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풍수교과서 또는 보훈, 평화로의 길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사주·풍수교과서 또는 보훈, 평화로의 길

로즈
2025-04-13 19:20 5 0

본문




사주·풍수교과서
9791190046190.jpg


도서명 : 사주·풍수교과서
저자/출판사 : 황국현, 뱅크북
쪽수 : 644쪽
출판일 : 2021-01-13
ISBN : 9791190046190
정가 : 40000

[사주, 궁합, 이름, 상호, 택일, 부적]
제1장, 왜! 사주를 알아야 하는가 14
제2장, 왜! 사주풀이는 어렵게만 하는가 18
제3장, 사주 공부에 앞서 알아야 될 내용은 19
제4장, 독자를 위하여 이렇게 전개했습니다 23
제5장, 사주를 세우자 25
1. 사주 세우는 방법 26
2. 절기(節氣)·윤월(閏月) 때 사주 세우기 33
3. 오행(五行) 적용 37
4. 지장간(支藏干) 적용 40
5. 육친(六親) 적용 47
6. 길흉성(吉凶星) 적용 57
7. 대운(大運)·세운(歲運) 세우기 110
제6장, 용신(用神)으로 삶의 흐름을 알자 117
1. 용신(用神)과 12운성(포태법)을 알자 118
2. 용신(用神)을 찾자 123
■용신 찾기의 선행 조건【오행의 작용하는 힘, 사주 구성에서 작용하는 힘, 용신을 선택하는 순서는 천간(天干), 지지(地支), 지장간
(支藏干)순이다, 일간(日干)은 용신(用神)으로 사용할 수 없는가】 ■억부법(抑扶法) 용신 찾기【억부법 용신 찾기〈1〉, 억부법 용신 찾
기〈2〉, 억부법 용신 찾기〈3〉 : 지장간(支藏干)에서 용신 찾기, 억부법 용신 찾기〈4〉 : 합(合)으로 변화(化)되는 용신 찾기, 억부법 용신
찾기〈5〉】 ■조후법(調侯法) 용신 찾기 ■병약법(病藥法) 용신 찾기 ■격국(格局) 용신 찾기 ■부법(扶法), 통관(通關), 전왕(專旺) 용
신 찾기
3. 대운(大運)과 세운(歲運)으로 삶의 흐름을 판단하자 165
■대운(大運) 구성법 ■세운(歲運) 구성법 ■대운(大運)과 세운(歲運) 및 계절별 길흉(吉凶)판단 ■육친(六親)에서 대운(大運)과 세운
(歲運) 판단 ■길흉성(吉凶星) 적용에 따른 대운(大運)과 세운(歲運) 판단
제7장, 격국(格局)으로 사주 틀을 알자 185
1. 내격(內格) 186
■건록격(建祿格) ■양인격(陽刃格) ■식신격(食神格) ■상관격(傷官格) ■편재격(偏財格) ■정재격(正財格) ■편관격(偏官格) ■정
관격(正官格) ■편인격(偏印格) ■정인격(正印格) ■기타 내격
2. 외격(外格) 208
■곡직인수격(曲直印綬格) ■염상격(炎上格) ■가색격(稼穡格) ■종혁격(從革格) ■윤하격(潤下格) ■종재격(從財格) ■종살격(從
殺格) ■종아격(從兒格) ■종왕격(從旺格) ■종강격(從强格)■갑기합화토격(甲己合化土格) ■을경합화금격(乙庚合化金格) ■병신

