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실의 후궁 또는 코로나 시대의 새로운 통치성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조선왕실의 후궁 또는 코로나 시대의 새로운 통치성

로즈
2025-04-13 19:20 2 0

본문




조선왕실의 후궁
9788942390847.jpg


도서명 : 조선왕실의 후궁
저자/출판사 : 이미선, 지식산업사
쪽수 : 536쪽
출판일 : 2021-01-05
ISBN : 9788942390847
정가 : 30000

서문 ● 5
일러두기 ● 16

제Ⅰ장 서론 ● 17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_19
2. 선행 연구 현황 _22
3. 연구 방법 및 이용 자료 _28

제Ⅱ장 내명부內命婦 직제의 확립과 후궁 현황 ● 35
1. 후궁제의 연원과 개념 _37
1) 후궁의 연원 _37
2) 후궁 칭호와 용례 _63
3) 후궁 유형에 따른 용어 검토 _82
4) 후궁의 범주 _97
2. 《경국대전經國大典》 내명부 규정의 정립 _112
1) 1428년(세종 10) 내관 제도의 정비 _113
2) 《경국대전》의 내명부 규정과 의미 _132
3. 국왕별 후궁 현황 _141

제Ⅲ장 태조~성종조 숙의淑儀 간택 관행의 성립과 지위 ● 151
1. 간택 후궁의 숙의 봉작 관행과 가문 배경 _153
1) 왕비예비자로서의 숙의 _159
2) 간택 후궁의 출신가문 및 가격家格 _180
2. 비간택 후궁의 신분과 내명부직 제수 _200
1) 입궁과 신분의 다양화 _200
2) 작위와 승급 부여의 특징 _215
3. 숙의 간택에 따른 후궁 작위의 봉작 방식 _223

제Ⅳ장 중종~숙종조 간택 숙의의 위상 변화와 내명부직 상향 제수 ● 229
1. 중종의 계비 간택과 간택 후궁과의 지위 구분 _231
1) 중종반정 이후 숙의 간택 _232
2) 후궁 출신의 계비 선정 _236
3) 외부 간택에 의한 계비 선정 _239
4) 외부 간택에 의한 계비 선정의 정례화 _245
2. 간택 숙의의 입궁 경위와 가문 _255
1) 계사繼嗣 확대를 위한 숙의 간택의 시행 _255
2) 숙의 간택자의 가문과 가격 _273
3. 후궁의 내명부직 상향 승급 _290
1) 간택 후궁의 1품직 승작 _290
2) 비간택 후궁의 직위 상향_294
4. 비간택 후궁 신분의 확대와 정치 관여 _302
1) 비간택 후궁의 입궁 경로 _302
2) 비간택 후궁의 정치 참여 _320
5. 숙종대 후궁의 정비正妃 승격 금지 _343
1) 희빈 장씨의 왕비 승격 _343
2) 희빈 사사賜死 후 후궁의 정비 승격 금지 _352

제Ⅴ장 영조~고종조 빈 간택으로의 전환과 국왕 사친私親의 추숭 ● 361
1. 정치적 이해관계에 의한 후궁 간택과 친정 가문 _363
1) 정조의 원빈元嬪 간택과 홍국영洪國榮 _369
2) 정조의 화빈和嬪 간택과 윤창윤尹昌胤 _378
3) 정조의 수빈綏嬪 간택과 박준원朴準源 _382
4) 헌종의 경빈慶嬪 간택과 김재청金在淸 _389
2. 궁인 출신 비간택 후궁과 궁인 신분의 규정과 실제 _395
1) 《속대전續大典》의 내수사 노비로 한정된 법 제정 _395
2) 비간택 후궁의 궁인 신분 고정 _399
3. 내명부직의 상향 제수 경향과 사친 후궁 궁원제宮園制의 시행 _416
1) 내명부직 상향 제수 양상 _416
2) 사친 후궁 궁원제의 시행 _435

