숫자로 끝내는 물리 100 또는 지구 살림, 철학에게 길을 묻다
로즈
2025-04-13 19:20
5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1회 연결
본문
숫자로 끝내는 물리 100

도서명 : 숫자로 끝내는 물리 100
저자/출판사 : 콜린 스튜어트, Gbrain.지브레인.
쪽수 : 176쪽
출판일 : 2021-01-20
ISBN : 9788959796144
정가 : 20000
머리말
5.39×10-44
플랑크 시간(s)
1.62×10-35
플랑크 길이(m)
6.63×10-34
플랑크상수(Js)
3×10-34(대략값)
날아가는 테니스공의 파장(m)
9.11×10-31
전자의 질량(kg)
1.6726×10-27
양성자의 질량(kg)
1.6749×10-27
중성자의 질량(kg)
8.51×10-27
우주의 밀도(kg/m)
3×10-25
와 보존의 평균수명(s)
1.38×10-23
볼츠만상수(J/K)
1.60×10-19
기본 전하(C)
1×10-18
실험실에서 도달할 수 있는 초고진공의 밀도(kg/m)
8×10-15
원자핵의 평균 크기(m)
8.85×10-12
자유공간의 유전율(C2/Nm2)
5.29×10-11
보어 반지름(m)
6.67×10-11
중력 상수(Nm2/kg2)
1×10-10
기록된 가장 낮은 온도(K)
1×10-8
CERN에서 만든 반물질의 양(g)
5.67×10-8
슈테판-볼츠만상수(- - -)
4×10-7
파란빛의 파장(m)
7×10-7
붉은빛의 파장(m)
1.26×10-6
자유공간의 투자율(/)
6.5×10-5
지구자기장의 세기(T)
1.7×10-3
지구 자전이 느려지는 비율(초/세기)
-273.15
절대영도(℃)
-1/3
다운, 스트렌지, 바텀 쿼크의 전하량(, 기본 전하)
0
포톤(광자)의 정지질량(kg)
0.007
수소 핵융합의 효율
1/137(0.0073)
미세구조상수
0.01
물의 삼중점(℃)
0.02
세르게이 클리칼레프가 경험한 시간 지연(s)
2/3
업, 참, 톱 쿼크의 전하(-기본 전하)
1
그래핀의 두께(원자)
1.4
찬드라세카르의 한계(태양 질량)
2.7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복사의 온도(K)
2.71…
오일러의 수
3
중성미자의 가짓수
3
뉴턴역학의 운동 법칙의 개수
3.14…
원주율(r)
4
자연에 존재하는 기본적인 힘
4
시공간의 차원
4.186
열의 일당량
4.23
가장 가까운 별까지의 거리(광년)
6
고대인들에게 알려졌던 행성의 수
8.314
이상기체 상수(/)
9.81
중력가속도(m/s2)
11
M이론에서 제안한 차원의 수
11.2
지구의 탈출속도(km/s)
22
사람 눈의 초점거리(mm)
24
표준 모델에 포함된 기본 입자의 수
26.8
우주에 포함된 암흑물질의 비율(%)
27
대형 하드론 충돌가속기(LHC)(km)
39
상대론적 효과로 인한 GPS 위성의 시간 지연(ms)
43
뉴턴역학으로 설명할 수 없었던 수성의
근일점 이동(아크초/100년)
45
도달거리를 최대로 하는 발사 각도(도)
67.8
허블 상수(km/s/Mpc)
98
자연에 존재하는 원소의 수
99.9999999999999
수소 원자에서 빈 공간의 비율(%)
99.99999999874
입자가속기에서 달성한 최고 속도(빛 속도의 %)
100
물의 끓는점(℃)
101.325
표준대기압(kPa)
200
스카이다이버의 종단속도(km/h)
238
우라늄의 원자량
331
공기 속에서의 소리 속도(m/s)
1,000
물의 밀도(kg/m3)
1,361
태양상수(W/m3)
1543
코페르니쿠스가 《천체 회전에 관하여》를 출판한 해