합화수격(丙辛合化水格)■정임합화목격(丁壬合化木格) ■무계합화화격(戊癸合化火格)
3. 잡격(雜格) 213
■현무당권격(玄武當權格) ■육갑추건격(六甲趨乾格) ■육임추간격(六壬趨艮格) ■양간연주격(兩干連珠格) ■지지일기격(地支一
氣格) ■천원일기격(天元一氣格) ■간지동체격(干支同體格)■천간연주격(干支連珠格) ■지지연여격(干支連茹格) ■자오쌍포격(子
午雙包格) ■비천록마격(飛天祿馬格) ■양신성상격(兩神成象格)
제8장, 사주를 해석(解析)하자 222
■방향(方向) 판단 ■성격(性格)과 체형(體型) 판단 ■목소리 판단 ■정(情) 판단 ■정신력(精神力) 판단■오행(五行)과 운(運) 판단 ■
십간 희기론(喜忌論) 판단【금백수청(金白水淸) 혹은 금수상관(金水傷官), 목화통명(木火通明), 주류무체(周流無體)와 생생불식(生生
不息), 간여지동(干與支同)사주】 ■인성과대(印星過大) 사주【수다목부(水多木浮), 토다매금(土多埋金)사주】 ■양권(楊圈)과 음권(陰
圈) 판단 ■통근(通根) 그리고 득령(得令), 득지(得地), 득세(得勢)로 삶을 판단하자 ■좋은사주와 나쁜 사주 판단법 ■나는 어떤 사람
인가 ■조부(祖父)와 조모(祖母) 판단 ■부모(父母) 판단■부모선망(父母先亡) 판단 ■결혼운(結婚運)과 처(妻)와 남편(男便) 판단 ■
결혼(結婚), 이혼(離婚), 불륜(不倫)과 첩(妾) 판단 ■부부(夫婦) 나이(연상, 연하) 판단 ■상부(喪夫) 및 상처(喪妻) 판단 ■상부(喪夫),
상처(喪妻) 피하는 법 ■자녀(子女) 판단 ■형제(兄弟) 판단 ■장모(丈母), 장인(丈人) 판단 ■재물운(財物運) 판단 【식신생재(食神生
財), 식신제살(食神制殺), 제살태과(制殺太過), 편인도식(偏印倒食), 비겁(비견, 겁재)이 식상(식신, 상관)을 생(生)해 줄 때, 군겁쟁재
(群劫爭財)와 군비쟁재(群比爭財)사주】 ■관운(官運), 출세운(出世運), 승진운(昇進運) 판단【관인상생(官印相生), 살인상생(殺印相
生), 살인상생(殺印相生)이 성립되지 않는 사주, 법관(판사, 검사) 사주, 관살혼잡(官殺混雜), 살인상정(殺刃相停)과 양인가살(羊刃駕
殺), 관살병용(官殺竝用), 거관유살(去官留殺)과 거살유관(去殺留官), 거류서배(去留舒配), 명관과마(明官跨馬), 살장관로(殺藏官露)
와 관장살로(官藏殺露), 시상편관격(時上偏官格)과 시상정관격(時上正官格), 기타 혼잡(混雜) 사주, 신왕적살(身旺敵殺) 사주】 ■직
업자(職業者), 실업자(失業者) 판단 ■상업(장사)에서업종(業種) 판단 ■자신의 직업(職業) 판단 ■어떤 문제가 발생되어 찾아왔는가?
(운세와 래정법)■무속인(巫俗人), 도사(道士), 퇴마사(退魔師), 주술사(呪術師), 승려(僧侶), 신부(神父), 수녀(修女), 역술인(易術人),
종교인(宗敎人) 판단 ■자살(自殺), 단명(短命), 극빈(極貧), 승진(昇進)탈락자판단 ■중풍(中風)과 암(癌) 판단 ■우울증(憂鬱症), 치매
(癡?) 정신질환(精神疾患) 판단 ■취업(就業), 승진(昇進), 소송(訴訟), 사기(詐欺), 이사(移徙), 매매(賣買), 가난(家難), 금전손실(金錢
損失),암(癌), 질병(疾病), 수술(手術), 장수(長壽), 사망(死亡), 직장(職場) 이동(移動), 고부(姑婦) 갈등, 합격(合格) 운(運) 판단 ■종합
(綜合) 간명(看命)
제9장, 불운(不運)을 피하고 행운(幸運)을 찾자 373
■결혼, 이름, 번호 및 숫자, 직업, 택일, 개업, 건강에서 행운(幸運)을 잡는 방법 ■무자녀 득자얻는법 ■관재소송 해결법, 천도제(薦
度祭) 실행법, 물상처리 퇴마법, 우울증(憂鬱症), 불치병(정신질환) 및 무속인(巫俗人) 치유법, 삼재(三災)풀이 법 ■이성 및 정부 불륜
(내연관계) 퇴치법 ■건강, 시험, 승진, 사업, 재물, 결혼 운(運)을 잡는 법 ■12신살(十二神殺)로 본 부동산(不動産),거래처, 신생아(新
生兒), 결혼(結婚), 외도 방지, 금고(金庫), 천재(天才), 출세(出世), 재수생(再修生) 합격, 점포(店鋪), 상가(商家), 병(病)치료, 가족묘(家
族墓), 득남(得男)과 득녀(得女), 재물(財物) 성공 방향(方向) ■사주(행운) 도장
제10장, 건강(健康)은 사주(四柱)에서 찾는다 400
■오행(五行) 구성으로 본 건강(健康) 판단 ■신체 조건과 기(氣)로 본 건강 판단 ■태원사주(胎元四柱)로 본 건강(健康) 판단 ■[태원
사주(胎元四柱)를 찾자 수명(壽命)을 판단하자 ■오장(五臟)건강(健康)을 확인하자 ■육부(六腑) 건강(健康)을 확인하자 ■선천적 질
병(疾病)을 알고, 건강(健康)을 찾자 ■질병(疾病)이 들어오는 시기와 병명(病名)에 따른 치유법(治癒法)

