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병구 무대미술. 1 또는 민족독립혁명가 도산 안창호 평전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민병구 무대미술. 1 또는 민족독립혁명가 도산 안창호 평전

로즈
2025-04-13 19:20 4 0

본문




민병구 무대미술. 1
9791185848112.jpg


도서명 : 민병구 무대미술. 1
저자/출판사 : 민병구, 컬처플러스
쪽수 : 352쪽
출판일 : 2021-01-11
ISBN : 9791185848112
정가 : 75000

발간사
민병구를 말하다

1990~1999
품바 / 또 하나의 선택 / 그 여자의 소설 / 누가 누구? / 검은 드레스 / 역마살 / 깡통 공화국 / 옥수동에 서면 압구정동이 보인다 / 영월행 일기 / 그것은 목탁구멍 속의 작은 어둠이었습니다 / 산허구리 / 산불

2000~2004
아카시아 흰 꽃을 바람에 날리고 / 언덕 위에 빨간집 / 장기알 / 천사여 고향을 보라 / 그것은 목탁 구멍 속의 작은 어둠이었습니다 / 트루 웨스트(True West) / 꽃마차는 달려간다 / 달의 안해 / 숭어리 샘 / 산타친구 개미와 베짱이 / 천사여 고향을 보라 / 춤으로 만나는 백설공주 / 김승현과 함께하는 ‘송년특별연주회’

2005~2006
오아시스세탁소 습격사건 / 꽃마차는 달려간다 / 새로운 窓 / 뮤지컬 정글북 / 우리로 서는 소리 / 가라 / 천년가약(千年佳約) / 아름다운 飛上 / 칠산리 / 담배 밭(TOBACCO ROAD) / 그 여자의 소설 / 뮤지컬 ‘7인의 천사’ / 혈맥(血脈) / 인형의 집 / 2006 청주직지축제 / 막차 탄 동기동창 / 버들피리 / 후궁 박빈

2007~2008
산불 / 만선 / 한놈 두놈 삑구 타고 / 다라다라 / 아름다운 거리 / 세월이 가면 / 회연(回緣) / 명성일무(鳴聲一巫) / 달의 노래 / 배비장

2009~2010
아들과 함께 걷는 길 / 언덕을 넘어서 가자 / 루나자의 춤(Dancing at Lughnasa) /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이별 / 할아버지 보물창고 가시리 / 상자 속 여자 / 억새풀 / 달집 / 헤다 가블러 / 철조망이 있는 풍경 / 조용한 식탁 / 하루에 / 사랑을 이루어 드립니다 / 날 보러와요 / 밤으로의 긴 여로 / 엄마와 나 그리고 냉장고 / 홍도야 울지마라! / 밥 / 결혼한 여자 결혼 안 한 여자

2011~2012
사계 / 굿모닝 파파 삽다리 블루스 / 회(回) 누가 살던 방 / 베로니카 오! 베로니카여 / 나의 마지막 연인 / 마트(MART) / Q 요리, 그게 뭐지요 / 수상한 궁녀 / 크리스마스환타지(호두까기 인형) /2011년 당진시 승격 기념식 / 별의 전설, 아! 송범 / 짬뽕 / 불나고 바람 불고 / 춤향 별꽃의 서 / 그녀들만 아는 공소시효 / 대문(大門), 대…문(大問) / 처용 / 나와 나타샤와 시인 / 메디아(media) / 가판대 / 맹진사댁 경사

에필로그
작가 연보
고마운 분들과




민족독립혁명가 도산 안창호 평전
9788942390885.jpg


도서명 : 민족독립혁명가 도산 안창호 평전
저자/출판사 : 신용하, 지식산업사
쪽수 : 412쪽
출판일 : 2021-01-19
ISBN : 9788942390885
정가 : 22000

머리말 ● 5
제1장 소년시절과 서당 수학 ● 13
1. 출생과 성장 _14
2. 소년 안창호의 각성과 나라와 겨레의 발견 _17

제2장 신학문의 수학과 야소교학교 ● 21
1. 상경과 ‘야소교학교’ 입학 _22
2. 귀향과 약혼 _26

제3장 독립협회에서 구국운동 시작 ● 27
1. 독립협회 가입과 서재필의 영향 _28
2. 독립협회 평양지회 설립 및 쾌재정 연설과 만민공동회의 활동 _32
3. ‘점진학교’ 설립과 신교육운동 _37

제4장 도미 유학의 길과 안창호형 리더십의 형성 ● 41
1. 도미 유학의 여정과 결혼 _42
2. 안창호형安昌浩型 리더십 형성과 한인친목회 _45

