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권. 5 또는 대입 편입 논술에 꼭 나오는 핵심 개념어 110
로즈
2025-04-13 19:20
3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0회 연결
본문
황권. 5

도서명 : 황권. 5
저자/출판사 : 천하귀원, 아르테.arte.
쪽수 : 554쪽
출판일 : 2021-01-22
ISBN : 9788950992279
정가 : 22000
제28장 여인 삼단 논법 _9
제29장 환희 찾기 _27
제30장 소문에 대한 기록 _46
제31장 화봉 _65
제32장 납치와 약탈 _87
제33장 다시 만난 옛사람 _107
제34장 신경 쓰인다 _121
제35장 소식통 열람기 _141
제36장 그만 씻고 자거라 _161
제37장 베어내다 _180
제38장 밤의 대화 _193
제39장 지독한 사랑 _215
제40장 사랑싸움 _234
제41장 둥근 달 아래 모여 _257
제42장 살해 _287
제43장 여황제 _317
제44장 이별 _351
제45장 달빛에 젖은 배꽃 _373
제46장 별과 달을 그대에게(星月神?) _388
제47장 파파야 선물 _407
제48장 이렇게 가까운데, 이리도 멀구나 _428
제49장 기울어진 강 _446
제50장 허를 찌른 전략 _466
제51장 첨예한 대립 _487
제52장 구혼 _509
제53장 중매 _529
번외편 이름 대란 _549
대입 편입 논술에 꼭 나오는 핵심 개념어 110

도서명 : 대입 편입 논술에 꼭 나오는 핵심 개념어 110
저자/출판사 : 김태희, 지상사
쪽수 : 512쪽
출판일 : 2021-01-11
ISBN : 9788965022961
정가 : 27000
프롤로그 이 책으로 이렇게 공부하라
이 책을 읽기에 앞서 논술 공부를 위한 개념 사용설명서
실전 사례 개념 이해와 개념적 인식이 중요한 이유
Part 1
교과서에 실린, 반드시 비교하며 공부해야 할 핵심 이론과 쟁점 35
001. 자유의지와 결정론
002. 소극적 자유와 적극적 자유
003. 자유와 평등
004. 결과적 정의와 절차적 정의
005. 공정(公正)_ 분배 정의와 소유권적 정의
006. 경제적 효율성과 사회적 형평성
007. 성장과 분배
008. 분배 정의를 보는 세 가지 입장
009. 인권과 복지
010. 사회보장제도
011. 시민불복종
012. 인권 및 사회 정의와 관련한 쟁점
013. 사회제도
014. 공동선
015. 국가 발생의 근원으로서의 사회계약론
016. 민족과 민족정체성
017. 자민족중심주의와 세계주의
018. 자아 정체성
019. 세계화의 쟁점
020. 사회갈등
021. 참여 민주주의
022. 목적론적 윤리설과 의무론적 윤리설
023. 시민윤리
024. 문화 이해의 관점과 문화변동 양상
025. 동서양 전통윤리의 현대적 의의와 세계윤리
026. 현대 정치ㆍ사회사상의 쟁점
027. 사회·문화 현상을 설명하는 다양한 이론
028. 사회·문화 현상의 연구방법과 사회문제를 보는 시각
029. 사회화를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
030. 정보사회의 전망_ 낙관론과 비관론
031. 희소성의 원칙과 경제적 선택_ 기회비용, 비용과 편익
032. 시장실패와 정부실패_ 불완전 경쟁, 외부효과, 공공재
033. 과시소비와 모방소비
034. 경제성장과 삶의 질
035. 소득불평등도 측정 방법_ 로렌츠곡선, 지니계수, 10분위 분배율
Part 2
교과서에 실린 핵심 개념어와 주제어 20
036. 자유의 역설과 자유로부터의 도피
037. 문화와 문화다양성
038. 민족문화
039. 대중매체와 대중문화
040. 사회실재론과 사회명목론
041. SNS_ 소통의 새로운 메커니즘
042. 사회 불평등
043. 집단사고와 집단지성
044. 이데올로기
045.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046. 일탈행동
047. 생명윤리와 환경윤리
048. 사실판단, 가치판단, 도덕판단
049. 정보의 비대칭성
050. 가치
051. 사용가치와 교환가치
052. 지식의 가치중립성
053. 앤서니 기든스의 제3의 길
054. 포스트모더니즘과 구조주의
055. 인간과 자연, 인간과 동물
Part 3
논술문제로 자주 출제되는 철학적 개념 35
056. 인간 본성에 대한 이해(1)_ 역사 속의 인간관_ 합리적ㆍ사회적 본성 vs. 충동적ㆍ이기적 본성
057. 인간 본성에 대한 이해(2)_ 진화생물학적 관점_ 이기적 유전자 vs. 이타적 유전자 vs. 호혜적 이타주의
058. 인간 본성에 대한 이해(3)_ 도덕적 관점에서의 인간 본성에 대한 물음
059. 인간 행동의 동기_ 경제학적ㆍ심리학적 관점에서의 건강한 이기심과 제한된 합리성