제Ⅵ장 결론 ● 455

부록

【부록 1】 태조~성종조 후궁 일람표 _468
【부록 2】 태조~성종조 후궁의 가문 _477
【부록 3】 연산군~숙종조 후궁 일람표 _489
【부록 4】 연산군~숙종조 후궁의 가문 _496
【부록 5】 영조~순종조 후궁 일람표 _506
【부록 6】 영조~순종조 후궁의 가문 _510

참고문헌 ● 512
찾아보기 ● 526

표 목차

【표 Ⅱ-1】 중국 역대 왕조 후궁제 _54
【표 Ⅱ-2】 고려 후비 호칭의 시기별 변화 _60
【표 Ⅱ-3】 당唐의 내관·궁관과 고려의 내직內職 _60
【표 Ⅱ-4】 조선시대 간택 후궁 _100
【표 Ⅱ-5】 조선시대 비간택 후궁 _108
【표 Ⅱ-6】 입궁 경로가 미확인된 후궁 _110
【표 Ⅱ-7】 1397년(태조 6)~1428년(세종 10) 국왕 내관제도 개정안 _128
【표 Ⅱ-8】 1430년(세종 12) 동궁 내관제도 개정안 _131
【표 Ⅱ-9】 1428년(세종 10)~《대전회통》 국왕 내관제도 개정안 _134
【표 Ⅱ-10】 1430년(세종 12)~《대전회통》 동궁 내관제도 개정안 _135
【표 Ⅱ-11】 입궁 경로에 따른 조선시대 후궁 현황 _143
【표 Ⅲ-1】 조선 초기 국왕과 왕비의 생몰년 _166
【표 Ⅲ-2】 후궁 가계의 등제登第와 관품 _183
【표 Ⅲ-3】 태조~성종조 후궁의 성관姓貫 _187
【표 Ⅲ-4】 태조~성종조 후궁의 가문 _189
【표 Ⅲ-5】 왕실과 후궁 집안 간의 왕실연혼 현황 _196
【표 Ⅲ-6】 태조~성종조 비간택 후궁의 이력 _201
【표 Ⅲ-7】 비간택 후궁의 봉작과 지위 변화 _217
【표 Ⅲ-8】 간택 후궁의 봉작과 지위 변화 _224
【표 Ⅳ-1】 조선 중기 국왕과 왕비의 생몰년 _245
【표 Ⅳ-2】 조선 후기 국왕과 왕비의 생몰년 _255
【표 Ⅳ-3】 간택 후궁 가계의 등제登第와 관품 _274
【표 Ⅳ-4】 연산군~숙종조 후궁의 성관姓貫 _281
【표 Ⅳ-5】 연산군~숙종조 후궁의 가문 _282
【표 Ⅳ-6】 왕실과 후궁 집안 간의 왕실연혼 현황 _287
【표 Ⅳ-7】 간택 후궁의 봉작과 지위 변화 _290
【표 Ⅳ-8】 비간택 후궁의 봉작과 지위 변화_295
【표 Ⅳ-9】 연산군~숙종조 비간택 후궁의 이력 _302
【표 Ⅴ-1】 영조~순종조 비간택 후궁의 이력 _400
【표 Ⅴ-2】 간택 후궁의 봉작과 지위 변화 _421
【표 Ⅴ-3】 비간택 후궁의 봉작과 지위 변화 _424
【표 Ⅴ-4】 조선 후기 왕위계승자의 모계와 계승 문제_438

