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경제의 어제와 오늘 또는 하루가 일생이다
땅끝
2025-04-13 19:24
3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0회 연결
본문
건설경제의 어제와 오늘

도서명 : 건설경제의 어제와 오늘
저자/출판사 : 김갑진, 지식과감성
쪽수 : 320쪽
출판일 : 2019-11-10
ISBN : 9791162758748
정가 : 15000
그림 색인
표 색인
발간사
제1편 건설경제의 현주소
01장 건설경제, 무엇이 문제인가?
02장 국민계정으로 본 건설경제: 건설생산과 건설투자
건설생산
건설투자
건설생산과 건설투자의 관계
03장 기업활동으로 본 건설경제: 건설수주와 건설기성
하도급
건설수주, 건설기성, 건설생산, 건설투자의 상호관계
잠깐만 1 생산의 본질, 가치란 무엇인가?
제2편 건설경제의 생산물 1 - 집
04장 우리는 얼마나 많은 집을 지었고, 지어야 하나?
주택보급률
주택보급률 120%를 달성하려면
05장 아파트의 씨앗, 국민주택
주택의 면적과 유형
06장 한국의 집, 아파트
아파트의 명과 암
07장 집값 1 - 집값의 공공연한 비밀
08장 집값의 역사
09장 집값 2 - 경제규모와 집값
우리가 지어야 할 집은?
잠깐만 2 집값의 역사(1969~1985년)
제3편 건설경제와 노동
10장 건설노동자, 노가다[土工]
건설업 종사자
건설현장인력 ? 건설기술자
건설현장인력 ? 건설기능공
11장 건설노동자는 일자리를 어떻게 구하나?
12장 건설노동자 먹고살 만한가?
13장 건설노동, 생태계 재편이 절실하다
건설기능인력 노임시스템 구축
건설노동 육성시스템 구축
노동매칭시스템 정비
제4편 건설경제의 생산물 2 - 도시와 인프라
14장 도시와 인프라
인프라의 바로미터, 도시의 지하
우리나라 인프라의 실상
15장 우리가 살고 있는 도시, 어떻게 만들어졌나?
도시의 생명
우리나라 도시화의 과정
우리나라 도시화의 특징
16장 살리는 도시, 죽이는 도시
인구감소: 안동, 임실 → 지역성 확보와 인구증가
서울 교외화: 성남 → 재건축 재개발의 공공성 강화
자원도시의 몰락: 고한·사북 → 도시 재활
제5편 건설경제와 금융
17장 사라진 금융, 나타난 금융
건설업 여신이 급감한 지난 10년
건설업 생산양식의 변화
건설금융의 변화
18장 건설경제에 부는 금융 방식의 변화
자산유동화
메자닌 채권의 확산
건설·부동산 특화 금융의 활성화(Reits, 부동산펀드, 부동산신탁)
19장 건설금융의 혁신
금융제도: 사업성평가와 금융의 결합
금융기관: 지역개발금융센터
금융시장: 공급자 다변화와 진입장벽 완화
20장 건설경제의 미래
하루가 일생이다

도서명 : 하루가 일생이다
저자/출판사 : 고재갑, 창조문예사
쪽수 : 128쪽
출판일 : 2019-09-20
ISBN : 9791186545676
정가 : 10000
1부_ 바람이 스친다
누가 더 슬픈가를 따지지 마라
이 여름 이야기
목마름
내가 나에게
심부름
꽃을 바라보다
외롭다 말하지 않으려네
역시 그리움인가
봄의 어원
사랑과 용서로
사랑은 들꽃으로 피어나고
산은 언제나
작은 씨앗 하나
바람이 스친다
비로소 편안하다
살아 있는 시간
더 멀리 날지 못할까
그저 그리움
소묘
생명에 대한 예의
2부_ 고향 꿍쳐 먹은 놈
솔직히 말하여도
아비가 되다
내 마음에 색깔이 있다면
사랑하는 아이에게
비둘기와 노숙자
함씨와 할압씨
낙엽의 계절
눈 오는 날
출생
한 줄기 바람으로 불어와
오랜 잠
포말
동해안의 스케치
아직 그 자리
가을 소회
첫사랑의 기억
호우주의보
숲, 드러나다
고향 꿍쳐 먹은 놈
3부_ 아직도 나는 삶이 서투르다
사랑, 그 영원한 밀어
함부로 기도하지 마라
새살이 돋게 하소서
미웠던 사람도 그리울 때가 있다
시인을 만나다
떠난다는 것
버리고 갈 것들
추락한 천사
구겨 쓰는 창세기
아직도 나는 삶이 서투르다
외로움은 그리움이 되고
청둥오리
도시의 유목민 1
도시의 유목민 2
새벽에 만나는 영혼
빈센트 반 고흐
폐허를 짓다
은하철도 999
니체의 신
4부_ 오늘과 헤어집니다
스스로 그대로
그날 이후
오늘과 헤어집니다
망향
휴식
오후
때와 곳
고구마
변장
길을 나서며
횡단보도에서
당연하지 않다
목적지
다시 오는 가을
얼마나 놀라운 생명인가
나는 할 말이 많다
스스로 위로하다
세월 먹기
객관의 허구
고재갑 시인의 시를 읽다 _ 이향아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