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연료전지 산업분야관련 주요기술동향분석 및 시장전망과 기업종합분석 또는 남쪽 대통령이라니
로즈
2025-04-13 19:20
3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0회 연결
본문
수소연료전지 산업분야관련 주요기술동향분석 및 시장전망과 기업종합분석

도서명 : 수소연료전지 산업분야관련 주요기술동향분석 및 시장전망과 기업종합분석
저자/출판사 : 비피기술거래 , 비피제이기술거래, 비티타임즈
쪽수 : 300쪽
출판일 : 2021-01-04
ISBN : 9791163452263
정가 : 400000
1. 서론 1
2. 수소산업 2
가. 수소산업 특징 2
나. 수소 에너지란? 4
다. 수소 산업 정의 6
3. 수소 경제 7
가. 수소 경제 개요 7
나. 수소 경제 배경 8
1) 환경규제 8
2) 성장성 11
3) 에너지 패권 12
다. 수소 경제 단계 15
1) 개화단계 16
2) 확산단계 28
라. 수소경제 Value Chain 34
1) 공급측면 35
2) 수요측면 39
4. 수소 산업 기술 41
가. 생산 분야 41
1) 수소 생산 방법 41
2) 수소정제기술 51
나. 이동 분야 53
다. 저장 분야 55
1) 액화수소 55
2) P2G 기술 56
라. 연료전지 58
1) 연료전지 기술 및 특징 65
마. 수소연료전지 71
1) 전해질 73
2) 촉매 75
3) 가스확산층, 분리판, 가스캣 76
4) 주변기기 77
바. 수소연료전지차 78
1) 자동차 산업의 수소 활용 장점 79
2) 수소연료전지차 핵심부품 81
3) 수소연료전지차 산업 생태계 83
4) 수소연료전지차 관련 정책 84
사. 고압 수소부품 87
1) 수소연료탱크 87
2) 수소공급장치 90
아. 수소 순환장치 94
5. 국내 수소산업 동향 96
가. 국내 수소산업 구조와 주요 특징 96
나. 한국 수소산업 생태계 분석 98
1) 한국 수소산업 생태계 평가 98
2) 한국 수소산업 정책 평가 99
다. 한국 수소산업의 발전 방향 101
라. 정부 정책방향 및 주요 과제 103
6. 수소 산업 시장 동향 104
가. 국내외 수소 산업 시장 104
1) 세계 시장 104
2) 국내 시장 108
나. 수소전기차 시장 110
다. 연료전지 시장 113
7. 수소 산업 동향 118
가. 국가별 동향 118
1) 미국 118
2) 독일 119
3) 일본 120
4) 중국 121
5) 한국 122
나. 국가별 정책 동향 124
1) 일본 124
2) 중국 126
3) 유럽 128
4) 미국 129
5) 한국 130
다. 국가별 수소전략 132
1) 일본의 수소전략 132
2) 중국의 수소전략 132
3) EU의 수소전략 134
4) 독일의 수소전략 134
5) 미국의 수소전략 135
6) 한국의 수소전략 135
8. 수소 관련 기업 동향 137
가. 수소 생산, 저장 분야 137
1) 해외기업 137
2) 국내기업 142
나. 수소 충전소 구축 분야 166
1) 해외기업 166
2) 국내기업 168
다. 연료전지 분야 174
1) 해외기업 174
2) 국내기업 179
라. 고압 수소부품 분야 216
1) 해외기업 216
2) 국내기업 218
9. 국내 특허 동향 245
가. 생산분야 245
나. 이동분야 254
다. 저장분야 260
라. 수소연료전지 268
마. 수소연료전지차 276
10. 참고문헌 280
남쪽 대통령이라니

도서명 : 남쪽 대통령이라니
저자/출판사 : 김영우, 북앤피플
쪽수 : 312쪽
출판일 : 2021-12-31
ISBN : 9788997871544
정가 : 18000
〈책을 펴내면서〉 거대한 운명의 갈림길에 서 있다는 위기의식
〈프롤로그〉 역사를 보라
제1부 굴종 외교의 탄생 배경
1. 586 친북 운동권의 사이비(似而非) 진보주의
2. 전대협 의장 출신 임종석, 청와대 비서실장이 되다
3. 전대협 586 운동권 출신들의 청와대 위장취업?
4. 북한과의 체제전쟁에서 이겼다는 착각
5. 북한 김정은에 대한 심각한 오해와 낭설
제2부 “나는 남쪽 대통령입니다”
6. “나는 남쪽 대통령입니다”
7. 6·25전쟁에는 침략자가 없다?
8. 김여정의 독설이 러브레터인가!
9. 가짜 평화와 반(反)통일의 길을 가는 문 정권
10. 한국의 방송장비가 북한 미사일 부품?
11.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선의로 포장된 지옥으로 가는 길
12. 북한 입맛에 맞는 문재인 ‘외교안보 4인방’
13. 육군 소위로 임명된 군견 헌트
14. ‘안보’는 안 보이고 ‘경계’는 찢어진 우산
제3부 대중(對中) 굴종 외교의 실상
15. 친중(親中) 사대의 늪에 빠진 문 정권
16. 중국에 잠식당하는 대한민국
17. 대중국 ‘3불(不) 약속’은 안보주권 포기각서
18. 투키디데스 함정에 빠진 미-중, 우리의 운명은?
제4부 흔들리는 한미동맹과 한미일 3각 안보협력체제
19. ‘민족종교’에 빠져 한미동맹 흔드는 문재인 정권
20. 북한의 ‘갓끈 전술’에 무너지는 한미일 3각 안보협력체제
21. 잊을 수 없는 그 날, 아! 천안함
22. “폭탄이 떨어져도 평화 외쳐야…” 이인영은 몽상부 장관?
23. 백선엽과 박원순을 차별한 문재인 대통령
제5부 다시 돌아보는 국방위원장 시절
24. 당론이냐 양심이냐, 이것이 문제로다
25. 사드 배치에 대한 국방위원장의 생각은 이렇습니다
26. 북한 무인기에 무방비로 노출된 대한민국의 영토
27. 북한 김정은이 마약을 한다고?
28. 전직 국방장관이 전쟁기념관 관장을 맡는 나라
29. 역대 주한미군 사령관들이 입을 연 이유는?
30. 오사마 빈 라덴을 바다에 수장시킨 미 항공모함 칼빈슨호
31. 북(北) 화성-15형 발사, 유럽 NATO마저 전율 느껴
32. 하와이 ‘USS 아리조나’ 군함의 검은 눈물
33. 〈천안함 희생 장병들께 바치는 국방위원장 방미 보고의 글〉
제6부 MZ세대의 통일의식
34 김정은을 향한 이준석의 시원한 한마디
35. 굳이 통일을? vs. 우리의 소원은 통일!
36. 민족주의 통일관 vs. 자유주의 통일관
37. 우리 정치 훤히 들여다보는 북한, 이번 대선에서는 어떻게 개입할까?
38. 문재인보다 더 위험한 이재명의 안보 포퓰리즘
39. 북한 눈치 보기 끝판왕 ‘북한 가짜뉴스 모니터링 예산’
〈에필로그〉 통일보다는 북한의 ‘정상 국가화’가 먼저다
문재인 정부 외교·안보 굴욕 사건일지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