제5장 리버사이드 공립협회의 창립과 “도산선생 공화국”● 49
1. 리버사이드 공립협회共立協會 _50
2. “도산 선생 공화국” _55

제6장 전미주 ‘한인공립협회’ 본부와 ‘공립신보’ 발행 ● 65
1. 전미주全美洲 ‘한인 공립협회’의 창립 _66
2. 공립협회의 항일운동 _68

제7장 도산의 귀국과 대한신민회의 창립 ● 71
1. 리버사이드에서 대한신민회 구상과 준비 _72
2. 도산의 귀국길 _80
3. 도산과 국내 ‘대한신민회’ 창립 _82

제8장 신민주의新民主義와 신민회의 국권회복운동 ● 95
1. 신민회의 목적과 도산의 ‘신민주의’ 사상 _96
2. 신교육구국운동과 대성학교 _99
3. 도산과 신민회의 학회활동 및 계몽강연운동 _106
4. 이토 히로부미의 회유공작 거절 _109
5. 도산과 신민회의 잡지·서적 출판운동 _112
6. 도산의 〈애국가〉 작사와 애국계몽창가 보급 _114
7. 도산과 신민회의 실업운동 _125
8. 도산과 신민회의 청년운동과 청년학우회 창립 _127
9. 도산과 신민회의 독립군기지 창설운동 _129

제9장 망명과 연해주에서의 활동 ● 135
1. 망명 _136
2. 연해주에서의 활동 _142
3. 망명 후 미주에서 받은 신민회의 소식 _148

제10장 ‘대한인국민회’를 민족자치기관으로 확대 강화 ● 153
1. 대한인국민회 중앙총회의 결성 _154
2. 한국민족 자치기관으로서 대한인국민회 정립 강화 _157
3. 멕시코 지방회의 방문과 조직 강화 _167

제11장 흥사단興士團의 창단 ● 171
1. ‘흥사단’ 창단 목적과 흥사단의 이념 _172
2. ‘흥사단기興士團旗’의 새 해석 _179
3. 흥사단의 조직 _181
4. 흥사단의 창단 _184
5. 북미실업주식회사의 설립 지도 _189

제12장 상해 임시정부 내무총장 겸 국무총리 대리 시기의 활동 ● 193
1. 도산의 상해 도착과 3개 임시정부 _194
2. 상해 임시정부 내무총장 겸 국무총리 대리 활동 _205

제13장 도산의 통합 임시정부 수립 활동과 성공 ● 217
1. 3개 임시정부의 실상과 특징 _218
2. 도산의 3개 임시정부 통합 활동 _222
3. 통합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의 성공 _228
4. 도산의 대통령 대리 피선과 취임 거부 _233
5. 통합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의 역사적 의의 _237

제14장 도산의 민주주의사상과 독립운동 6대 사업 및 방략 ● 241
1. 민주주의사상과 독립운동 6대 사업 및 방략 발표의 동기 _242
2. 군사와 ‘독립전쟁’ 전략_245
3. ‘외교’와 ‘교육’ _251
4. ‘사법’과 ‘재정’ _254
5. ‘통일’과 대동단결 _257
6. 흥사단 원동위원부의 설치 _259

제15장 도산의 임시정부 개조활동과 국민대표회의 ● 267
1. 임시정부의 활동과 어려움 _268
2. 독립운동가들의 ‘국민대표회의’ 제안과 도산의 동의 결정 _274
3. 도산의 임시정부 개조 강화를 위한 국민대표회의 개최 활동 _277
4. 동명학원東明學院의 설립 _287

제16장 도산의 임시정부 국무령 사양과 민족혁명론 ● 291
1. 도미와 상해 임시정부의 상태 _292
2. 도산의 임시정부 국무령 사양 _301
3. 도산의 민족혁명론 _307

제17장 대공주의大公主義와 ‘민족유일독립당’ 운동 ● 317
1. 도산의 대공주의大公主義 _318
2. 중국 관내에서 민족유일독립당 결성 활동 _327
3. 만주에서의 민족유일독립당 결성 활동 _332

제18장 상해 한국독립당 창당 및 ‘한인 모범촌’ 건설계획과 항일 ‘한·중동맹군’ 제의 ● 339
1. 상해 한국독립당의 결성 _340
2. 독립운동 근거지 ‘한인 모범촌’ 건설계획 _342
3. 도산의 항일 ‘한·중동맹군’ 창설 제의 _348

제19장 체포·투옥·순국 ● 351
1. 도산의 피체 _352
2. 도산의 투옥 _355
3. 도산의 순국殉國 _367

부기附記 ● 372
도산 안창호 연보 ● 374
참고문헌 ● 394
찾아보기 ● 397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