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의 세계사 또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패턴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재난의 세계사 또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패턴

땅끝
2025-04-13 19:24 3 0

본문




재난의 세계사
9791189074173.jpg


도서명 : 재난의 세계사
저자/출판사 : 루시 존스, 눌와
쪽수 : 356쪽
출판일 : 2020-04-27
ISBN : 9791189074173
정가 : 17500

들어가며

1
하늘에서 유황과 불이 쏟아지다
기원후 79년, 로마제국 / 베수비오산 분화

2
죽은 자는 묻고 산 자는 먹여라
1755년, 포르투갈 / 리스본 지진

3
전 지구적인 재난
1783년, 아이슬란드 / 라키산 분화

4
왜 우리는 재난을 망각하는가
1861~1862년, 미국 / 캘리포니아주 홍수

5
단층 찾기, 희생양 찾기
1923년, 일본 / 간토 지진

6
홍수가 드러낸 사회의 어둠
1927년, 미국 / 미시시피강 홍수

7
정치와 재난의 상관관계
1976년, 중국 / 탕산 지진

8
재난에는 국경이 없다
2004년, 인도양 / 남아시아 지진

9
실패에서 배워야 하는 것들
2005년, 미국 / 허리케인 카트리나

10
과학은 재난에 책임을 져야 할까
2009년, 이탈리아 / 라퀼라 지진

11
상처를 딛고 일어서는 법
2011년, 일본 / 도호쿠 지진

12
미래의 재난에 대비하기
머지않은 미래, 미국 / 샌앤드리어스단층 지진

감사의 말

참고문헌




클라우드 네이티브 패턴
9791161753805.jpg


도서명 : 클라우드 네이티브 패턴
저자/출판사 : 코넬리아 데이비스, 에이콘출판
쪽수 : 512쪽
출판일 : 2020-01-28
ISBN : 9791161753805
정가 : 40000

1부. 클라우드 네이티브 컨텍스트

1장. ‘클라우드 네이티브’로 정의한 단어 계속 사용하기
1.1 오늘날 애플리케이션 요구 사항
1.1.1 무중단
1.1.2 짧아진 피드백 주기
1.1.3 모바일과 멀티 디바이스 지원
1.1.4 사물 인터넷이라고 알려진 커넥티드 디바이스
1.1.5 데이터 기반
1.2 클라우드 네이티브 소프트웨어 소개
1.2.1 ‘클라우드 네이티브’의 정의
1.2.2 클라우드 네이티브 소프트웨어 멘탈 모델
1.2.3 클라우드 네이티브 소프트웨어의 작동
1.3 클라우드 네이티브와 세계 평화
1.3.1 클라우드와 클라우드 네이티브
1.3.2 클라우드 네이티브가 아닌 것은 무엇인가?
1.3.3 클라우드 네이티브는 훌륭히 동작한다
__요약

2장. 프로덕션 환경에서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실행
2.1 장애물들
2.1.1 스노우플레이크
2.1.2 위험한 배포
2.1.3 변화는 예외다
2.1.4 프로덕션 설치성
2.2 조력자
2.2.1 지속적인 딜리버리
2.2.2 반복성
2.2.3 안전한 배포
2.2.4 변화는 비일비재하다
__요약

3장. 클라우드 네이티브 소프트웨어 플랫폼
3.1 클라우드(네이티브) 플랫폼 진화
3.1.1 클라우드로부터 시작됐다
3.1.2 클라우드 네이티브 발신음
3.2 클라우드 네이티브 플랫폼의 핵심 원리
3.2.1 먼저 컨테이너를 이야기해보자
3.2.2 ‘지속적인 변화’에 대한 지원
3.2.3 ‘고도로 분산’에 대한 지원
3.3 누가 무엇을 합니까?
3.4 추가적인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능
3.4.1 SDLC 전체를 지원하는 플랫폼
3.4.2 보안, 변경 제어, 규정 준수(제어 기능)
3.4.3 컨테이너에 들어가는 내용 제어
3.4.4 업그레이드와 취약성 패치
3.4.5 변경 제어
__요약

2부. 클라우드 네이티브 패턴

4장. 이벤트 기반 마이크로서비스: 단순히 요청/응답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4.1 우리는 (보통) 명령형 프로그래밍을 배운다
4.2 이벤트 기반 컴퓨팅 재도입
4.3 나의 글로벌 요리책
4.3.1 요청/응답
4.3.2 이벤트 기반
4.4 명령 쿼리 책임 분리(CQRS) 소개
4.5 다른 스타일, 유사한 도전 과제
요약

