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 타는 남자 또는 달밤의 약속, 완월회맹연 읽기
땅끝
2025-04-13 19:24
3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0회 연결
본문
벽 타는 남자

도서명 : 벽 타는 남자
저자/출판사 : 김애숙, 문학들
쪽수 : 133쪽
출판일 : 2019-12-27
ISBN : 9791186530580
정가 : 10000
5 시인의 말
제1부 명함 한 장
13 수도원에서
14 명함 한 장
16 어떤 기록
18 비석
20 벽 타는 남자
22 노인
24 지워지지 않는 화인처럼
26 그들만의 시간
28 구름나그네
30 큰 고목의 죽음
32 경계인
34 꽃핀
36 버드나무 아래서
38 방화
제2부 북치는 여자
43 뱀을 부리는 여자
44 램프요정
46 타투의 유희
48 장미 가시에 찔리다
50 바람 부는 날
51 화사한 적막
52 클래식 좋아하세요
54 바람 맞으셨군요
56 드라이플라워
57 북 치는 여자
58 오후 세 시
60 등나무 아래서
62 이 편한 세상
64 동굴 밖의 시간
66 이름 하나
제3부 황홀한 소행
69 황홀한 소행
70 햇살의 무늬
72 붉은 모래언덕
73 쓸쓸한 날에
74 카포타아사나
76 뿌리
78 푸른 종 하나 부서진다
80 이른 봄날에
82 그 부부
84 화월
86 겨울 호수
87 저 풍경은 어디서 왔을까
88 침묵피정
제4부 귓속에 소리들이 산다
93 꿈꾸지 않는 선
94 귓속에 소리들이 산다
96 파도의 시간 속으로
98 도도새의 비밀
100 거대한 영역
102 선택
104 종이비행기
106 보고 보여지고 있었다
108 꿈 1
110 꿈 2
111 깨죽을 먹으며
112 왼손의 쓸쓸함을 잊은 채
114 비화話
116 그대가 본 것을 말하리라
118 단단한 눈물
119 발문 죽음과 사랑, 시간의 강을 건너는 시선 _ 고진하
달밤의 약속, 완월회맹연 읽기

도서명 : 달밤의 약속, 완월회맹연 읽기
저자/출판사 : 조혜란 , 한정미 , 구선정 , 탁원정 , 박혜인 ,, 책과함께
쪽수 : 396쪽
출판일 : 2019-12-10
ISBN : 9791188990528
정가 : 25000
책을 시작하며: 해어진 기억을 찾아서
제1부 총론
제1장 조선시대 한글과 여성 교양
1. 조선시대 여성과 글쓰기
2. 18~19세기 여성들의 저술과 글쓰기의 성격
제2장 《완월회맹연》의 등장과 여성 작가
1. 한글소설과 여성
2. 작가 전주 이씨와 국문장편소설 《완월회맹연》
제2부 작품론
제3장 《완월회맹연》의 인물: 인간 이해의 보고서
1. 다채로운 인물들의 향연
2. 규범 충실형
3. 규범과 욕망의 절충형
4. 규범과 욕망의 충돌형
5. 욕망 종속형
6. 선악 구도를 벗어난 인간에 대한 다양한 이해
제4장 《완월회맹연》의 사건: 세상의 모든 갈등
1. 갈등의 3대 축
2. 가문 내 갈등, 후계 구도를 둘러싼 사건
3. 가문 간 갈등, 탐욕이 부른 사건
4. 가문과 황실의 갈등, 정치적 부침에 따른 사건
5. 갈등 해소와 화합의 조건
제5장 《완월회맹연》의 공간: 인간사의 공간적 총체
1. ‘완월대’라는 정점 공간
2. 일상과 비일상 공간, 그 교차와 교직
3. ‘상처 내기’와 ‘치유하기’, 자생적 봉합의 가족 공간
4. 주변과 하위 공간에 대한 관심
5. 인간사의 공간적 총체
제6장 《완월회맹연》의 언어 표현: 농밀한 언어가 구현하는 삶의 현장
1. 문체의 다방향적 경향성
2. 일상의 비속어에서 상층의 격식어까지
3. 핍진한 서술과 관용적 표현
4. 다색의 언어로 구현하는 현장성
제3부 문화론
제7장 《완월회맹연》의 생활문화: 의례와 놀이와 치병
1. 일상의 한 모습, 의례-놀이-치병
2. 일과와 일생, 혼정신성과 관혼상제
3. 기쁨의 절정으로서의 연회와 일상의 놀이
4. 아픔, 치료와 간호
5. 소소한 일상의 포착과 인간 삶의 이해
제8장 《완월회맹연》의 종교 사상: 도덕적 가문 절대주의로 수렴되는 유불도
1. 성리학의 비조 정명도 후손의 이야기
2. 정씨 가문의 신이성을 구현하는 도교적 화소들
3. 가문의 도덕성을 부각하는 불교적 화소들
4. 유교적 도덕성의 세속적 절대화
제9장 《완월회맹연》의 지식: 역사 지식과 유가 지식의 결합
1. 소설과 지식
2. 역사와 유교 경전의 문헌 박람
3. 지식의 성격
4. 지식의 수준과 전개
제4부 비교론
제10장 《완월회맹연》의 동아시아적 위상
1. 《홍루몽》, 《겐지모노가타리》와 《완월회맹연》
2. 동아시아 맥락에서 본 《완월회맹연》의 특징과 지향
제11장 《완월회맹연》의 활용 제언
1. 독자층 확대를 위한 번역
2. 대중문화 콘텐츠로서의 활용
참고문헌
부록
1. 줄거리
2. 주요 가계도
3. 《완월회맹연》 연구 목록
찾아보기
책을 마치며
집필진 소개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