제11장, 사주 프로그램이란 424
제12장, 찰떡궁합 만나기 425
〈겉궁합〉 ■띠로 보는 궁합 ■출생 계절(季節)로 보는 궁합 ■신체적 조건으로 보는 궁합 〈속궁합〉■결혼운(結婚運)으로 보는 궁합
■양권(楊圈), 음권(陰圈) 및 일주(日柱)로 보는 궁합 ■용신(用神)으로 보는 궁합 ■월지(月支)와 일간(日干) 통변성으로 보는 궁합 ■
납음오행(納音五行) 통변성으로 보는 궁합 ■오행(五行) 균형으로 보는 궁합 ■성격(性格)으로 보는 궁합 ■삼합(三合)으로 보는 궁
합■원진살(怨嗔殺)과 귀문관살(鬼門關殺)로 보는 궁합 ■간충(沖)과 지지충(沖)으로 보는 궁합 ■관살혼잡(官殺混雜), 정관 합(合)
등으로 보는 궁합
제13장, 자녀 이름 짓기 441
1. 이름 짓기 조건이 있다 442
2. 양(陽)과 음(陰)의 조화가 있다 445
3. 둘로 갈라지는 이름인가 446
4. 획수(劃數)의 조화가 있다 447
5. 발음 오행으로 조화를 맞춘다 449
6. 자원 오행과 조화를 맞춘다 453
7. 한글, 종교, 영문, 애완동물, 마스코트 이름은 454
8. 사주와 오행의 균형을 맞춘다 456
9. 삼원(三元) 오행(五行)은 456
10. 지충(支沖)과 피해야 될 한자를 확인한다 457
11. 상부(喪夫)와 상처(喪妻)의 묘(墓)관계를 확인한다 458
12. 불용 한자를 확인한다 459
13. 이름 사주 풀이로 확인한다 460
14. 개명 절차는 이렇게 한다 470
제14장, 좋은 상호, 로고, 숫자는 따로 있다 472
1. 일반적인 상호 짓기 472
2. 시장이나 마트 상호 짓기 474
3. 로고와 마스코트는 이렇게 만듭니다. 476
4. 자신의 행운 숫자가 있다. 477
제15장, 좋은날(택일) 잡기 479
1. 좋은날을 알자 479
2. 결혼(結婚) 날 잡기 481
3. 이사(移徙) 날 잡기 489
4. 주택 신축, 대들보 공사, 천정(우물)일 잡기 493
5. 조장(장담기), 파종(播種), 벌목일(伐木日) 잡기 494
6. 화장실(化粧室), 가축 축사 신축, 수리날 잡기 494

