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윽이 살며 읊다 또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그윽이 살며 읊다 또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땅끝
2025-04-13 19:24 5 0

본문




그윽이 살며 읊다
9791164930104.jpg


도서명 : 그윽이 살며 읊다
저자/출판사 : 손진담 엮음 · 손수은, 오늘의문학사
쪽수 : 288쪽
출판일 : 2019-08-15
ISBN : 9791164930104
정가 : 30000

화보 | 저자 시대 별 진영 외 2
발간사 | 국역 ?그윽이 살며 읊다(幽居韻)?를 내면서 9
저자의 말 | 자서문(自序文) 11

<전원시 田園詩>
幽居韻 1 (유거운 1) | 그윽이 살며 읊다 1 24
幽居韻 2 (유거운 2) | 그윽이 살며 읊다 2 26
生朝述懷 (생조술회) | 생일 아침에 회포를 읊다 28
除夕 (제석) | 제야의 밤을 맞다 (일본 시마네깽에서) 30
夕陽吟 (석양음) | 석양 (달성공원에서) 32
漁船 (어선) | 고깃배 34
老松 (노송) | 늙은 소나무 36
暮春 (모춘) | 늦봄 38
老僧 (노승) | 늙은 스님 40
節?冬至 (절계동지) | 절기가 동지에 이르다 42
城隅夜話 (성우야화) | 성모서리에서 밤 대화 44
老佛 (노불) | 오래된 부처 46
歲暮書懷 (세모서회) | 세모에 회포를 적다 48
餞春 (전춘) | 봄의 전별 50
中秋玩月 (중추완월) | 중추절 보름달을 보고 52

<누정시 樓亭詩>
?次嚴氏望月亭落成韻 (근차엄씨망월정낙성운) |
엄씨의 망월정 낙성식 54
敬次李氏旌忠閣韻 (경차이씨정충각운) |
삼가 이씨 정충각운을 차운 56
次朴氏碧松齋韻 (차박씨벽송재운) | 박씨 벽송재에서 차운 58
次黃氏西隱亭韻 (차황씨서은정운) | 황씨 서은정운을 차운 60
次孫氏孝烈閣韻 (차손씨효열각운) | 손씨 효열각 차운 62
次思賢臺韻 (차사현대운) | 사현대 차운 64
旣望登朝陽閣 (기망등조양각) | 기망에 조양각에 올라 66
七月旣望登朝陽閣詩會 (칠월기망등조양각시회) |
7월 16일 조양각에 올라 시회를 하다 68
次龍淵莊韻 (차용연장운) | 용연장에서 차운함 70
枕流亭與友吟 (침류정여우음) | 침류정에서 벗과 함께 72
祝裵農? 華玉?碣 在高靈 (축배농수 화옥수갈 재고령) |
농수 배화옥의 비석을 축하 (고령에서) 74
次璞峯亭韻 在三浦 (차박봉정운 재삼포) | 삼포의 박봉정에서 차운 76
次西山書院復享韻 在咸安 (차서산서원복향원 재함안) |
함안 서산서원 복향 78
次慕源亭韻 在忠州 (차모원정운 재충주) | 충주 모원정에서 80
次鶴下亭韻 在星州 (차학하정운 재성주) | 성주 학하정에서 82
次鳳庵臺韻 在?海 (차봉암대운 재영해) | 영해 봉암대에서 84
孔夫子銅鑄聖像建立 (공부자동주성상건립) |
자 동상 건립에 붙여 86
次朴氏景慕堂韻 (차박씨경모당운) | 박씨 경모당을 차운함 88
次沈氏樂樂亭韻 在晋陽 (차심씨낙락정운 재진양) |
심씨 낙락정에서 (진양에서) 90
謹次大仰亭望德齋韻 在居昌 (근차대앙정망덕재운 재거창) |
거창의 대앙정 망덕재에서 92
東?亭雲韻 代本孫作 (동은정원운 대본손작) |
동은정의 구름 (본손을 대신하여 지음) 94
登嶺南樓 (등영남루) | 밀양의 영남루에 올라 96
朝陽閣重修吟 (조양각중수음) | 조양각을 중수에 붙여 98

