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상력의 전환 또는 일본학자가 본 식민지 근대화론
땅끝
2025-04-13 19:24
3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0회 연결
본문
상상력의 전환

도서명 : 상상력의 전환
저자/출판사 : 리처드 B. 헤이스, QTM
쪽수 : 352쪽
출판일 : 2020-03-05
ISBN : 9791189927196
정가 : 18000
옮긴이의 일러두기 6
감사의 말 8
서문 14
제1장_상상력의 전환: 고린도전서 안에 나타난 구약과 종말론 31
고린도인들은 이사야서의 말씀을 실행하고 있었나? 33
고린도전서에 나타난 묵시적 종말론과 구약에 관한 주제들 37
“말세를 만난 우리를 깨우치기 위하여 기록되었느니라” 42
“내가 지혜 있는 자들의 지혜를 멸하고” 48
“묵은 누룩을 내버리라” 60
제2장_“누가 우리의 말을 믿었느냐?” 바울의 이사야서 읽기 65
상호텍스트적 읽기: 문예적-신학적 패러다임 70
바울의 이사야서 사용에 적용된 반향들의 일곱 가지 기준 78
바울의 이사야서 읽기: 명시적 인용들 95
결론: 토론을 위한 주제 99
제3장_시편 143편, 하나님의 의에 대한 증언 103
제4장_유대인과 이방인의 조상 아브라함 119
로마서 4장 1절: “육신으로 우리 조상인 아브라함”? 122
오직 유대인만의 하나님? 로마서 4장 1절 이전 논의와 관련하여 132
조상으로서의 아브라함: 로마서 4장 1절 이후의 논의와 관련하여 140
로마서 4장 23-25절: “기록된 것은 아브라함만 위한 것이 아니요…” 147
결론 152
제5장_세 가지 극적인 역할들: 로마서 3-4장의 율법 155
율법은 유대인의 정체성을 정의한다 157
율법은 유죄를 선언한다 164
율법은 예언자적인 증인이다 168
결론 177
제6장_시편을 기도하는 그리스도: 초기 기독론의 모체인 이스라엘의 시편 181
여기서 기도하는 자는 누구인가? 로마서 15장의 문제 183
시편에서 화자인 그리스도: 다른 예들 187
바울 안에서 전통의 자취 192
메시아 시편 읽기의 해석학적 논리 195
바울의 주해전통 사용 197
초기 기독론 형성에 미치는 영향 206
제7장_ 묵시적 해석학: 하박국이 “그 의로운 자”를 선포하다 209
서론: 묵시록과 해석학 211
메시아의 칭호인 “의로운자”? 非-바울 본문들 214
바울서신의 의인 235
제8장_바울의 윤리에서 구약의 역할 245
문제 247
바울의 윤리에서 구약의 몇 가지 기능들 252
결론 272
제9장_비평에 대한 반향: 『바울서신에 나타난 구약의 반향』의 비평가들에 대한 답변 275
크레이그 에반스에 대한 답변 278
제임스 샌더스에 대한 답변 285
윌리엄 그린에 대한 답변 290
크리스티안 베커에 대한 답변 299
결론 316
제10장_믿음의 성경해석학 317
로마서에 나타난 Apistia와 Pistia 322
믿음과 속죄 325
바울의 고유한 해석학적 실천 326
믿음의 해석학으로 구약 읽기 329
인명 색인 336
성경 및 기타 고대 문헌 색인 341
일본학자가 본 식민지 근대화론

도서명 : 일본학자가 본 식민지 근대화론
저자/출판사 : 도리우미 유타카, 지식산업사
쪽수 : 298쪽
출판일 : 2019-09-05
ISBN : 9788942390717
정가 : 18000
머리말 5
서설 15
들어가는 말 : 다양한 체험담 _15 / 일제강점기 조선 경제에 대한 연구사 _18 / 조선인 빈곤의 원인은 무엇인가 _22 / 한국인의 빈곤은 자본주의 성립기의 보편적 현상인가 _25 / 당시의 일본의 경제 상황 _26 / 조선총독부의 재정 _28 / 산업조사위원회 _31 / 철도 부설과 산미증식계획 _32 / 자본주의 형성기의 일본 재정 _36 / 자본주의의 형성기의 한국 재정 _38 / 조선의 안행형 경제 발전을 무서워한 일본 _40 / 조선에 투자된 자금은 조선 거주 일본인이 독점 _42
제1장 1910년 이전 일본인 청부업자의 성장과 조선 진출
제1절_ 일본인 청부업자의 발생과 성장 45
일본 개국과 서양 토목기술의 습득 _45 / 외국인 기술자를 통한 토목기술 수용 _47 / 코르넬리스 요하네스 판 도른 _52 / 근대적 청부업의 등장과 발전 _56 / 회계법의 성립과 청부업의 난립 _57
제2절_ 일본인 청부업자의 조선 철도 건설 진출 65
일본 철도 건설의 정체 _65 / 조선에서 철도 건설의 시작과 경인철도 _67 / 경부철도의 건설 _73 / 경부철도의 속성 공사 _83 / 경의철도 공사 _85 / 한국 토목청부업자의 소멸 _87
제2장 조선총독부의일본인 청부업자 보호정책
제1절_ 재정지출에서토목 관련 비용의규모 91
조선총독부 예산의 토목 관련 비용 _91 / 식민지기의 재정 지출과 사회간접자본의 형성 _103 / 《조선청부업연감》에서 산출한 토목공사비 _110
제2절_ 일본인 청부업자 보호와 조선인 청부업자 억압 114
토목 정책의 목적 _114 / 토목 정책 기구 _115 / 발주입찰에 관한 법률 _117 / 기술주임제도와 철도국 청부인 지정제도 _121 / 억압받는 조선인 청부업자 _124
제3절_ 관리 출신 일본인 청부업자 134
제3장 일본인 청부업자의 이윤 창출 활동
제1절_ 일본인 청부업자 단체와 공사 예산 확보 활동 143
조선토목건축협회 _144 / 회계규칙 개정과 담합 문제 _148 / 산업조사위원회와 토목공사 예산 획득을 위한 동상운동 _150 / 산업 개발 4대 요항 결정 _157 / 동상운동의 시작과 관동 대지진 _159 / 와타나베 데이이치로의 동상운동 _162 / 제국철도협회의 건의 _168 / 조선철도촉진기성회 _171 / 제52회 제국의회의 법안 승인 _173 /
제2절_ 일제하 조선인 노동자의 저임금과 일본인 토목청부업자의 부당 이익 177
임금 미불 문제 _181 / 저임금과 청부업자의 부당 이익 _189
제3절_ 일본인 토목청부업자의 이윤 창출 사례 206
토목 담합사건 _206 / 일본의 담합 _210 / 조선의 담합 _214 / 담합에 대한 유무죄의 논리 _217 / 경성 토목 담합사건과 그 고찰 _222
제4절_ 일제하 수리조합사업과 일본인 토목청부업자들 229
토목청부업자가 본 수리조합사업 _237 / 식민지 조선 농가의 경제 상태와 견주어 본 수리조합사업 금액 _240 / 수리조합사업 공사금액 검토 _245 / 수리조합사업의 관리비 _247 / 수리조합사업과 일본인 지주의 이익 _251 / 일본인 토목청부업자와 일본인 지주의 유착 _253 / 일본인의 취직자리로서 수리조합 _258 / 수리조합의 대행기관 _261
제4장 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한 분류와 반론
식민지 근대화론의 분류 _266 / 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한 반론 _271
결어 279
참고문헌 286
찾아보기 291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