7. 제사(祭祀), 불공(佛供), 산신제(山神祭), 수신제(水神祭), 신사기도(神祀祺禱), 신상안치일(神
像安置日)일 잡기 495
제16장, 부적(符籍) 497
[풍수지리(風水地理)]
제1장, 수맥(水脈) 500
1. 외부에 나타난 수맥 판단법 500
2. 수맥 측정법 501
3. 수맥 차단법 503
제2장, 양택(집) 504
1. 본명궁 판단(자신에게 맞는 동사택과 서사택 선택법) 507
2. 동사택(東四宅)과 서사택(西四宅)이란 509
3. 가택구성법(家宅九星法) 510
4. 좋은 APT 층수와 사무실 층수는 510
5. 귀문방(鬼門方)이란 511
6. 대장군방(大將軍方)이란 511
7. 도로(道路)와 하천(河川)과의 관계 511
8. 택지 513
9. 건물 513
10. 대문(현관문) 514
11. 오행(五行) 건물, 지붕, 산(山)모양 515
12. 지붕 517
13. APT 517
14. 마당 518
15. 우물과 연못 518
16. 담장 519
17. 화장실 519
18. 정원수 520
19. 인테리어 풍수 520
■현관 ■거실 소파 그리고 안방과 침실(침대) ■주방 ■창문 ■계단 ■공부방 ■집(APT), 액자, 벽지, 소파, 장식품, 차량 색상 선택
법 ■구조가 맞지 않는 집(APT)의 인테리어 방법
20. 상가, 사무실, 공장 풍수 524
■상가 ■사무실 ■공장 ■12신살(十二神殺)로 본 성공(成功)과 실패(失敗) 방향(方向)
21. 택일(擇日) 526

제3장, 음택(조상묘) 528
1. 용(龍) 529
2. 혈(穴) 529
3. 사(砂) 529
4. 수(水) 530
5. 향(向) 531
제4장, 나경(패철)사용법 532
1. 처음 접하는 독자들에게 533
2. 동사택(東四宅)과 서사택(西四宅) 판단법 534
3. 가택구성법(家宅九星法) 판단법 536
4. 양택(陽宅)과 음택(陰宅)에서 나경 사용법 540
■1층(팔요황천살 확인) ■2층(팔요풍 확인) ■3층(삼합오행 확인) ■4층(지반정침 확인) ■5층(천산72룡 확인) ■6층(인반중침 확인)
■7층(투지60룡 확인) ■8층(천반봉침 확인) ■9층(120분금 확인)
제5장, 안장, 이장, 합장, 파묘(산신제, 제사, 제문) 573
1. 변화되는 장례문화 573
2. 입관, 하관, 안장일(安葬日) 잡기 573
3. 입, 하관시 피해야될 사람(회도살 판단법) 575
4. 취토(取土)576
5. 이장(移葬)시 주의점 577
6. 부부 합장(合葬), 쌍분(雙墳) 판단 578
7. 역장(逆葬) 및 묘지와 집의 방향 579
8. 장례(葬禮), 이장(移葬), 합장(合葬), 가족묘(家族墓), 납골당(納骨堂) 택일시 주의점 580
9. 회두극좌(回頭剋坐) 방향 판단 581
10. 묘지(墓地) 이장, 사초(莎草), 비석, 합장 작업 판단법(동총운 판단법) 582
11. 이장(移葬), 가족묘(家族墓), 납골당(納骨堂), 자연장(自然葬) 준비 절차 584
12. 파묘(破墓)에서 이장(移葬) 진행 절차(산신제, 제사, 제문) 584
13. 제사지방(祭祀紙榜)과 제사제문(祭祀祭文) 593
[개운 실천은 성공인을 만든다]
개운(開運) 실천법 597
[부록]
한자 이름 81수리 획수(劃數) 풀이 605
자원, 발음, 성, 이름 오행(五行)표 610
한자 이름 획수 수리표 635




보훈, 평화로의 길
9791166290787.jpg


도서명 : 보훈, 평화로의 길
저자/출판사 : 이찬수 , 서운석 , 임수진 , 허지영 , 이동기 ,, 모시는사람들
쪽수 : 288쪽
출판일 : 2021-12-31
ISBN : 9791166290787
정가 : 16000

○독립-호국-민주가 기초에서부터 서로 연결되고 상호 보완하면서 국민 통합이라는 큰 목적을 향해 점차 나아가는 모양은 마치 ‘삼각뿔’과 같다. 세 가지의 상호 연결과 보완을 통해 세계화 시대의 국민 통합으로 나아가는 ‘삼각뿔 보훈’을 지향해야 하는 것이다. 삼각뿔 보훈은 기존의 거대한 폭력을 줄여 가는 ‘감폭력(減暴力)’의 길, 그런 의미의 평화 구축을 위한 길이기도 하다.
북한과 일본을 품고 한반도 및 동아시아의 평화로 나아가는 보훈, 독립-호국-민주의 세 가치가 서로 연결되고 세계화 시대에 어울리는 평화적 통합을 구심점이자 정점으로 하는 ‘삼각뿔 보훈’을 한국 보훈의 심층적 내용이자 구조로 만들어야 하는 것이다.(본문 63쪽)

