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마르트르 물랭호텔. 1 또는 변하는 세상에 맞선 유학자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몽마르트르 물랭호텔. 1 또는 변하는 세상에 맞선 유학자

땅끝
2025-04-13 19:24 4 0

본문




몽마르트르 물랭호텔. 1
9791162757277.jpg


도서명 : 몽마르트르 물랭호텔. 1
저자/출판사 : 신근수, 지식과감성
쪽수 : 296쪽
출판일 : 2019-07-20
ISBN : 9791162757277
정가 : 12000

이야기에 앞서서

이야기를 시작하며 | 평범한 세계인-27만 명의 추억

이야기 1 파리 몽마르트르-물랭호텔
이야기 2 거리의 첼리스트 그리고 개업식
이야기 3 백만 달러의 은행원, 한국인 신용조사
이야기 4 물랭호텔 최고의 고객
이야기 5 일본 사람과 무한 우정
이야기 6 외로운 포먼 씨와의 이별
이야기 7 영화하는 사람
이야기 8 음악하는 사람
이야기 9 연극하는 사람
이야기 10 노래하는 사람
이야기 11 그림 그리는 사람
이야기 12 글 쓰는 사람
이야기 13 발레하는 사람
이야기 14 나쁜 사람
이야기 15 아름다운 사람
이야기 16 프랑스 사람
이야기 17 이루지 못한 꿈-음악 기숙사
이야기 18 사라진 호텔, 생존한 호텔
이야기 19 여자의 힘
이야기 20 부지런해야 산다
이야기 21 썰물의 추억

다음 추억을 위하여




변하는 세상에 맞선 유학자
9788994606569.jpg


도서명 : 변하는 세상에 맞선 유학자
저자/출판사 : 김영익, 너머북스
쪽수 : 528쪽
출판일 : 2019-11-25
ISBN : 9788994606569
정가 : 29000

머리말

가사 歌辭
송곡농사 해방기념 가사_1945년 7월

편지 便紙
신식학교의 학생군사교육 〉 이인서李仁瑞와 임석영林奭榮에게 줌_1908년
공부하는 학동들에 관한 보고 〉 노백老柏 선생께 올리는 편지_1915년 11월
뫼시며 배우고 싶은 마음 〉 간재艮齋 선생께 올리는 편지_1916년 6월 25일
일제의 앞잡이 토이土夷 〉 조재원趙載元 도형道亨에게 줌_1917년 윤2월 16일
변하는 세상에서 어떻게 살아야 합니까? 〉 노백 선생 전상서_1919년 4월
민성民性의 순화는 도道가 높은 학자의 임무 〉 노백 선생께 올림_1919년 7월
강학講學을 그만두고 돌아와서 〉 박계朴?에게 줌_1919년 10월 6일
노백 선생의 제의를 받고 〉 노백 선생께 답함_1920년 1월 24일
스승 노백이 제자 사교재를 선생으로 초빙하는 편지_1920년 1월 23일
섬에 들어가지 않고 다시 강학講學으로 〉 노백 선생의 편지에 답함_1920년 1월 28일
노백,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않으면 안 되는 시대 상황’_1920년 2월 1일
친구는 섬으로 들어가고 〉 전완全浣에게 답함_1920년 3월 25일
강상綱常을 부지하는 선생, 간재艮齋 〉 간재艮齋 선생께 올림_1920년 7월 9일
최모 문제 〉 이형렬李亨烈에게 답함_1922년 5월
석전강사石田講舍에서 최모에게 절교를 알리는 글_1922년 윤5월 9일
함경도의 동문에게 보낸 편지 〉 허순영許順泳 경천景天에게 답함_1923년 6월
섬으로 들어간 은자隱者에게 〉 김이청金夷淸 병로柄老에게 답함_1923년 8월 6일
공公과 사私 〉 김이청金夷淸에게 줌_1924년 4월
간재艮齋 사후 그 문인들의 난맥상 〉 석농石農 선생께 올림_1924년 8월
철원에서 돌아와 광교산에 은거함 〉 김경하金景河 씨에게 보내다_1933년 7월 보름
일제강점기에 세운 정려각 〉 안재하安在夏에게 주다_1948년 5월
구도의 길 〉 허담許潭에게 줌_1948년 8월
친구의 손자를 가르치며 〉 야당野塘 유득로柳得老에게 답함_1949년 12월
순환과 혁구 〉 본암本庵 국범식鞫範植 사문斯文에게 줌_1954년 정월
견비통 〉 이언경李彦卿에게 답함_1954년 오추梧秋 20일
전쟁 중 실종된 아들을 찾은 친구에게 〉 이재환李載晥에게 줌_1954년 8월 22일
강상이 무너지고 자유와 평등을 외치는 시대 〉 소당小棠 이용구李龍求 씨께 답함_1954년 10월망건 수리 〉 안지산安芝山에게 줌_1955년 4월 25일
강유위와 양계초 〉 이용구李龍求에게 답하다_1955년 6월 8일
안양재실이 잿더미가 되다 〉 사문斯文 김정金鋌에게 답하다_1955년 12월
학천의 스승 문집 간행을 돕는 문제 〉 학천學泉 김하규金夏圭에게 답함_1955년 섣달
31년 만에 전하는 소식 〉 정현모鄭賢模에게 줌_1955년 12월 일
위토位土와 파보派譜 〉 족인 재연在璉 씨에게 답함_1955년 12월 27일
돈만 받고 완성된 족보를 주지 않음 〉 갑수甲洙, 용우容宇 두 종인께 답함_1956년
위토를 마련할 곡식을 보내며 〉 연산連山 단향소壇享所에 보내는 편지_1956년 10월 1일
눈이 머는 아픔喪明之痛(아들의 죽음) 〉 족숙 직현 씨께 올림_1958년 정월
행장行狀을 써주며 〉 조재구趙載九에게 줌_1958년 6월 그믐 하루 전
아들의 요절/담배 선물 〉 전용구田溶九 씨에게 답함_1958년 10월 14일
후사後嗣를 세우는 문제 〉 조장호 씨에게 답함_1958년 12월 8일
족인 김용식의 명절선물을 받고 〉 족인族人 용식容植에게 답하다_1959년 설날
병마와 씨름하다, 족인族人 영달에게 답함_1959년 3월 26일
경서經書 팔기 〉 이재설李載說 언경彦卿에게 보내다_1959년 10월
양재 권순명에게 아들을 보내며 〉 양재陽齋 권순명權純命에게 답함_1960년 2월
몸을 깨끗이 하여 돌아감歸潔 〉 지산芝山 안경익安景益에게 답함_1960년 8월 3일
유학자의 현대정치론 〉 이병용李丙鎔에게 부침_1960년 8월
나라는 어지러워도 산중 세월은 한가하네 〉 종씨 어른 재연 씨에게 답함_1961년 9월 25일
어떻게 올바른 사람에게 투표합니까? 〉 모씨에게 줌