1687
뉴턴이 《프린키피아》를 출판한 해
1,836.2
양성자와 전자의 질량비
1905
아인슈타인의 기적의 해
5,778
태양 표면 온도(K)
6,371
지구 반지름(km)
29,800
지구의 공전 속도(m/s)
4,300,000
지구에서 하루 동안 치는 벼락의 수
1.1×107
뤼드베리상수(-)
15,000,000
태양 핵의 온도(K)
16,000,000
핵융합 발전 최고 기록()
299,792,458
진공 속에서의 빛의 속도(m/s)
1,000,000,000
백색왜성의 밀도(kg/m3)
9,192,631,770
1초를 정의하는 데 사용되는 세슘 원자의 진동수
13,798,000,000
우주의 나이(년)
93,000,000,000
관측 가능한 우주의 지름(광년)
100,000,000,000
초신성의 온도(K)
125,000,000,000
힉스 보존 질량의 근삿값()
150,000,000,000
태양에서 지구까지의 거리(m)
9×1013
질량 1g의 에너지()
9.46×1015
빛이 1년 동안 달리는 거리(m)
3.7×1017
중성자성의 밀도(kg/m3)
6.02×1023
아보가드로수(mol-1)
2.2×1024
텔루륨-128의 반감기(년)
5.97×1024
지구의 질량(kg)
3.86×1026
태양이 1초 동안 방출하는 에너지()
1.29×1034
양성자 반감기의 최솟값(년)
~1040
양성자와 전자 사이에 작용하는 중력과 전자기력의 비
~8×1036
우리 은하 중심에 있는 블랙홀의 질량(kg)
2×1067
태양 크기의 블랙홀이 붕괴하는 데 걸리는 시간(년)
1×1080
관측 가능한 우주에 포함된 원자의 수
5.2×1096
플랑크 밀도(kg/m3)
1×10120
암흑에너지에서 진공 재앙의 크기
1×10500
끈 이론에서 가능한 배열 방법의 수
참고 도서 및 웹사이트
찾아보기
이미지 저작권
지구 살림, 철학에게 길을 묻다

도서명 : 지구 살림, 철학에게 길을 묻다
저자/출판사 : 신승철, 모시는사람들
쪽수 : 416쪽
출판일 : 2021-01-05
ISBN : 9791166290107
정가 : 18000
1부 : 동물, 생명 그리고 철학
01_ 플라톤의 이데아와 동물 실험실
동물 실험의 천국, 대한민국에서 │이데아 세상, 폐쇄된 실험실 환경 │실험동물에 대한 최소의 윤리 │플라톤이 생각한 이데아, 플라톤이 생각지 못한 이데아 │라투르의 반실재론과 사회적/생태적 연결망 │보이지 않는 것의 윤리와 미학
02_ 데카르트의 자동기계와 공장식 축산업
21세기 동물들의 아비지옥 │자동기계들에게 자비도 없다 │기계 혹은 자동 현상에 대하여 │아우슈비츠와 자동기계들 │동물, 기계, 인간의 경계 │생명의 숨결을 위하여
03_ 라이프니츠의 단자론과 동물권
인권을 넘어서 생명권의 시대로 │단자론이 복권한 동물영혼론 │개체중심주의와 생태중심주의 사이에서 │단자에는 창이 없다 │동물복지와 동물권 간의 기나긴 논쟁 │생명의 권리와 자유를 위하여
04_ 피터 싱어의 공리주의와 동물 해방
고통을 느끼는 동물들 │피터 싱어의 ‘공리주의’와 동물 │종 차별주의인가? 종간 차이인가? │ ‘유정성’의 두 가지 노선 │동물에 대한 학대 금지를 넘어 동물 해방으로
05_ 들뢰즈·가타리의 동물 되기와 야생동물 보호
자연은 원래 야생동물의 영토였다 │한 마리 개냐 여러 마리 늑대냐 │동물원과 | 지구 살림, 철학에게 길을 묻다 야생동물을 문명화하기 │동물 되기 │동물의 언어화될 수 없는 기호작용 │욕망의 야생성 복원하기
2부 : 세 가지 생태학
06_ 가타리의 에코소피와 근본생태주의