<생활시 生活詩>
願南北會談成就 (원남북회담성취) |
남북회담 성취를 소원하다 (백일장에서) 100
圃隱先生忠賢酬唱韻 (포은선생충현수창운) |
포은선생 충현을 생각하며 102
先進祖? 成均館白日場 (선진조국 성균관백일장) |
선진조국 (성균관 백일장에서) 104
參拜金興武王庾信墓感吟 (참배김흥무왕유신묘감음) |
흥무왕 김유신 묘를 참배하고 106
莊陵感吟 寧越 (장릉감음영월) | 영월 장릉에서 느낌이 있어 108
淸凉浦感吟 (청량포감음) | 청량포의 감회 110
儒道復興 (유도부흥) | 유교부흥 (점촌 백일장에서) 112
開世界五輪大會 (개세계오륜대회) | 세계 올림픽 경기를 열며 114
追悼陸英修女史 (추도육영수여사) | 고 육영수 여사를 추도하며 116
追慕文三尤堂先生 益漸 (추모문삼우당선생 익겸) |
삼우당 문익점 선생을 추모하며 118
敬老 1 (경로 1) | 노인 공경 1 (성주백일장에서) 120
敬老 2 (경로 2) | 노인 공경 2 122
光復節有感 1 (광복절유감 1) | 광복절 유감 1 124
光復節有感 2 (광복절유감 2) | 광복절 유감 2 126
檀祖追慕 1 (단조추모 1) | 국조 단군을 추모하며 1 128
檀祖追慕 2 (단조추모 2) | 국조 단군을 추모하며 2 130
回憶己卯士禍 追慕 趙靜菴先生 (회억기묘사화 추모 조정암선생) |
기묘사화의 정암 조광조선생을 추모함 132
顯忠日有感 (현충일유감) | 현충일 감회 134
祝??院 開院 (축국학원 개원) | 국학원 개원을 축하하며 136
願離散家族再會 (원이산가족재회) | 이산가족의 재회를 소원하며 138
道義宣揚 (도의선양) | 도덕 예의를 널리 펼침 140
世界觀光大會 (세계관광대회) | 세계관광대회 (백일장에서) 142
祝山南義陣碑建立 (축산남의진비건립) |
산남 의진비 건립을 축하하며 144
祝統一殿 建立 (축통일전 건립) | 통일전 건립을 축하하며 146

<여행시 旅行詩>
次都海旅義磬 遺蹟韻 (차도해역의경 유적운) |
해여 도의경선생 남긴 글을 보고 (성주) 148
訪銀海寺 (방은해사) | 은해사를 찾아 150
過奴歸嶺有懷吟 (과노귀령유회음) |
노귀령을 지나며 회포를 읊다 152
登朱砂寺 (등주사사) | 주사사에 올라 154
東都秋興 (동도추흥) | 경주의 가을 흥취 156
過丹陽古藪洞窟有回吟 (과단양고수동굴유회음) |
단양의 고수동굴을 지나며 158
茂朱九千洞與友吟 (무주구천동여우음) |
무주 구천동에서 친구와 함께 시를 읊다 160
次金烏山採薇亭韻 (차금오산채미정운) | 금오산 채미정에서 162
遊桐華寺 (유동화사) | 동화사 유람 164
矗石樓吟 (촉석루음) | 촉석루에서 읊다 166
南海大橋吟 (남해대교음) | 남해 대교 168
過麗水偶吟 (과여수우음) | 우연히 여수를 지나며 170
過木浦吟 (과목포음) | 목포를 지나며 172
登光寒樓 (등광한루) | 광한루에 올라 174
遊紫湖 (유자호) | 영천 자양호에 노닐다 176
上京途中吟 (상경도중음) | 서울 가는 길 178
登傳燈事 在江華島 (등전등사 재강화도) |
강화도 전등사에 오르다 180
訪柳氏宗宅 河回 (방류씨종택 하회) |
류씨 종택을 방문하고 (하회에서) 182
謁陶山書院 (알도산서원) | 도산서원 참배 184
登雪岳山 (등설악산) | 설악산에 올라 186
濟州道與友吟 (제주도여우음) | 제주도에서 벗과 함께 읊다 188
百濟古都吟 扶餘 (백제고도음 부여) | 백제 고도 부여에서 190
新都垣吟 (신도원음) | 신도안에서 시를 읊다 192
公州吟 (공주음) | 공주에서 읊다 194
?鏡寺吟 (보경사음) | 보경사에서 196
訪表忠寺 (방표충사) | 표충사를 찾아서 198
過影池懷吟 (과영지회음) | 영지를 지나며 회포를 읊다 200
登俗離山大法寺 (등속리산대법사) | 속리산 법주사를 찾아서 202
浦?海中 (포울해중) | 포항에서 울릉도로 가는 바다에서 204
乘船環?島全域 (승선환울도전역) |
배를 타고 울릉도 주위를 돌다 206
登鬱島仙聖峯 (등욱도선성봉) | 울릉도 성인봉에 올라 208
彈琴秋色 在忠州 (탄금추색 재충주) | 충주 탄금대의 가을빛 210
龍潭亭友吟 (용담정우음) | 용담정에서 벗들과 함께 212