○보훈과 평화가 자연스럽게 동행할 수 있도록 하는 보훈교육의 역할을 생각해 보면, 먼저 보훈교육에 있어 평화교육의 방향에 대해 적정한 제시가 필요하다. 평화에 대한 구체적인 인식을 확산하기 위해서는 평화교육을 강화하는 것이 우선 필요하다. 다음으로 보훈과 관련하여 평화교육의 의미를 정확히 제시해야 한다. 현재 우리 사회는 평화를 현실과 유리된 추상적, 유토피아적, 상징적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는 추측이 가능하다. 이런 경향을 감안하여 보훈교육에서는 국가유공자들이 우리 사회의 평화를 위해 어떤 희생과 헌신을 했으며, 이런 공헌이 우리 사회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 정확하게 제시할 필요가 있다.(본문 111쪽)

○평화를 폭력에서 멀어져 가는 과정, 즉 ‘감폭력(減暴力)’으로 정의한다면,(이찬수, 2019: 13-17) 북한이 미제·일제·남조선괴뢰를 중심으로 한 세계사회와의 적대적 관계 설정을 중립적으로 전환한다는 사실은, 북한 사회가 점차 세계사회와 공감할 수 있는 ‘평화적 방법’을 통한 소통을 지향하고, 이를 북한 주민들과도 공유하기 시작하였다고 논할 수 있다. 변화하는 세계사회와 한반도, 그리고 북한 내부의 환경 속에서 북한의 이러한 변화가 계속될지 회귀될지는 계속적인 담론의 추적과 분석을 통해 살펴보아야 한다. 그러나 장기적인 차원에서 살펴볼 때, 북한 보훈 담론의 영역에서는 적어도 적대적 경계가 점차 완화되고 있으며 ‘평화적’ 교류의 신호가 미세하나마 나타나고 있다고 논할 수 있다.(본문 145쪽)

○한반도에 평화가 정착되기를 누구보다 바라며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 남한 정부는 한반도 평화프로세스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비평적 역사 서술과 역사 교육을 바탕으로 남한 사회에 굳게 자리하고 있는 이분법적 세계관을 해체하고 자유민주주의의 본질적인 특징인 숙의와 건전한 토론을 바탕으로 다양한 관점과 내러티브가 공존할 수 있는 평화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국가 공동체의 본질적인 부분을 결정하는 정체성의 문제와 깊이 관련된 보훈 정책은 과거에 대한 역사적 판단을 바탕으로 국가가 앞으로 나아가야 하는 방향성을 제시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따라서 보훈 정책이 이분법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하는 기념비적 역사 내러티브가 비평적 역사로 전환되는데 선두적 역할을 담당하며 피해자와 유가족을 위한 정책을 넘어 공동체 전체를 치유하는 과정으로서 확장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보훈이 궁극적으로 남남갈등을 극복하고 남북한 고질갈등의 평화적 전환으로 나아가는 기초를 쌓을 수 있을 것이다.(본문 187쪽)

○보훈이 평화적인 것이 되려면 호국-보훈-민주라는 울타리 밖에 있는 희생자들의 고통을 기억하고 그들에 대한 국가 차원의 사과와 인정 행위가 반드시 필요하다. 때로 이러한 행위는 서로 다른 이해 집단들 사이에 적대적 분위기를 만들어 내거나 불편한 진실을 드러내는 작업을 요청한다. 하지만 평화적 보훈은 역사적 불편함을 넘어 인정의 정치 안에서 새롭게 갱신되어야 하며, 진정한 사회 통합을 위한 과제는 국가 폭력의 희생자들을 기억하고 그들을 배제하지 않는 것에서 시작할 수 있다. 이는 국가에 의해 희생된 희생자들의 피해 사실과 그들의 고통을 함께 기억해 주는 것, 그리고 이를 호국영웅들과 함께 기억해주는 공동체적 행위가 되어야 한다. 이 공동체적 작업을 통해 초대받지 못한 기억은 주체적인 역사적 서술로서의 피해자들의 기억이 되어 평화적 보훈에 중요한 가교 역할을 한다. 희생자들의 삶의 이야기는 일차적으로는 쇼비니즘적 보훈을 경계하고 그 이후에는 폭력에 대한 경계로 발전되어 평화적 공존을 주장하는 것이다. 따라서 국가 폭력 희생자들의 관점에서 보는 폭력과 보훈에 대한 서술은 평화적 보훈의 시작점이라고 할 수 있다.
(본문 266쪽)