도판 목차

【도판 Ⅱ-1】 심양고궁 안 청녕궁 _51
【도판 Ⅱ-2】 현덕왕후 추상시호 금보 _103
【도판 Ⅱ-3】 《대전회통》 _140
【도판 Ⅲ-1】 건원릉 _154
【도판 Ⅲ-2】 의정공주 묘역 _158
【도판 Ⅲ-3】 상침 송씨의 비문과 무덤 _210
【도판 Ⅲ-4】 신빈 김씨의 묘역과 경모단 _222
【도판 Ⅳ-1】 장경왕후 상휘호 금보 _238
【도판 Ⅳ-2】 백자청화 숙의 윤씨 묘지 _256
【도판 Ⅳ-3】 백자청화 숙의 정씨 묘지 _266
【도판 Ⅳ-4】 백자청화 귀인 김씨 묘지 _317
【도판 Ⅳ-5】 회묘와 가봉태실비 _323
【도판 Ⅳ-6】 성묘와 광해군과 문성군부인 유씨의 무덤 _329
【도판 Ⅳ-7】 경운궁의 석어당 _334
【도판 Ⅳ-8】 소경원과 영회원 _337
【도판 Ⅳ-9】 장형의 신도비와 무덤 _345
【도판 Ⅳ-10】 최효원의 무덤과 증직 교지 _352
【도판 Ⅳ-11】 대빈궁과 대빈묘 _358
【도판 Ⅴ-1】 영빈묘와 《숙의가례청등록》 _366
【도판 Ⅴ-2】 구 인명원 터와 원빈 홍씨 무덤 출토 화장품 그릇 _374
【도판 Ⅴ-3】 창경궁 집복헌과 휘경원 _384
【도판 Ⅴ-4】 경빈 김씨 간빈책봉교명 _392
【도판 Ⅴ-5】 〈소훈이씨제문〉과 수길원 _402
【도판 Ⅴ-6】 백자청화 영빈 이씨 묘지와 명기 _403
【도판 Ⅴ-7】 귀인 양씨와 덕혜옹주 _414
【도판 Ⅴ-8】 《경빈가례시가례청등록》과 〈동뢰연배설도〉 _422
【도판 Ⅴ-9】 〈소훈이씨교지〉와 〈소원이씨교지〉 _426
【도판 Ⅴ-10】 러시아 공사관과 《순비책봉의궤》 _432
【도판 Ⅴ-11】 육상궁 _443
【도판 Ⅴ-12】 〈영빈이씨증시교지〉와 〈의열묘도〉 _445




코로나 시대의 새로운 통치성
9791168012387.jpg


도서명 : 코로나 시대의 새로운 통치성
저자/출판사 : 고김주희, 한국학술정보
쪽수 : 312쪽
출판일 : 2021-12-31
ISBN : 9791168012387
정가 : 17000

시작하는 글: 푸코의 통치성 연구와 우리 시대의 통치성

01 투명성
1. ‘투명한 정부’라는 이상
2. 정보기술 혁명과 통치성의 변화
3. 개인정보와 프라이버시
4. 판옵티콘과 코로나-19 방역 시스템

02 개방성
1. 세계화의 단계와 헤게모니 국가
2. 미국과 중국의 코로나 대응
3. K-방역과 경제성장률
4. 세계화의 재편: 디지털 세계화와 그린 뉴딜
5. 감금장치와 집단감염: 요양시설과 교정시설

03 시민성
1. 시민사회의 탄생과 발전
2. 코로나 시대의 시민사회
3. 로컬 거버넌스의 대두
4. 신자유주의 이후: 기업가에서 시민으로

04 연결성
1. 초연결의 시대
2. 촛불집회와 온라인 네트워크
3. 네트워크 사회와 고독사
4. 도시 통치술의 변천과 스마트도시의 구상

05 안전
1. 자유주의와 안전장치
2. 신자유주의와 안전장치의 변형: 금융화, 민영화, 외주화
3. 세월호 사건과 신자유주의적 통치성의 위기
4. 코로나 시대의 위험과 안전

06 자유
1. 자유주의와 신자유주의의 자유 개념
2. 코로나 시대 방역국가의 역할과 자유의 제한
3. 진실의 문제와 표현의 자유: 인포데믹
4. 종교의 자유와 집단감염: 신천지와 사랑제일교회

마치는 글: 신자유주의 이후 새로운 통치성의 모색
참고 문헌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