잡저雜著, 서序, 기記, 제발題跋, 계화도일기繼華島日記
석전강사石田講舍 보인계輔仁契 설립문設立文_1917년
담배는 요물이다 〉 탄연설歎烟說을 수궤재 제현에게 보여주다_1920년 3월 13일
고질이 된 흡연 〉 흡연, 쓸데없는 습관_1947년
생일날 두 배 비통한 이유 〉 생일날 아침에 우연히 쓰다_1947년 7월 27일
측은한 독립
‘모교母校’라는 말의 그름_1947년
자신의 과거를 부정하는 신문화 〉 평화신문을 읽고
석장石丈 찬贊_1956년 12월
포은과 목은의 위차 〉 숙모전肅慕殿 재중齋中에 답함_1959년 7월
삼은각三隱閣의 재유齋儒에게 답함_1960년 5월
목은 이색과 조선의 개국 〉 상촌 신흠申欽의 「휘언彙言」 과 『승국유사勝國遺事』 를 읽고
유학자의 예수교 비판 〉 서교변西敎辨-화지안花之安이 지은 『자서조동自西?東』의 구절을 잘라내어 비판함_1961년 6월
제국주의의 멸인종
일본 오랑캐의 간악한 술수
강대국의 술수
자유의 맹렬함
성현과 범인의 차이는 용심用心에 달렸다
조선 유교의 평가 〉 황의돈黃義敦의 말 뒤에 씀
국가 속의 개인 윤리 〉 이 나라에 사는 의미
양명학 비판
『경서언해經書諺解』의 오류와 오해
간사한 친일 무리의 변신
목민牧民의 도는 무농務農이고, 무농의 근본은 축우畜牛다 〉 축우계서畜牛契序_1914년 12월
가난과 곤궁 〉 유학동柳鶴東 명구鳴九를 송별하는 서序_1923년 9월 2일
『해제준적孩提準的』 서序_1949년 1월
판결사공파보서判決事公派報序_1958년 6월
학사당기學士堂記_1914년 3월
심心은 형이상인가, 형이하인가? 〉 성재가 화서의 심설을 보충한 글 뒤에 쓰다
노백 선생
계화도일기_1922년 6월