○보훈과 평화는 사회와 국가의 구조·체계뿐 아니라, 역사와 문화에 주요한 관심을 가진다는 점에서 많은 부분 닮아 있다. 또한 보훈과 평화가 적용되는 주요한 주체가 개인과 집단 그리고 사회와 국가이기 때문에, 이들은 나와 내 옆의 이웃과 연결되는 주요한 사유의 대상이자 실천의 대상이라는 점에서 닮아 있기도 하다. 그러나 사회와 국가를 이루는 주체인 개인과 집단의 본질적인 다양성으로 인해 보훈과 평화에 대한 상이한 이해가 긴장과 갈등을 노정하기도 한다. 보훈과 평화를 깊게 생각하면 할수록 어렵고 복잡하다. 그러나 그래서 다채롭고 흥미 있기도 하다. 보훈과 평화를 중심으로 생각할 수 있는 분야가 다양할 뿐 아니라, 관계하는 개인과 집단 역시 다양하므로, 이들을 하나하나 살펴보고 주요한 쟁점들을 파악하는 일은 사유의 차원에서도 의미 있는 일일 것이다. 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의 역사와 현실을 이해하고 파악하는 데에도 효과적일 뿐 아니라 유의미한 일이라 논할 수 있다. 보훈과 평화라는 주제를 통해 우리는 과거 전투와 전쟁의 역사로부터 현 시점에서 나타나는 차별과 배제의 현상, 즉 과거 우리 사회가 경험한 다양한 사건뿐 아니라 현재 우리 사회가 직면해 있는 여러 어려움들까지도 이 둘의 교집합 속에서 함께 생각해 볼 수 있다. (본문 272쪽)

■ 목차

서문: 보훈, 우리 모두의 것이기 위하여

삼각뿔 보훈: 독립-호국-민주의 조화와 국민 통합의 논리_ 이찬수
1. 들어가는 말
2. 보훈의 세 가치: 독립, 호국, 민주의 의미와 쟁점들
3. 삼각뿔 보훈, 독립-호국-민주의 상호 관계

우리 사회 평화에 대한 보훈의 역할_ 서운석
1. 들어가는 글
2. 보훈의 원칙과 현재적 의미
3. 평화에 대한 인식과 보훈과의 관련성
4. 평화를 위한 보훈의 역할 강화
5. 나오는 글

북한의 보훈: 《로동신문》을 통해 본 ‘평화적 보훈’ 구축의 가능성_ 임수진
1. 서론
2. 북한의 보훈
3. 북한 보훈 담론과 평화
4. 결론: 북한 ‘평화적 보훈’ 구축의 가능성

보훈-갈등전환-평화의 선순환_ 허지영
1. 들어가는 글
2. 이론적 배경
3. 보훈과 갈등전환
4. 나가는 글

로컬의 보훈과 기억: 강릉고등학교 두 추모비 이야기_ 이동기
1. 강릉 가는 길
2. 6월 21일: 비극의 날들
3. 추모와 기억의 두 길
4. 두 추모비 공동 건립과 기억의 확산
5. 강릉고를 나서며

보훈의 뒤안길: 국가 폭력 희생자의 관점에서 보는 평화적 보훈에 대하여_ 강혁민
1. 서론
2. 왜 국가 폭력 피해자인가?
3. 왜 피해자 내러티브인가?
4. 세 명의 이야기
5. 국가에 대한 질책과 충성심의 공존
6. 반공주의와 평화로운 국가에 대하여
7. 결론: 평화적 보훈을 향하여

보훈, 평화로의 길_ 임수진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