060. 일원론과 이원론_ 인간과 세계를 인식하는 두 관점
061. 근대 합리성 비판_ 비판적 이성과 합리성의 복원
062. 인식의 상대성_ 주관과 객관, 절대와 상대, 보편과 특수
063. 이미지의 배반_ 시뮬라크르
064. 도구주의, 기술결정론, 사회결정론_ 과학기술을 보는 시각
065. 역사 인식_ 사실과 해석
066. 미학_ 미학의 기본 개념과 미적 가치판단
067. 미메시스_ 모방의 본질
068. 신화_ 허구적 이야기인가, 근원적 진실인가
069. 에토스, 파토스, 로고스_ 상대방을 설득하는 힘
070. 언어와 사고_ 언어가 우선하는가, 사고가 앞서는가
071. 소외_ 인간이 물화되는 현상
072. 실존_ 실존은 존재에 우선한다
073. 다문화주의_ 멜팅 팟과 샐러드 볼
074. 아비투스_ 계층적 취향은 구조적이다
075. 프레임_ 합리성을 제한하는 인식의 틀
076. 지식과 권력_ 은폐된 권력의 세련된 지배
077. 행복_ 니코마코스의 윤리학
078. 사회적 약자_ 소수자 의견이 존중되어야 하는 이유
079. 공유의 비극_ 사익과 공익의 충돌
080. 구조적 폭력_ 폭력은 정당화될 수 있는가
081. 타자의 윤리_ 타인이 나를 만든다
082. 오리엔탈리즘_ 왜곡된 이데올로기
083. 반증 가능성_ 비판적 합리주의
084. 과학혁명의 구조_ 패러다임과 정상과학
085. 불안_ 자의식 상실을 걱정하는 심적 강박
086. 공감_ 사회화의 기본 토대
087_ 욕망_ 타자의 욕망에 대한 모방 욕구
088. 기억_ 내 안의 타자
089. 서양 철학사의 흐름
090. 장자_ 우주와 인생의 깊은 뜻
Part 4
논술문제로 자주 출제되는 심리 실험 및 추론, 경제ㆍ수리와
관련한 주요 개념과 이론 20
091. 인간의 제한된 합리성을 설명하는 행동경제학ㆍ인지심리학 용어 설명
092. 죄수의 딜레마 게임
093. 사슴사냥 게임
094. 최종제안 게임
095. 전망 이론
096. 프레이밍 효과
097. 분배의 공정성과 관련한 행동경제학적 실험
098. B. F. 스키너의 보상과 처벌에 관한 행동주의 이론
099. 스탠리 밀그램의 충격 기계와 권위에 대한 복종 실험
100. 레온 페스팅거의 인지부조화 이론
101. 로젠탈의 피그말리온 효과 실험
102. 할인율의 개념
103. 이자율의 계산_ 현재가치와 미래가치
104. 명목 GDP와 실질 GDP
105. 대푯값_ 평균값, 중앙값, 최빈값
106. 상관관계와 인과관계
107. 이혼율_ 조이혼율, 유배우이혼율, 이혼비
108. 기대수명과 기대여명
109. 귀납과 연역
110. 범주화
Part 5
논술 지문에 자주 나오는 용어 110
철학의 분야①: 형이상학 / 철학의 분야②: 인식론 / 철학의 분야③: 가치론 / 철학의 분야④: 미학 /
자연철학 / 이데아계와 현상계 / 형상과 질료
목적론 / 대륙 합리론과 영국 경험론 / 도덕법칙 / 선의지 / 관념론 / 주인도덕과 노예도덕 /
헤겔의 인정 투쟁과 주인-노예의 변증법 / 공평한 관찰자 / 무의식 / 철학적 관점에서의 의식 /
감각과 지각 / 인식 / 직관 / 실재 / 실체 / 지식 / 자아 / 이성
집단 무의식 / 정신철학 / 회의주의 / 현상학 / 기투와 피투 / 한계상황 / 도구 이성 / 전체주의 /
즉자존재와 대자존재 / 몸의 철학 / 구조주의 / 브리콜라주 / 포스트구조주의 / 이항대립 / 아우라
실증주의 / 프래그머티즘 / 도구주의 / 분석철학 / 과학철학 / 논리실증주의 / 물리주의 / 행동주의 /
기능주의 / 서양 윤리 사상의 흐름과 특징 / 상대주의 윤리와 보편주의 윤리 / 현대 윤리학의 분야 /
행위 공리주의와 규칙 공리주의 / 메타 / 딜레마 / 안티노미
아나키즘 / 중국의 철학 사상 / 제자백가 / 유가 / 인 / 예 / 노장사상 / 무위자연 / 소국과민 / 성리학 /
이기이원론 / 심성론 / 격물치지 / 지행합일 / 사단칠정 논쟁 / 예술의 본질 / 아름다움(미)
예술을 이끄는 두 유형: 아폴론형과 디오니소스형 / 미의식 / 미적 범주 / 오브제 / 키치 / 텍스트 /
콘텍스트 / 과학을 바라보는 두 시각: 본질주의 과학관과 상대주의 과학관 / 목적론과 기계론 /
환원주의/ 인공 지능 / 포렌식 마킹 / 알고리즘 / 블록체인 / 빅데이터 / 법의 합목적성과 법적 안정성 /
사법과 공법 / 자유주의
공동체주의 / 젠트리피케이션 / 역감시 / 알 권리와 잊힐 권리 / 위험사회 / 피로사회 / 상대적 발탈감 /
기저효과 / 승수효과와 구축효과 / 분식회계 / 구성적 공동체 / 자유민주주의 / 중우정치 / 정치적 무관심 /
헤게모니 / 가짜 뉴스
내부 고발 / 링겔만 효과 / 치킨게임 / 콤플렉스 / 조하리의 창 / 군중심리 / 동조행동
찾아보기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