아송분포] 고만고만과 다이내믹
[마구걷기] 사라진 만취자를 찾는 과학적 방법
[지수함수] 흥행의 이유, 유행의 법칙
▶ 과학책 vs. 소설책, 베스트셀러 수명의 비밀
▶ 이름이 달라야 서로를 구분한다

5. 미래 - 시간은 우리 앞에 어떻게 존재할까
[F=ma] 미래에 우리는 어디에 있을까
[비선형] 미래로 가는 길은 울퉁불퉁하다
[시간] 아직 우리가 가보지 못한 가능성
▶ 우리의 인생은 빛살이다
▶ 우연은 어디에나 있다

부록. 복잡계 물리학자 김범준의 복잡한 세상을 향한 명쾌한 직언
▶ 아름다운 물리학에 관하여
▶ 노벨상을 안 받으려면
▶ 우리의 바깥에 관하여

참고문헌
감사의 글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