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진 것들은 다시 돌아오지 않는다 또는 말로 배운 지식은 왜 산지식이 못 되는가
땅끝
2025-04-13 19:24
10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1회 연결
본문
사라진 것들은 다시 돌아오지 않는다

도서명 : 사라진 것들은 다시 돌아오지 않는다
저자/출판사 : 권태주, 좋은땅
쪽수 : 185쪽
출판일 : 2019-10-04
ISBN : 9791164356423
정가 : 10000
시인의 말
제1부 여름날
초원에서
현충사에서
산소 가는 길
여름날
세월
가뭄
이별
도전
엠마오로 가는 두 제자
관동별곡
새해에는
안산安山 3·1 독립만세운동 100주년 기념 시
풍경
고향에 오면
피오르에서
가을, 밤, 그리고 추억들
감나무
해넘이축제 낭송 시
독도獨島는 안녕하다
사마르칸트
마늘을 캐며
자운서원紫雲書院에서
제2부 사라진 것들은 다시 돌아오지 않는다
아이들에게
이브의 뱀
섬마을 이야기
통일시
모래시계
황구지천黃口池川·3
페낭에서
안산安山, 시들지 않는 상록수처럼
제주 바다에 와서
행복
40호봉
용인 중앙시장
오름을 오르며
사라진 것들은 다시 돌아오지 않는다 ? 선감분교
화담숲
입동立冬 이후
풀들에게
풍경
바다는 지금 수술 중이다
목백일홍
제3부 그리움
가상으로 쓰는 서사시敍事詩 - 안면도
통일
집배원 오기수 씨
황포에서
가을, 고향 집
금강 - 신동엽 시비에서
얼굴
욕구불만주의자의 삶의 방식
사랑법·1
사별死別
진달래
셋방에서
봄
그리움
가을이 오면
가을, 그 긴 밤에
눈
산사에서 쓰는 편지 - 김시습金時習
제4부 후성유전학
성호星湖 이익李瀷 선생 소고小考
할아버지와 사랑방
행주대교
겨울 단상斷想
문단 권력과 Me Too 운동을 보며
대천, 초등학교 동창생들과의 만남
시집 속의 시 한 편
교직 단상斷想
짧은 1박 2일 부산 여행
신상성 교수가 농부 시인에게 보내는 러브레터
성호 이익 후예의 대부도 밭농사 일기
시는 왜 쓰는가?
후성유전학
해설: 권태주 시인론·신상성(서울문예디지털대학 초대총장)
굴뚝에서 나온 탈무드 소년
말로 배운 지식은 왜 산지식이 못 되는가

도서명 : 말로 배운 지식은 왜 산지식이 못 되는가
저자/출판사 : 정계섭, 어문학사
쪽수 : 272쪽
출판일 : 2020-01-10
ISBN : 9788961849418
정가 : 16000
추천사
들어가면서
Ⅰ. 사람은 무엇 때문에 말을 하는가?
1. 정보적 기능(Informative function)
2. 표현적(정서적) 기능(Expressive or emotional function)
3. 권유적 기능(Conatif function)
4. 시적 기능(Poetic function)
5. 친교적 기능(Phatic function)
6. 주해적(註解的) 기능: 메타언어적 기능
Ⅱ. 태초에 말씀이 계시니라
1. 음소(音素)
2. 형태소
3. 이중 분절(二重分節, double articulation)
Ⅲ. 어휘는 기폭제다
1. 관계의 망
2. 마인드맵
3. 원격연상검사(RAT, Remote Association Test)
4. 언어와 정신분석
5. 사물화(reification)
Ⅳ. 말의 게임룰
1. 직시어(直示語, deixis)
2. 언어의 조합술(combinatory): 기호체계 대 신호체계
3. 회귀성(Recursivity)
4. 은유(隱喩, metaphor)
5. 문장의 변형 가능성
Ⅴ. 사피어 - 워프 가설
1. 시간인식
2. 공간인식
Ⅵ. 말의 의미
1. 단어의 의미
2. 문장의 의미
Ⅶ. 화용론적 함의(implicature): ‘보이지 않는 의미’
1. 비트겐슈타인(1889~1959) 후기 철학
2. 발화 행위 이론(speech act theory)
3. 진술과 발화행위(Statement vs Utterance)
Ⅷ. 질문의 논리
1. 좋은 질문
2. 나쁜 질문
3. 천사 질문(Angel Question)
Ⅸ. 언어의 한계
1. 대화의 엔트로피 원리
2. 말로 배운 지식은 왜 산지식이 못 되는가?
나오면서
부록
Ⅰ. 정신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Ⅱ. 라이프니츠(Leibniz, 1646-1716)의 꿈
Ⅲ. 암호의 간략한 역사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