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대 현직 의사가 다시 바라본 신 또는 2020 한국경제 대전망
땅끝
2025-04-13 19:24
5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0회 연결
본문
50대 현직 의사가 다시 바라본 신

도서명 : 50대 현직 의사가 다시 바라본 신
저자/출판사 : 김요한, 북랩
쪽수 : 424쪽
출판일 : 2019-11-27
ISBN : 9791162998533
정가 : 18000
목차
머리말
서론
시간론
초끈이론, 이데아의 세계
신천동설- 생명의 탄생을 위해 우주 전체의 중력이 필요함. 즉 우주는 쓸데없이 크지 않다
시간의 세계, 생명, 영혼, 신의 세계
빅뱅이론과 창조론의 관계 - 초정밀도로 미세조정이 되어서 만들어진 우주
블랙홀과 종말론
진화론에 대해
인문학과 철학적인 고찰, 반신론의 형성 과정
인간의 영혼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제1장 시간론
1. 우리가 알고 있는 시간은 시간의 실체가 아니라 시간의 흔적이다
2. 시간의 예를 들어보자. 생명의 탄생은 무한한 시간을 필요로 한다. 즉 진화론적으로 말하면 시간이 부족하다
3. 심지어 우주 창조의 경우에도 무한한 시간이 필요하다. 플라톤의 이데아론도 일종의 시간 이야기다
4. 실체적인 시간의 세계에서는 시간의 흐름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사건 자체, 즉 이벤트가 중요하다
5. 신과 시간에 대한 이야기 - 시간론의 결론
제2장 초끈이론, 다차원의 세계, 이데아의 세계
1. 초끈이론은 인류 역사상 최초로 우리가 사는 세상 외에 다른 세상이 있음을 알려준 유일한 이론이다
2. 초끈이론을 통해 나타난 현세와 사후세계의 개념
제3장 신천동설 - 생명의 탄생을 위해 우주가 존재함. 우주는 쓸데없이 크지 않다
1. 중력과 생명의 관계성이 증명되고 있다
2. 생명 현상을 에너지로 환산한다면?
제4장 빅뱅이론과 창조론의 관계 - 초정밀도로 미세조정이 되어서 만들어진 우주
제5장 블랙홀과 종말론
1. 블랙홀의 종말론적 의미
제6장 현대주의의 핵심이론으로서의 양자역학의 고찰
제7장 진화론에 대해
1. 서론에서 이야기했듯이 진화는 시간이 부족하다. 신이 창조했기 때문에 38억 년이라는 짧으면서도(?) 최소한의 과학이 들어간 시간에 생명체를 만들 수 있었다
2. 진화론은 우연적이고 무목적적이다. 발전적인 개념이 아니다
3. 단백질의 할아버지, 할머니 격인 DNA와 RNA에 대해
4. 생명체가 죽었다가 살았다가 할 수는 없다
5. 생명지속의 힘, 생명복제 능력의 난제
6. 왜 안정적인 물질에서 불안정한 생명으로 진화한 것인가?
7. 진화론의 난제: 중간 단계의 부재
제8장 프리고진의 창발이론과 복잡계 이론
1. 복잡계 이론은 오히려 전쟁, 지진같은 인류의 불행에도 일정한 규칙성이 있음을 발견한 이론이다
2. 프리고진 이론은 너무 단순한 것을 가지고 침소봉대하는 경향이 있다
제9장 현대 시대의 과학과 철학은 신의 영역에 다가가는데 왜 우리는 진화론을 고집하나? 그것은 사고체계의 전통추구 본능성 때문이다
제10장 우리 공간우주에서 유일하게 시간의 존재인 인간의 영혼은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1. 영혼의 기본적 요소인 언어와 시간론과의 관계
2. 인간의 언어가 인간의 영혼을 만들고 인간은 그 영혼을 통해서 시간의 세계와 교통할 수 있게 된다
3. 인간 영혼의 특징
제11장 그렇다면 인간의 존재 이유는 무엇인가? 인간은 원래 자기의 문화적 사명을 실천하는 존재였다
1. 인간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자기 자신의 위대성을 깨닫는 것이다. 인간은 신적인 존재, 시간적인 존재이기 때문이다
2. 인간이 위대한 것은 인간은 언어-영혼적인 존재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기본적으로 문화적인 존재이다
3. 인간이 불행해진 이유는 우주가 양자역학적으로 불안정해져서 원형적인 삶을 잃게 되었기 때문이다
4. 그렇다면 인간은 ‘참다운 나’가 되기 위해 어떠한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가?
