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세 초능력 창의력 집중력. 1: 창의력편 또는 평화 통일로 가는 길
땅끝
2025-04-13 19:24
5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0회 연결
본문
7세 초능력 창의력 집중력. 1: 창의력편

도서명 : 7세 초능력 창의력 집중력. 1: 창의력편
저자/출판사 : 동아출판 편집부, 동아출판
쪽수 : 136쪽
출판일 : 2019-12-10
ISBN : 9788900448870
정가 : 10000
1주 동물, 공룡, 새, 곤충, 생물
2주 음악, 색깔, 블록, 사진, 미술
3주 우주, 달, 그림자, 바다, 지구
4주 국기, 재료, 집, 생활 도구, 음식
5주 시간, 태풍, 지진, 기온, 계절
6주 식물, 꽃, 나무, 과일, 채소
7주 탈것, 톱니바퀴, 지도, 길, 건물
8주 화석, 자석, 전기, 에너지, 드론과 로봇
9주 우리 몸 밖, 우리 몸속, 몸의 감각, 돈, 암호
10주 소리 놀이, 면봉 놀이, 숫자 놀이, 블록 놀이, 나누기 놀이
평화 통일로 가는 길

도서명 : 평화 통일로 가는 길
저자/출판사 : 차종환 , 조봉남, 사사연
쪽수 : 312쪽
출판일 : 2020-02-15
ISBN : 9791189137052
정가 : 16000
제1장 북한의 교육
1-1 교육 정책과 교육 제도
1-2 교육 관리 체제
1-3 교육과정
1-4 교육내용
1-5 교육방법
1-6 학교생활
1-7 남북한의 언어 비교
1-8 교육의 현황과 입학
제2장 북한의 교육과 특수대학
2-1 간부코스와 야간대학
2-2 교원양성제도와 대우
2-3 김형직사범대학
2-4 노력영웅
2-5 북한의 교육열
2-6 외국어교육
2-7 평양외국어학원
제3장 평화교육
3-1 평화 교육의 필요성과 지향
3-2 평화. 통일교육의 목표
3-3 평화지향적 통일교육의 방향
3-4 통일교육의 진행과정
3-5 남북의 공통점과 차이점
제4장 평화통일을 상호존중에서
4-1 분단은 비장성적인 체제다
4-2 평화와 통일은 상호존중에서
4-3 평화 증진 방안
4-4 평화 통일교육의 중점 방향 15개항
4-5 국민의 통일의지 제고
제5장 평화 통일교육의 개념과 주제들
5-1 평화문화 창출을 위한 통일교육
5-2 국제사회의 평화교육 요구
5-3 평화교육의 개념과 내용
5-4 평화교육의 영역과 주제들
5-5 평화교육의 접근방법과 통일교육
5-6 평화교육의 지향성과 통일교육
제6장 평화적 통일교육의 기대효과
6-1 통일교육의 탄력성 회복
6-2 유연한 생각으로 일상에서 평화찾기
6-3 남남 갈등해결
6-4 지역 감정 해소
6-5 한국교회와 분규의 원인과 해소
제7장 통일교육과 평화교육의 문제점
7-1 이념적인 대립관계 우회
7-2 '적극적 평화'(Positive Peace)를 향하여
7-3 다른 정체성의 수용
7-4 통일 교육 방안의 문제점
7-5 평화 통일 교육의 참여
제8장 한국에서 시도되고 있는 평화교육
8-1 한국의 평화교육의 개념
8-2 젊은 세대를 위한 통일교육
8-3 청소년 대상 평화교육
제9장 한국의 평화운동
9-1 한국의 평화운동
9-2 한국 평화 운동의 태동과 현황
9-3 평화 교육의 목적
제10장 해외 평화교육의 사례들
10-1 독일의 평화교육
10-2 북아일랜드의 상호 이해교육
10-3 남아공의 평화교육
10-4 미국의 평화교육
10-5 [이집트. 아랍]공화국과 [이스라엘]국간의 평화조약
10-6 베트남 전쟁 종결 및 평화회복에ㅔ 관한 파리협정
10-7 해외 평화교육의 특징
제11장 평화 통일로 가는 마음자세
11-1 평화교육ㆍ민주시민교육과 함께하는 통일교육을 위한 길
11-2 평화가 통일이고 민족공동번영의 길이다
11-3 민족공동체보다는 통일공동체로
11-4 군사지대를 평화지대로
11-5 정전 체제를 평화 체제로
11-6 급격한 통일도 문제
11-7 단일국가방식의 통일담론 극복을 해야하는 이유
11-8 개성공단은 다름과 차이의 공존지대
11-9 '다름'이 공존하는 한반도
11-10 다름과 차이의 공존
11-11 남북의 공통점과 차이점
11-12 동질성 추구보다는 이질성의 포용을
11-13 '틀림'의 시각을 벗어나야
11-14 선악 이분법 세계관이 아닌 공존 패러다임이 필요
11-15 적대와 비난의 서곡은 화해와 격려, 협력의 서곡으로 변해야한다
11-16 평화와 통일은 상호존중에서
11-17 화해 협력 평화 공존을 위해 냉전문화와 대결의식 버려야
11-18 왜 남북은 자주 만나야되나 만나야 소통이 되고 다름이 같음이 된다
11-19 남북은 배우며 산다
11-20 안보 접근법과 평화 접근법
11-21 보수와 진보의 생각
제12장 갈등해소와 소통 및 협력의 시대로
12-1 갈등과 해소
12-2 나눔과 배려의 정신
12-3 소통과 화합, 협력의 새 시대로
부록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