근본생태주의란 무엇인가? │가타리의 ‘세 가지 생태학’과의 조우 │도롱뇽 소송, 마음의 운동 │마음의 생태학 │영성의 탈근대적 변형, 주체성 생산 │가타리의 ‘에코소피’와 별이 빛나는 밤
07_ 머레이 북친의 반자본주의와 사회생태주의
사회생태주의란 무엇인가? │북친의 근본생태주의 비판 │부안 반핵코뮌 │사회 변혁과 함께하는 생태주의 │반자본, 반국가, 반권위의 코뮌주의 전망들 │생태운동과 사회적 관계의 변화
08_ 칸트의 선험적 종합명제와 환경관리주의
환경관리주의란 무엇인가? │칸트와 코페르니쿠스적 전회 │태안 사태와 환경관리주의의 혁신 │‘선험적 종합’ 명제의 생태적인 함의 │인식론적 구성주의 │생태계 파괴에 맞선 인간의 개입과 관리
3부 : 탄소중독적 문명
09_ 홉스의 물체론과 아파트 문명
아파트를 넘어 마을로 │홉스가 본 이기적 개인들 │마을은 지금 여기에 │물체론과 아파트 구조-환상 │인민전쟁과 리바이어던 │아파트를 뛰쳐나온 사람들
10_ 비릴리오의 전쟁기계와 자동차 문명
속도라는 파시즘 │비릴리오가 본 ‘속도의 정치’ │도심에 자전거가 달리고 있다 │속도와 무기, 그리고 시간의 바리케이드 │속도 문명의 최종 결론, 핵 국가 │속도가 놓친 느림과 여백의 가능성
11_ 기 드보르의 스펙타클의 사회와 TV 문명
거짓을 말하는 바보상자 │기 드보르와 상황주의 인터내셔널 │자유라디오 운동 │이미지와 물신성 │관조를 뛰어넘는 구경거리의 논리 │TV 문명 너머로
12_ 호르크하이머의 도구적 이성과 육식 문명
육식 문명의 그림자 │호르크하이머와 도구적 이성 비판 │채식운동의 발흥과 발전 │자연 지배와 인간 지배의 관계 │근대 이성과 파시즘을 넘어서 │육식을 넘어 생명과의 공존으로
4부 : 에너지, 석유정점
13_ 니체의 초인사상과 핵에너지
문명의 세기를 가른 후쿠시마 사건 │핵, 나치가 받아들인 초인 사상 │탈핵과 생명평화운동 │주인의 도덕, 노예의 도덕 │반시대적 고찰 ‘시간의 상실’ │핵을 넘어 생명과 평화의 세상으로
14_ 푸코의 권력의 미시물리학과 화석 에너지
화석연료 정점의 무력화와 셰일오일 │에너지는 미시권력이다 │오일 봉쇄와 식량 위기에 대한 쿠바의 대응 │미시권력과 배치 │생명정치와 화석연료 │화석 에너지 이후의 전환사회는 가능한가?
15_ 라이히의 오르곤과 재생 에너지
햇빛발전소, 미래로 돌아가다 │라이히, 생명 에너지의 뿌리를 찾아서 │재생 에너지의 여러 가지 쟁점들 │‘바이온’과 에코 시스템 그리고 재생 에너지 │죽음의 방사능 에너지에 맞선 생명의 오르곤 에너지 │태양과 바람의 나라를 향하여
5부 : 성장의 한계
16_ 프로이트의 무의식과 기후 위기
기후 위기라는 불편한 진실 │프로이트의 무의식 정신역동 이론 │기후 위기와 탄소경제, 그린뉴딜, 기후금융 │탄소무의식 : 무의식과 탄소 소비의 배치 │기후 위기와 무의식 │탄소 순환적인 무의식은 가능한가?
17_ 마르크스의 생산력주의와 성장주의
외연적 성장보다 내부 관계망의 성숙을! │마르크스의 『공산당 선언』과 생산력주의 │발전 대신 밭전(田)을! │성장의 그림자 │『자본론』의 가치 법칙과 그 외부 │탈성장, 탈토건의 사회를 향해
18_ 헤겔의 변증법과 생물다양성
우리의 생명이자 삶인 생물다양성 │헤겔과 변증법 │생물종 다양성과 종자 주권 │존재-무-생성의 논리와 생명 │주인과 노예의 인정투쟁과 생물다양성 │생물다양성과 우리의 미래
19_ 스피노자의 범신론과 생태계 보존
보이지 않지만 소중한 생태계의 가치 │스피노자의 아주 특이한 책, 『에티카』 │강정의 평화와 생태계 │범신론과 생태적 지혜 │내재성과 생태계 │생태계의 보이지 않는 연결망과 순환과 재생의 사회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