5. 결국에는 인간은 신을 만나야 한다
2020 한국경제 대전망

도서명 : 2020 한국경제 대전망
저자/출판사 : 서울대 비교경제연구센터 편집 · 이근 , 류덕현 외 , 21세기북스
쪽수 : 520쪽
출판일 : 2019-11-08
ISBN : 9788950984175
정가 : 19800
| 프롤로그 | 한국경제, 외화내빈에서 외우내환으로
PART 1. 2020년 세계경제의 향방은?
▷▷Introduction
1. 불확실성 속의 세계경제, 출구는 있는가?
2. 미국의 경기 침체론, 사실인가 과장인가?
3. 아베노믹스는 정말 일본경제를 구했나?
4. 브렉시트로 인한 혼란에 대비하라
5. 베트남, 중국을 대체하는 글로벌 파트너가 될까?
6. 한국경제, 2020년에는 침체의 끝을 볼 수 있을까?
PART 2. 미중-한일 경제 전쟁의 소용돌이와
한국경제
▷▷Introduction
1. 신냉전이라는 뉴노멀 시대의 세계경제
2. 미중 경제 전쟁과 중국경제 리스크
3. 미중 경제 전쟁에 대처하는 한국의 외줄타기
4. 미중 무역 전쟁, 기술 패권 경쟁의 승자를 가리다
5. 미중 경제 분쟁과 한중 경제 협력
6. 한일 갈등, 극적 타결인가 파국인가?
7. 일본 경제 보복에 대처하는 기술안전망 구축
PART 3. 정부 정책으로 바라보는
2020년 한국경제
▷▷Introduction
1. 소득주도성장과 거시 정책 전망
2. 갈림길의 한국 경제, 혁신성장 정책에 올인할까?
3. 공정경제를 향한 끊임없는 노력과 시도
4. 아직도 갈 길이 먼 고용노동 정책의 미래
5. 정책방향과 국정철학을 보여주는 재정 정책의 방향은?
6. 한국의 복지 정책, 어디로 가고 있나?
7. 한국 사회의 미래를 결정할 키워드, 인구 구조 변화
8. 남북 경제교류의 두 가지 포인트, 비핵화와 개혁개방
PART 4. 금융과 자산 시장 전망:
떨어지는 금리, 커지는 위험
▷▷Introduction
1. 북한의 개혁개방 시나리오
2. 북한경제의 시장화 어디까지 와 있나
3. 한반도 신경제 시대 열리나
4. 남북 경협의 핵심 과제, 에너지 산업
5. 북한경제가 다시 일어서기 위한 조건
PART 5. 2020년 차세대 산업과
한국 기업의 기회
▷▷Introduction
1. 수소 경제, 한국의 미래 산업에 도전하다
2. 국내 반도체 산업은 위기인가?
3. 조용히 밀려오는 인공지능의 쓰나미
4. 2020년 한국 바이오헬스 산업의 재도약
5. 글로벌 흐름에 역행하는 한국의 공유경제
6. 토큰경제 선점을 향한 왕좌의 게임이 시작되다
7. 차세대 에너지 산업의 미래 비전
PART 6. 미래 디지털 사회를 향한 패러다임 전환
▷▷Introduction
1. 새로운 정치 패러다임, 한국정치의 미래를 묻다
2. 디지털 혁신으로 만들어가는 인간 중심 경제
3. 한국 미래 사회 일자리의 비전
4. 블록체인, 분권화된 디지털 금융 시스템
5. 하이터치·하이테크, 대전환 시대의 교육 혁명
6. 데이터와 AI가 주도하는 미래 의료 산업
7. 혼합 현실을 이용한 스마트 시티, 스마트 리빙
| 후주 |
| 저자 소개 |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