<경조시 敬弔詩>
和舍弟德根?辰韻 (하사제덕근수신운) |
아우 덕근의 생일에 화답함 214
和孫士隱 承昱 韻 蔚珍 (화손사은 승욱 운 울진) |
사은 손승욱에게 화답함 (울진) 216
會于崔東洲庄共吟 (회우최동주장공음) |
최동주의 별장에 모여 시를 읊다 218
和李南皐 在晩 寓日本 (화이남고 재만 우일본) |
일본에서 남고 이재만에게 답함 220
次鄭畏堂 中圭 ?宴韻 (차정외당 중규 수연운) |
외당 정중규 생일에 부침 222
次査丈 權平彦 相均 ?宴韻 (차사장권평언 상균 수연운) |
사장 평언 권상균 수연에 차운 224
朝陽詩社契帖韻 (조양시사계첩운) | <조양시사> 계첩에 운을 달다 226
敬和舍伯吟病韻 於釜山西獨病院 (경화사백음병운 어부산서독병원)
| 경화 사백을 문병하며 (부산 서독병원에서) 228
答朴志? 萬? 全北鎭安 (답박지노 만석 전북진안) |
지노 박만석에게 답함 (전북 진안군) 230
?別崔東洲(碩基)移居京城 (증별최동주(석기)이거경성) |
서울 가는 동주 최석기와 이별하며 232
與友登金烏山 (여우등금오산) | 벗들과 금오산에 올라 234
列車中逢友吟 (열차중봉우음) |
열차 속에서 벗을 만나다 (대구의 추교래와 전주의 이동채) 236
次李商白 康周 ?宴韻 (차이상백 강주 수연운) |
상백 이강주의 생일잔치에서 238
和李?軒 ?基韻 (화이눌헌 찬기운) |
눌헌 이찬기에게 담함 (면장 취임 시) 240
挽韓聾山 相奎 (만한롱산 상규) | 롱산 한상규씨를 애도함 242
挽李秉日 洛昌 (만이병일 낙창) | 병일 이낙창씨를 애도함 244
挽孫炳曄 (만손병엽) | 손병엽을 애도함 246
挽金丈文汝 奎晟 (만김장문여 규성) |
장인 문여 김규성님을 애도함 248
拜先考墓所感懷 (배선고묘소감회) |
아버님 묘소를 참배하고 감회에 젖어 250
先師明庵李先生挽 (선사명암이선생만) |
옛 스승 명암 이 선생님을 애도하며 252

부록 | 재전 문집 목록 등 254 조양시사> 경조시> 여행시> 생활시> 누정시> 전원시>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9791189271893.jpg


도서명 :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저자/출판사 : 루이스 캐럴, 새움
쪽수 : 224쪽
출판일 : 2019-10-16
ISBN : 9791189271893
정가 : 13000

1 토끼 굴 아래로
2 눈물 웅덩이
3 코커스 경주와 긴 이야기
4 토끼가 꼬마 빌을 들여보내다
5 쐐기벌레의 충고
6 돼지와 후추
7 비정상 다과회
8 여왕의 크로케 경기장
9 가짜 거북 이야기
10 바닷가재 카드리유
11 누가 파이를 훔쳤나?
12 앨리스의 증언

역자의 말
루이스 캐럴 연보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