전기傳記
학생한공행장學生韓公行狀_1957년
청천당안공행장聽天堂安公行狀_1958년 12월
절부이씨전節婦李氏傳_1950년 3월
현원방씨전賢媛方氏傳
현원김씨전賢媛金氏傳

한담수록 閒談隨錄
『한담수록』 _1920년 2월
서재書齋(글방) 선생
실망
부모를 이기는 자식
신분과 충효
연호年號와 중화中華
유학儒學의 공사公私 개념
유자儒者의 처세

봉래산고 蓬萊散稿
『봉래산고』 〉 봉래음사蓬萊吟社 간판刊板 서_1929년 2월
대추와 앵무새 〉 몽양재蒙養齋의 여러 학생에게 써서 보여주다_1930년 1월 12일
학문은 확고한 마음이 서야 한다 〉 학문에 다섯 장애가 있다_1930년 2월 5일
양성재養性齋 학계學契 서序_1930년 2월 13일
몽양재蒙養齋 일과표日課表 서序
학學의 의미 〉 천덕재天德齋 제생의 질문에 답함
유학자와 은자 〉 사명산四明山으로 가는 옥담거사玉潭居士를 송별하는 서序_1930년 3월 12일

어록 語錄
체용體用에 국한됨이 없다는 설
본연성설本然性說
본연심설本然心說
기질본연설氣質本然說
당초에 기질을 타고났다는 설
오서오경 독서일과표
유학의 기본개념 〉 김용택, 김용덕, 이명용 세 동자에게 답함
자신의 심신에서 실천해야
유학무용론에 대하여
유학교육
네 가지 근본
네 가지 금지
옛 덕을 먹다
의리와 이익
도는 행하기 위하여 배운다 〉 도를 배우는 것이 쓸데가 없고 쓸데가 있는 것
필부도 사회에 책임이 있다
사람과 동물은 체가 같고 용이 다르다
성인의 도
대일통大一統
강상
예의는 다스림이 나오는 근본이다

교훈 敎訓
글과 더불어 사람도 배워라 〉 동몽童蒙 김종만金鍾萬에게 줌_1914년 9월 12일
내 안에 있는 천리와 인욕 〉 안재하에게 줌_1919년 10월 17일
성인聖人을 배워라 〉 수정재守貞齋 제군에게 보여줌_1946년
스스로 너그러워져라 〉 집 아이 각수恪洙에게_1946년
안양사安陽祠 〉 수정재守貞齋 제군에게 말함_1946년 9월 9일
인의仁義야말로 부강하게 되는 길이다 〉 서사書社의 제군에게 말함_1946년
선생으로서 가르치는 어려움 〉 제생諸生[여러 학생]에게 말함_1946년
성인이 바로 천리다 〉 수정서사守貞書社의 제군에게 보여주다_1946년
학자의 가난 〉 족인 상수常洙에게 줌_1946년 10월
뜻이 굳센 사람 〉 족인 화수和洙에게 줌_1947년
가르침에 대하여 〉 수정재守貞齋 제군에게 사과함_1947년 2월
스스로 처신하고 변화하기 〉 집 아이 각수恪洙에게 말함_1947년 2월
면강勉强의 도道 〉 각수恪洙에게 줌_1947년 7월
도가 없는 시대의 사士 〉 헌수憲洙, 태수台洙, 화수和洙에게 훈시함_1948년
곧음을 지켜라 〉 수정재守貞齋 제군에게 보여주다_1948년
성리학의 기본 개념 〉 조규하曺圭夏에게 주다_1948년
이기理氣 〉 희수喜洙에게 줌
자신의 욕심을 극복하라 〉 각수恪洙에게 주는 말_1948년 5월
이 마음을 보존하여 천리를 지킴 〉 서당 학생들에게 훈시함_1948년 8월
곤궁한 시대에 수신修身이 중요하다 〉 수정사 제군에게 보여주다_1949년 설날
배움이 무엇인가 〉 유원호柳元鎬에게 주다_1949년 3월 10일
마음공부가 중요하다 〉 유원호에게 줌_1949년 12월
예禮 〉 김영학에게 줌_1950년 5월
예禮를 따르라 〉 안성순安誠淳에게 훈시함_1953년 3월
일기는 정직하게 써라 〉 안성순安成淳의 일기습장日記習帳을 위하여 쓰다_1953년 3월
『소학』의 「경신敬身」 편 〉 조광현曹光鉉에게 주는 글_1955년 섣달
자유의 비판 〉 김영두金永斗에게 줌_1957년 5월
상도常道를 지켜라 〉 큰아들 각수恪洙에게 주는 말_1960년 3월 20일
안양사安陽祠의 복식과 머리 모양 〉 수궤재守軌齋 벽에 붙이다_1960년 9월
가난과 고난의 의미 〉 윤희천尹羲天에게 써주다_1960년 12월 20일
육식의 절제 〉 검덕첩儉德帖_1962년 정월
자기 마음에 비추어 남의 처지를 헤아림 〉 아무개에게 주려고 쓴 글
인심과 도심, 속안과 도안 〉 안상우安相佑, 정원영鄭元永, 손인장孫仁長, 손한성孫漢成 등 여러 어린이에게 주다
속이지 마라 〉 집 아이 각수恪洙에게 훈시함
『소학』의 실천 〉 외손자 재곤在坤에게
유가가 불가와 다른 점 〉 같은 사社의 제군에게 써서 보이다
나로써 사물을 보라 〉 관동으로 가는 족인 화수和洙에게 주는 말
중화中華와 이적夷狄 〉 유兪 공의 묘표와 노盧 공의 묘지명 뒤에 씀
논어의 의미, 하학상달下學上達 〉 조규하, 이병용, 이명용에게 말하다
재난과 시련 속의 성취 〉 서사書社의 학생들에게 보여줌
집중하여 사색하고 음미하라 〉 주자朱子 편지 중의 독서법
훌륭한 사람과 사귀어라 〉 손자에게 주는 글