5장. 앱 다중화: 수평 확장과 상태 비저장
5.1 많은 인스턴스를 배포하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앱
5.2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상태 저장 앱
5.2.1 모놀리식 분해와 데이터베이스 바인딩
5.2.2 부적절한 세션 상태 처리
5.3 HTTP 세션과 스티키 세션
5.4 상태 저장 서비스와 상태 비저장 앱
5.4.1 상태 저장 서비스는 특별하다
5.4.2 앱을 상태 비저장으로 만들기
__요약

6장. 애플리케이션 설정: 그저 환경 변수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6.1 왜 설정까지 이야기해야 할까?
6.1.1 앱 인스턴스의 수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동적 스케일링
6.1.2 인프라 변경으로 인한 설정 변경
6.1.3 다운타임 없이 애플리케이션 설정 업데이트하기
6.2 앱의 설정 계층
6.3 시스템/환경 값 주입하기
6.3.1 설정을 위해 환경 변수를 사용하는 방법을 자세히 알아보기
6.4 애플리케이션 설정 주입
6.4.1 구성 서버 소개
6.4.2 보안은 더 많은 요구 사항을 추가
6.4.3 동작 보기: 구성 서버를 사용한 애플리케이션 설정
__요약

7장. 애플리케이션 생명 주기: 지속적인 변경에 대한 설명
7.1 운영에 대한 공감대 형성
7.2 단일 애플리케이션 생명 주기, 다중 인스턴스 생명 주기
7.2.1 블루/그린 배포
7.2.2 롤링 업그레이드
7.2.3 병렬 배포
7.3 서로 다른 앱 생명 주기 전반에서 조율
7.4 실행해보기: 자격 증명 변경과 앱 생명 주기
7.5 생명 주기가 짧은 런타임 환경 처리
7.6 앱 생명 주기 상태 가시성
7.6.1 실행해보기: 헬스 엔드포인트와 프로브
7.7 서버리스
__요약

8장. 앱에 접근하기: 서비스, 라우팅, 서비스 탐색
8.1 서비스 추상화
8.1.1 서비스 사례: 구글링
8.1.2 서비스 사례: 블로그 수집기
8.2 동적 라우팅
8.2.1 서버 측 로드 밸런싱
8.2.2 클라이언트 측 로드 밸런싱
8.2.3 라우팅 최신화
8.3 서비스 탐색
8.3.1 웹에서의 서비스 탐색
8.3.2 클라이언트 측 로드 밸런싱을 이용한 서비스 탐색
8.3.3 쿠버네티스에서 서비스 탐색
8.3.4 실제로 구현해보기: 서비스 탐색 활용
__요약

9장. 상호작용 이중화: 재시도와 기타 제어 루프
9.1 재시도 요청
9.1.1 기본 요청 재시도
9.1.2 실행해보기: 단순 재시도
9.1.3 재시도: 무엇이 잘못될 수 있는가?
9.1.4 재시도 폭풍 생성
9.1.5 실행해보기: 재시도 폭풍 생성
9.1.6 재시도 폭풍 방지: 친절한 클라이언트
9.1.7 실행해보기: 친절한 클라이언트 되기
9.1.8 재시도하지 않을 때
9.2 폴백 로직
9.2.1 실행해보기: 폴백 로직 구현
9.3 제어 루프
9.3.1 제어 루프의 유형 이해
9.3.2 제어 루프 제어
__요약

10장. 프론트 서비스: 서킷 브레이커와 API 게이트웨이
10.1 서킷 브레이커
10.1.1 소프트웨어 서킷 브레이커
10.1.2 서킷 브레이커의 구현
10.2 API 게이트웨이
10.2.1 클라우드 네이티브 소프트웨어에서 API 게이트웨이 사례
10.2.2 API 게이트웨이 토폴로지
10.3 서비스 메시
10.3.1 사이드카
10.3.2 컨트롤 플레인
__요약

11장. 트러블슈팅: 건초 더미에서 바늘 찾기
11.1 애플리케이션 로깅
11.2 애플리케이션 메트릭
11.2.1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에서 메트릭 가져오기
11.2.2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에서 메트릭 밀어 넣기
11.3 분산 추적
11.3.1 트레이서 출력
11.3.2 집킨으로 추적 조합하기
11.3.3 구현 상세 내용
__요약

12장. 클라우드 네이티브 데이터: 모놀리식 데이터 쪼개기
12.1 모든 마이크로서비스는 캐시가 필요하다
12.2 요청/응답에서 이벤트 기반으로 이동하기
12.3 이벤트 로그
12.3.1 실행으로 확인하자: 이벤트 기반 마이크로서비스 구현
12.3.2 토픽과 큐의 새로운 점은?
12.3.3 이벤트 페이로드
12.3.4 멱등성
12.4 이벤트 소싱
12.4.1 지금까지의 여행
12.4.2 진본
12.4.3 이벤트 소싱의 구현
12.5 우리는 그냥 수박 겉핥기 중이다
__요약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