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의 보훈과 민주주의 또는 왕릉 가는 길
로즈
2025-04-13 19:20
2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0회 연결
본문
아시아의 보훈과 민주주의

도서명 : 아시아의 보훈과 민주주의
저자/출판사 : 서운석 , 이경묵 , 심주형 , 이영진 , 전수미 ,, 모시는사람들
쪽수 : 232쪽
출판일 : 2021-12-31
ISBN : 9791166290770
정가 : 15000
서문: 보훈, 우리 모두의 것이기 위하여
한국의 보훈과 민주주의: 민주 영역의 확장을 위하여_ 서운석
1. 들어가는 글
2. 민주 관련 보훈 기념행사
3. 우리 사회 민주의식과 관련한 보훈 원칙
4. 민주 관련 보훈정책 발전 방향
5. 나오는 글
애국, 보훈 그리고 민주주의: 인도네시아와 한국_ 이경묵
1. 서론
2. 의지미래의 대상으로서 보훈
3. 사례 1: 인도네시아에서 국가 만들기
4. 사례 2: 포천 ‘독수리유격대’를 통해 본 지연된 보훈
5. 결론: 애국/보훈의 지속가능성
“공이 있는 사람들의 은혜를 알자”: 베트남 ‘유공자’ 보훈정책 변화의 역사_ 심주형
1. 들어가며
2. 베트남 보훈정책의 역사적 형성과 변화
3. 결론
‘영령(英靈)’에서 ‘평화의 초석’으로: 전후 일본의 위령과 일본유족회의 탄생_ 이영진
1. 들어가며
2. 전시기 일본의 영령 제사와 유족
3. ‘전국전몰자추도식’: 일본유족회의 탄생과 전후 위령의 완성
4. 국가는 전쟁 피해자에게 어떻게 보상할 것인가: 은급 및 원호제도를 둘러싼 물음
5. 조국을 위해 목숨을 바친다는 것
방어적 민주주의와 남한의 보훈_ 전수미
1. 방어적 민주주의에 대한 고찰
2. 방어적 민주주의와 자유민주적 기본질서
3. 방어적 민주주의와 남한의 보훈
4. 맺음말
국가보훈 속 ‘민주’ 영역의 고찰_ 임수진
왕릉 가는 길

도서명 : 왕릉 가는 길
저자/출판사 : 신정일, 쌤앤파커스
쪽수 : 516쪽
출판일 : 2021-01-04
ISBN : 9791165342814
정가 : 18000
시작하며_ 세상에서 아름다운 숲길, 조선 왕릉 길이 그대를 부른다
책을 읽기 전에_ 조선의 왕릉은 어떻게 조성되었는가?
1. 사을한 산기슭에 버려져 잊힌 조선 최초의 왕릉 : 신덕왕후_정릉
2. 비운의 왕 크고 아름다운 무덤에 들다 : 경종ㆍ선의왕후_의릉
3. 지아비 곁에 묻히고 싶었으나 : 문정왕후_태릉
4. 눈물의 왕 끝내 선정의 뜻을 펴지 못하고 : 명종ㆍ인순왕후_강릉
5. 동구릉의 시작이자 중심 : 태조_건원릉
6. 세종의 아들, 단종의 아버지 : 문종ㆍ현덕왕후_현릉
7. 실패한 왕은 능도 초라했으니 : 선조ㆍ의인왕후ㆍ인목왕후_목릉
8. 예송으로 시작해 예송으로 마치다 : 현종ㆍ명성왕후_숭릉
9. 역모와 반란의 시대를 잠재우다 : 영조ㆍ정순왕후_원릉
10. 성군을 꿈꿨으나 스물세 살에 쓰러지다 : 헌종ㆍ효현왕후ㆍ효정왕후_경릉
11. 못다 이룬 왕업을 이루고 함께 눕다 : 문조ㆍ신정왕후_수릉
12. 구중궁궐 층층시하에서 : 단의왕후_혜릉
13. 예송 논쟁의 중심에 서서 : 장렬왕후_휘릉
14. 유연하고 강한 성군의 다스림 : 성종ㆍ정현왕후_선릉
15. 다스려진 때는 적고 혼란한 때가 많았으니 : 중종_정릉
16. 성군이 낳은 폭군 : 연산군ㆍ거창군부인 신씨_ 연산군묘
17. 왕실 원묘 이야기 1 : 순헌황귀비_영휘원 / 원손 이진_ 숭인원
18. 명과 암이 너무 뚜렷한 왕 : 태종ㆍ원경왕후_헌릉
19. 세도 정치의 희생양 : 순조ㆍ순원왕후_인릉
20. 만고의 외로운 혼이 누운 곳 : 단종_장릉
21. 조선 왕릉의 모범 : 세종ㆍ소헌왕후_영릉
22. 설욕의 그날을 꿈꾸며 : 효종ㆍ인선왕후_영릉
23. 망국의 황제 : 고종ㆍ명성황후_홍릉
24. 조선의 마지막 왕릉 : 순종ㆍ순명효황후ㆍ순정효황후_유릉
25. 왕실 원묘 이야기 2 : 의민황태자ㆍ의민황태자비 _영원 / 덕혜옹주_덕혜옹주묘 / 회은황세손_회인원 / 의친왕ㆍ의친왕비_의친왕묘
26. 비운의 왕비의 자비로운 능 : 정순왕후_사릉
27. 성군인가, 폭군인가? : 광해군ㆍ문성군부인 유씨_광해군묘
28. 왕위 찬탈의 굴레 : 세조ㆍ정희왕후_광릉
29. 역사가 슬픈 것인가, 사람의 생이 슬픈 것인가? : 단경왕후_온릉
30. 파주 삼릉에 잠든 사람들 : 장순왕후_공릉 / 공혜왕후_순릉 / 진종ㆍ효순왕후_영릉
31. 사람은 가도 역사는 남는다 : 인조ㆍ인열왕후_파주 장릉
32. 아들의 지극한 사모곡 : 숙빈 최씨_소령원
33. 아들 덕에 왕이 되다 : 원종ㆍ인헌왕후_김포 장릉
34. 서삼릉의 슬픈 내력 : 장경왕후_희릉 / 인종ㆍ인성왕후_효릉 / 철종ㆍ철인왕후_예릉
35. 서오릉이 품은 이야기 : 덕종ㆍ소혜왕후_경릉/예종ㆍ안순왕후_창릉 / 정성왕후_홍릉
36. 죽어서도 여러 여인과 함께 있으니 : 숙종ㆍ인현왕후ㆍ인원왕후_ 명릉/인경왕후_익릉
37. 효심이 만든 왕릉 : 장조ㆍ헌경왕후_융릉
38. 그리운 아버지 곁에 잠들다 : 정조ㆍ효의왕후_건릉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