종중宗中
족보 편찬의 규례規例 〉 보소譜所에 답함_1956년 정월 18일
파보와 대동보 〉 보소譜所[족보 편찬소]에 답함_1956년 정월
문중과 가문의 의미 〉 보소에 답함_1956년 2월
족보 편찬의 준칙 〉 보소에 답함_1956년 2월 22일
6·25전쟁에 파괴된 사당 〉 양평 종중에 답하는 편지_1956년 9월 20일
족보 단금單金 〉 보소에 답함_1956년
9권 1질 족보 대금 1만 환 〉 김갑수에게 답함_1956년 9월 28일
수포로 돌아간 족보 편찬 사업 〉 종인 갑수甲洙에게 답함_1956년
족보 편찬 범례 〉 종인 갑수에게 줌_1956년 10월 20일
종손宗孫의 개념 〉 종인宗人 원중元中에게 줌_1956년 12월
북촌공의 종손으로 자처하는 봉수 〉 종인宗人 봉수鳳洙에게 줌_1956년 12월
족보의 서문을 써 보내며 〉 족숙族叔 철현徹鉉 씨에게 답하는 편지_1958년 6월
할아버지 항렬 밑으로 양자 가는 문제 〉 족형族兄 택수澤洙에게 줌_1959년 10월
봉수의 소종래所從來를 모른다 〉 종간宗簡_1960년
봉수의 출계出系에 관한 의문점
봉수의 결단

답문答問
친정부모에 대한 여자의 호칭과 동자의 상례 〉 김영두에게 답함
공자와 주자를 존경하고 사모하는 이유 〉 어떤 사람과의 문답_1946년 9월 10일
성리학 〉 족인 태수台洙에게 답함_1947년
강상과 국가 〉 수정사의 제군에게 답하다_1949년
학문의 목적은 하나의 이理에서 비롯된 본연성의 회복 〉 유원호柳元鎬에게 답함_1950년 2월
옥헌玉軒 유해주柳海珠의 효도 〉 문의문묘文義文廟의 제유諸儒에게 답함_1960년
생일날 두 배 슬퍼해야 한다 〉 조규하曺圭夏 군에게 답하다_1960년 1월
유락가流落家의 족보
가르침의 쇠퇴와 반란세력의 발호 〉 어떤 사람에게 답함
적서嫡庶 차별에 대하여 〉 제생의 물음에 답함

산록散錄
가르치고 배울 때의 구차함
임금과 부모를 위한 복수
말세의 비겁자
마음과 육체
벗을 사귀는 도
붕우 간의 공경恭敬
마음의 뜻
마음의 힘
자정自靖
화이華夷의 구분
시비와 음양, 유가의 이분법
성학聖學과 이학夷學
유복儒服과 이복夷服
지知의 개념
양지와 천리
이기理氣
심心
심의 체용體用
보원報怨[원수 갚기]
마음공부
사 士의 책임
부모 공양
이理와 기氣
시속時俗을 따르는 것
상복喪服과 경찰
예와 풍속
국민과 국가
운運, 세勢, 속俗
사 士[학자]
중화와 이적
성리학과 국가
강상과 예의
학자는 우주의 원기
지자智者와 인자仁者
천리와 인욕, 중화와 이적
심心의 체용
재앙의 기틀
마음의 두 갈래
하늘과 사람
인물성동이론
다스림의 요점

원문 原文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